여성간호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간호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출혈이 심한 경우
-자연분만 : 30% 이하의 전치태반
-변연 전치태반으로 출혈 있으나 질을 통한 분만이 진행 중인 경우 인공파막시켜 분만 시도-> 태아의 선진부가 하강되면서 출혈을 막는 효과
I. 태반조기박리(Abruptio placenta)
1. 태반조기 박리 원인과 증상
- 나선동맥의 변성, 자간전증 or 자간증, 코카인 복용, 양수과다증에서 파막시
- 지속적인 복통과 자궁압통, 자궁강직, 질출혈, 저혈량, 태아질식 or 태아사망, DIC
2. 태반조기 박리의 진단과 관리
박리 정도가 경하고 태아가 36주 미만이며 질식 증상이 없으면 보존요법으로 병원에 입원시키고 출혈 및 분만의 징후를 관찰한다. 태아가 성숙해지거나 모체 상태가 호전될 때까지 태아 심박동 모니터링, 무자극검사나 생물리학적 계수 등을 사정한다. 보존요법시 태아의 폐성숙을 위해 스테로이드를 투여한다. 태아곤란증, 심한출혈, 응고장애가 있을 시 분만진행이어려울때에는 제왕절개를 시행한다.
J. 임신성 고혈압(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PIH)
1. 임신성 고혈압의 원인과 증상
* 원인
- 임신전: 미산부, 20세이하 혹은 35세 이상 여성, 과소체중 혹은 비만, 영양결핍, 당뇨, 신 장질환, 고혈압성질환 과거력 및 가족력 등
- 임신중: 초임부, 사구체염, 다산부, 양수과다증, 큰 태아, 포상기태 등
* 증상 : 임신 20주 이후 고혈압, 단백뇨, 부종
2. 임신성 고혈압의 진단과 관리
-체중, 혈압(MAP), 단백뇨 검사
-Roll over test : 임신 28~32주 사이에 시행, 측위와 앙와위의 이완기 혈압의 차이가 20mmHg 이상일 때 PIH 가능성
통원시 간호
경한 자가전증일 경우 통원 치료, 활동제한, 침상안정, 성생활 자제, 휴식 시 좌측위 : 대정맥의 압박 감소 → 태반으로 가는 혈류 증가
입원시 간호
혈압 150/100mmHg 이상, 단백뇨, 1g/24h 이상일 때 입원, 경련조절 위해 자극 최소화( 방을 어둡게 하고 소음 피한다. 방문객을 제한한다. 절대안정 : 좌측위, side rail 올려준다.
경련시 간호
좌측위 : 구토물의 기도 흡인 방지, 대정맥 압박 감소, 경련 후 산소 공급, 태아 심음 청취
3. MgSO4 중독 증상
- 갑작스러 저혈압
- 호흡수 12~16회/분 이하
- 슬개반사 소실 될 때, 과반사, 반사감소, 반사소실
- 25ml/hr 이하의 핍뇨
- 태아심음의 갑작스런 감소
4. HELLP Syndrome
-Hemolysis Elevated Liver Enzyme Low Platelets 즉, 용혈반응, 상승된 간효소, 혈소판감소 가 나타나고 혈관 내 출혈의 증상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바이러스 감염과 비슷한 오심, 구토, 권태감을 호소하며 흉통이나 우측 상복부 동통을 호소하기도 한다.
K.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1. 임신이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
-태반호르몬 분비증가 :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코티솔, 태반락토겐은 인슐린 길항제
-부신피질, 성장호르몬 분비 증가
-인슐린 요구량
2. 당뇨병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 임신 1기 : 임부의 칼로리 섭취 감소로 인슐린 요구량 감소
- 임신 2,3기 : 인슐린 요구량 증가
- 분만 : 분만시 어려움과 신진대사 증가로 인슐린 요구량 감소
- 분만후 : 인슐린 요구량은 현저히 감소, 산후 감염시 인슐린 요구량 증가
3. 임신성 당뇨병의 진단
-검진
아래의 모든 기준을 만족하는 임부는 검진할 필요가 없다.
당불내성 과거력이 없음
25세 이하
정상적인 체중
당뇨병에 대한 가족력이 없음
불량한 산과적 결과에 대한 과거력이 없음
당뇨병의 고유병률을 가진 종족 집단이 아님
첫 위험도 사정결과 위험도가 높게 나왔다면 임신 24~28주 사이에 재검진을 해야한다. 일반적으로 검진은 1시간당 50gm 도전검사에 기반을 두며, 보통 임신 24주에서 28주 사이에 시행된다. 결과가 비정상이라면 3시간 당내성검사를 시행한다.
- 1시간(50g) GTT
: <140mg/dL(음성) : 정규적 산전관리
: >140mg/dL(양성) - 3시간(100g)GTT
- 음성 : 한 가지 수치만 상승하거나 GDM 위험요신 있으면 32주에 재검
- GDM 양성 (2가지 이상 수치 초과)
: 공복시 105mg/dL / 1시간 190mg/dL / 2시간 165mg/dL / 3시간 145mg/dL
4. 임신성 당뇨병의 관리
- 적절한 당조절 증진
- 합병증 예방(발간호..)
- 임부교육과 상담제공(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
Ⅱ. 출산간호와 관련된 자가 학습
A. 분만 영향 요소
1. 산도
1) 골반의 해부학적 구조와 주요경선
골반입구
- 태아의 머리가 진골반으로 들어가기 위해 거쳐야만 하는 통로
- 골반입구의 횡경선 > 전후경선
- 분만시 태아의 머리 중 가장 긴 경선(전후경)이 골반입구의 가장 긴 경선인 횡경선에 일치하여 진입(골반입구의 전후경선은 정상분만의 여부결정)
골반강(중골반)
- 골반입구와 출구 사이에 있는 부위로 전벽은 4.4cm 후벽은 12cm
- 양쪽 좌골극간 직경 : 10.5cm(9.5cm 이하 -난산 : 제왕절개)
- 골반입구에서 좌골극까지는 후방을 향하고 좌골극에서 출구까지는 전방을 향함
골반출구
- 진골반의 아래쪽에 해당하는 것으로 양쪽 좌골결절, 후면은 미골하단의 정점, 앞면은 치골결합의 하단을 연결하는 4개의 점을 있는 다이아몬드형 공간
주요경선
-대각 결합선(12.5~13cm) : 치골결합 하연~천골갑까지의 거리, 내진에 의해 측정 가능하므로 임상적으로 가장 중요한 경선
-전후경선,진결합선(11cm) : 치골결합상연~천골갑까지의 길이, 태아의 선진부가 진골반 내의 진입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입구의 가장짧은 경선
-산과적 결합선(10.5cm) : 치골결합의 내면~ 천골갑 간의 가장 짧은 거리, 골반 입구 경선 중 분만시에 가장 짧은 경선
2) 자궁의 생리적 수축륜/병리적 견축륜
-생리적 수축륜 : 자궁상부근육 -짧고 두꺼워짐 / 자궁하부근육-늘어나고 얇아짐
-병리적 견축륜 : 자궁의 상부는 수축과 견축으로 두꺼워지고 자궁하부는 현저히
  • 가격3,000
  • 페이지수64페이지
  • 등록일2014.02.19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52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