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본문내용
궁의 이상 또는 부속기 종양여부, 분만 예정일, 자궁내장치의 존재와 위치를 알수 있다.
임신 제2기와 3기에는 태아의 생존, 수, 위치, 재태시간, 성장 양상, 기형 , 양수의 양, 태반의 위치와 성숙정도,자궁 섬유종과 이상, 부속기 종양의 존재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8) 산모 교육
(1) 복식호흡
[효과적인 호흡법]
조절감을 유지하기 위하여 산모가 호흡을 바꾸고 이완하는 것을 돕는다.
이행기 동안은 힘이 주어지는 것이 정상이며, 이것은 보통 빠른 태아하강과 경관개대, 자궁 수축으로 인한 것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경관이 완전히 개대되기 전에는 항문의 압박감이 느껴 지더라도 힘을 주지 않도록 하여 경관부종이나 열상을 피한다.
개대되기 전에 힘주는 것을 막도록 한다.
- 호흡 동안 간호사와 눈을 맞추도록 한다.
- 산모가 크게 숨을 내쉬고 짧은 호흡을 할때 간호사도 같이 호흡한다.
수축 사이에 기억소실이 있을 경우 각 수축의 시작 전에 산모를 깨워서 호흡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분만 제1기(개구기) : 초산부 13-14시간, 경산부 6-7시간
[호흡법과 보조동작]
복식호흡 복식+짧은 호흡
[임산부의 주의할 점]
제1기 전반 : 진통 발작시는 복식호흡법으로 진통이 멈추었을 때는 옆으로 누운 체위를 취하고 전신의 긴장을 풀고 쉬게 한다.
[태아의 상태]
턱을 가슴에 붙이고 천천히 하강을 시작한다.
태아 머리는 자궁구를 힘껏 밀면서 하강을 계속한다.
- 제1기 후반부
통증이 강하게 오기 때문에 마사지나 압박법을 행한다.
짧은 호흡도 병행한다.
(아직 숨을 들이켜 배에 힘을 주면 안 된다.)
분만 제2기(만출기) : 초산부 2-3시간, 경산부 1-2시간
[호흡법과 보조동작]
숨을 들이켜 배에 힘을 준다. 힘을 준 후 휴식을 취한다. 짧은 호흡을 한다.
[임산부의 주의할 점]
- 진통의 주기에 따라서 심호흡을 하고 가능한 한 오랫동안 숨을 들이켜 배에 힘을 준다.
- 턱을 끌어당기고 엉덩이를 바닥에 붙여 몸체를 둥글게 하고 숨을 들이켜 배에 힘을 준다.
진통과 진통 사이에는 힘을 빼 긴장을 풀고 휴식을 취한다. 지시가 있으면 곧 숨을 들이켜 배에 힘을 주는 것을 멈추고 짧은 호흡법으로 옮긴다.
[태아의 상태]
태아 머리는 점점 돌면서 산도 출구로 향한다.
태아 머리는 밖에서 보였다 안보였다 하는
것처럼 된다.
태아 머리는 밖에서 볼 수 있게 되고 뒤이어
만출된다.
분만 제3기(후산기)
[호흡법과 보조동작]
가볍게 숨을 들이켜 배에 힘을 준다.
[임산부의 주의할 점]
- 태반이 만출될 때에는 진통에 맞추어 가볍게 숨을 들이키고 배에 힘을 주어 호흡한다.
[태아의 상태]
태아가 나온 후 가벼운 진통이 일어나고 태반이
만출된다.
(2) 분만중에 힘주는 법 지도(힘주는 법)
목적 - 출산전에 미리 교육하여 효과적으로 힘을 주어 울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오랫동안 숨을 참고 힘을 주는 것은 분만이 지연되어 꼭 필요할 때하며 가능한 피하여 산부가 지치거나 태아의 혈액공급 저하를 막아준다.
무릎을 잡아당기면서 턱을 가슴에 대며 횡경막의 압력을 아래로 유지하도록 한다.
힘을 항문쪽으로 모아서 주도록 한다.
[힘주기의 전통적인 방법]
- 자궁수축이 시작될 때 숨을 크게 들여 마시라는 지시를 준다.
- 이어서 숨을 참으라는 지시를 준다.
- 이어서 질부위쪽으로(대변보듯이) 힘을 주라는 지시를 한다.
[성문개방하고 힘주기 방법]
- 산부가 힘이 주어질 때만 6-7초간 짧게 힘을 주며, 숨을 내쉬면서 밑으로 힘을 주게 한다.
(심장으로 돌아가는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복부근육을 수축시켜 자궁에 힘이 가해져서 태아만출을 돕는다.)
[해야할 것]
- 손을 씻고 따뜻하게 한다.
- 목적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다.
- 횡경막과 복부근육을 사용하여 밑으로 힘을 주도록 하여 만출을 촉진한다.
- 침대를 올려 상체를 올리고 힘주는 자세를 취하게 한다.
- 분만 동안의 체위: 다리를 엉덩이에 굴곡시킨 반좌위(상체 30도 상승),쭈구리고 앉는 자세,
손과 무릎 체위, 좌측좌위 등이 있다.
- 산부체위의 적절성과 태아 만출력이 효과적인지를 사정한다.
- 한 손을 자궁 저부에 살짝 댄다.
- 힘주기 지지를 한다.
- 매 수축 후에는 심호흡을 시킨다.(폐에 공기가 들어가도록 한다.
- 잘 해냈다고 격려해준다.
- 자궁수축이 시작된면 반복하여 힘을 주게 한다.
[하지 말아야 할 것]
- 힘주기가 느껴지지 않을 때는 힘을 주어서는 안된다.
- 선진부 하강에 효과가 없는 체위나 밀어내느 방법을 계속 지속해서는 안된다.
- 횡경막과 복부근율은 수축하지만 다른 근육을 수축을 해서는 안된다.
(피로감이 증진되기 때문이다.)
- valsalva maneuver를 6회 이상 지속해서는 안된다.
(태아 저산소증, 자궁활동감소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 자궁수축이 너무 강하고 아두하강이 너무 급속하게 진행할때는 힘주기를 해서는 안된다.
(회음부 열상이 초래되기 때문이다.
- 아두가 발로 되면 힘주기를 해서는 안된다.(회음부 열상이 초래되기 때문이다.)
9) Induction labour
(1) 옥시토신 유도(유발)
- 분비기관:산모와 태아의 뇌하수체 후엽
- 효과 : 분만전) 정상적으로 수유에 효과없음.
분만후) 유방의 포상조직 주위의 근상피세포를 수축시켜 유즙을 유관과 유동으로 밀어내고, 유즙 사출을 시킨다. 분비억제는 불안, 공포,당황,등 스트레스가 원인이 된다. 자궁 수축과 산후 자궁 복구를 촉진 시킨다.
※ 임신 중 옥시토신을 투여하면 자궁 수출을 일으켜 진통이 유발된다.
자궁근은 임신 말기에 가까울수롤 옥시토신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수축을 일으킨다. 임신말기에 수술이나 외상과 같은 자극이 있으면 혈중의 옥시토신이 증가하는데 이는 뇌하수체 호르몬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옥시토신은 혈중의 옥시토시나제에 의해서 분해 된다. 이는 산모와 태아의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것이다.
- 작용 : 유선의 수축으로 젖이 나오도록 하는 유즙 배출 작용이 있다.
내아와 내반이 만출되면 자궁은 수축하여 출혈을 방지하게 되는데, 분만 3기에 출혈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사용하여 자궁
임신 제2기와 3기에는 태아의 생존, 수, 위치, 재태시간, 성장 양상, 기형 , 양수의 양, 태반의 위치와 성숙정도,자궁 섬유종과 이상, 부속기 종양의 존재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8) 산모 교육
(1) 복식호흡
[효과적인 호흡법]
조절감을 유지하기 위하여 산모가 호흡을 바꾸고 이완하는 것을 돕는다.
이행기 동안은 힘이 주어지는 것이 정상이며, 이것은 보통 빠른 태아하강과 경관개대, 자궁 수축으로 인한 것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경관이 완전히 개대되기 전에는 항문의 압박감이 느껴 지더라도 힘을 주지 않도록 하여 경관부종이나 열상을 피한다.
개대되기 전에 힘주는 것을 막도록 한다.
- 호흡 동안 간호사와 눈을 맞추도록 한다.
- 산모가 크게 숨을 내쉬고 짧은 호흡을 할때 간호사도 같이 호흡한다.
수축 사이에 기억소실이 있을 경우 각 수축의 시작 전에 산모를 깨워서 호흡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분만 제1기(개구기) : 초산부 13-14시간, 경산부 6-7시간
[호흡법과 보조동작]
복식호흡 복식+짧은 호흡
[임산부의 주의할 점]
제1기 전반 : 진통 발작시는 복식호흡법으로 진통이 멈추었을 때는 옆으로 누운 체위를 취하고 전신의 긴장을 풀고 쉬게 한다.
[태아의 상태]
턱을 가슴에 붙이고 천천히 하강을 시작한다.
태아 머리는 자궁구를 힘껏 밀면서 하강을 계속한다.
- 제1기 후반부
통증이 강하게 오기 때문에 마사지나 압박법을 행한다.
짧은 호흡도 병행한다.
(아직 숨을 들이켜 배에 힘을 주면 안 된다.)
분만 제2기(만출기) : 초산부 2-3시간, 경산부 1-2시간
[호흡법과 보조동작]
숨을 들이켜 배에 힘을 준다. 힘을 준 후 휴식을 취한다. 짧은 호흡을 한다.
[임산부의 주의할 점]
- 진통의 주기에 따라서 심호흡을 하고 가능한 한 오랫동안 숨을 들이켜 배에 힘을 준다.
- 턱을 끌어당기고 엉덩이를 바닥에 붙여 몸체를 둥글게 하고 숨을 들이켜 배에 힘을 준다.
진통과 진통 사이에는 힘을 빼 긴장을 풀고 휴식을 취한다. 지시가 있으면 곧 숨을 들이켜 배에 힘을 주는 것을 멈추고 짧은 호흡법으로 옮긴다.
[태아의 상태]
태아 머리는 점점 돌면서 산도 출구로 향한다.
태아 머리는 밖에서 보였다 안보였다 하는
것처럼 된다.
태아 머리는 밖에서 볼 수 있게 되고 뒤이어
만출된다.
분만 제3기(후산기)
[호흡법과 보조동작]
가볍게 숨을 들이켜 배에 힘을 준다.
[임산부의 주의할 점]
- 태반이 만출될 때에는 진통에 맞추어 가볍게 숨을 들이키고 배에 힘을 주어 호흡한다.
[태아의 상태]
태아가 나온 후 가벼운 진통이 일어나고 태반이
만출된다.
(2) 분만중에 힘주는 법 지도(힘주는 법)
목적 - 출산전에 미리 교육하여 효과적으로 힘을 주어 울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오랫동안 숨을 참고 힘을 주는 것은 분만이 지연되어 꼭 필요할 때하며 가능한 피하여 산부가 지치거나 태아의 혈액공급 저하를 막아준다.
무릎을 잡아당기면서 턱을 가슴에 대며 횡경막의 압력을 아래로 유지하도록 한다.
힘을 항문쪽으로 모아서 주도록 한다.
[힘주기의 전통적인 방법]
- 자궁수축이 시작될 때 숨을 크게 들여 마시라는 지시를 준다.
- 이어서 숨을 참으라는 지시를 준다.
- 이어서 질부위쪽으로(대변보듯이) 힘을 주라는 지시를 한다.
[성문개방하고 힘주기 방법]
- 산부가 힘이 주어질 때만 6-7초간 짧게 힘을 주며, 숨을 내쉬면서 밑으로 힘을 주게 한다.
(심장으로 돌아가는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복부근육을 수축시켜 자궁에 힘이 가해져서 태아만출을 돕는다.)
[해야할 것]
- 손을 씻고 따뜻하게 한다.
- 목적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다.
- 횡경막과 복부근육을 사용하여 밑으로 힘을 주도록 하여 만출을 촉진한다.
- 침대를 올려 상체를 올리고 힘주는 자세를 취하게 한다.
- 분만 동안의 체위: 다리를 엉덩이에 굴곡시킨 반좌위(상체 30도 상승),쭈구리고 앉는 자세,
손과 무릎 체위, 좌측좌위 등이 있다.
- 산부체위의 적절성과 태아 만출력이 효과적인지를 사정한다.
- 한 손을 자궁 저부에 살짝 댄다.
- 힘주기 지지를 한다.
- 매 수축 후에는 심호흡을 시킨다.(폐에 공기가 들어가도록 한다.
- 잘 해냈다고 격려해준다.
- 자궁수축이 시작된면 반복하여 힘을 주게 한다.
[하지 말아야 할 것]
- 힘주기가 느껴지지 않을 때는 힘을 주어서는 안된다.
- 선진부 하강에 효과가 없는 체위나 밀어내느 방법을 계속 지속해서는 안된다.
- 횡경막과 복부근율은 수축하지만 다른 근육을 수축을 해서는 안된다.
(피로감이 증진되기 때문이다.)
- valsalva maneuver를 6회 이상 지속해서는 안된다.
(태아 저산소증, 자궁활동감소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 자궁수축이 너무 강하고 아두하강이 너무 급속하게 진행할때는 힘주기를 해서는 안된다.
(회음부 열상이 초래되기 때문이다.
- 아두가 발로 되면 힘주기를 해서는 안된다.(회음부 열상이 초래되기 때문이다.)
9) Induction labour
(1) 옥시토신 유도(유발)
- 분비기관:산모와 태아의 뇌하수체 후엽
- 효과 : 분만전) 정상적으로 수유에 효과없음.
분만후) 유방의 포상조직 주위의 근상피세포를 수축시켜 유즙을 유관과 유동으로 밀어내고, 유즙 사출을 시킨다. 분비억제는 불안, 공포,당황,등 스트레스가 원인이 된다. 자궁 수축과 산후 자궁 복구를 촉진 시킨다.
※ 임신 중 옥시토신을 투여하면 자궁 수출을 일으켜 진통이 유발된다.
자궁근은 임신 말기에 가까울수롤 옥시토신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수축을 일으킨다. 임신말기에 수술이나 외상과 같은 자극이 있으면 혈중의 옥시토신이 증가하는데 이는 뇌하수체 호르몬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옥시토신은 혈중의 옥시토시나제에 의해서 분해 된다. 이는 산모와 태아의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것이다.
- 작용 : 유선의 수축으로 젖이 나오도록 하는 유즙 배출 작용이 있다.
내아와 내반이 만출되면 자궁은 수축하여 출혈을 방지하게 되는데, 분만 3기에 출혈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사용하여 자궁
키워드
추천자료
유방마사지&자궁저부마사지
자궁경부암 (Carcinoma of the Cervix)
여성암[외음부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자궁의 역사를 읽고.......
자궁절제술 정의, 치료 및 간호
자궁근종 케이스-myoma uteri case study
자궁외 임신 case
자궁근종 간호과 자궁암
Uterine prolapse (자궁탈수증, 자궁탈출증)
자궁경부 상피내암 케이스에 대해서
자궁근종 전반에 대한 이해
자궁근종의 진단과 치료 및 관리법
[진단세포학] 자궁경부 내 염증성변화 (염증성 반응, 자궁 내 염증성 변화를 일으키는 질병(...
월경장애, 무월경, 비정상자궁출혈, 월경전증후군, 월경곤란증, 기능부전성자궁출혈, premen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