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간전증(Pre-eclampsia)과 자간증(Eclampsia)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간전증(Pre-eclampsia)과 자간증(Eclampsi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자간전증(Pre-eclampsia) 과 자간증(Eclampsia)

1.정의
2.원인

<1>자간전증
1)증후와 증세
2)치료 및 간호중재

<2>자간
1)증후와 증세
2)자간발작단계
3)자간환자의 치료 및 관리
4)자간의 심한 증세
5)자간환자의 사망

본문내용

lasix 20mg을 정맥으로 준다.
E.경련이 띄난 후의 관리 및 간호
경련이 끝난 후에도 5분간은 꼐속 산소를 주어야 하며, 만약 청색증이 있을 때는 계속 한다. 이때는 모체뿐만 아니라 태아에게 필요한 산소도 채워줘야 한다.
환자는 거의 무의식 상태에서 졸고 있는 상태이며, 체위는 오른쪽으로 반복와위를 취 하게 되며, 필요하면 턱을 약간 앞으로 내밀고 있는 상태로 있게 한다.
폐에 침윤성 울혈이 있기 쉬우므로, 적어도 2시간에 한 번씩은 체위를 바꿔주도록 한 다.
혈압이나 태아심음의 측정은 1시간에 한 번 재는 것이 좋으며, 필요없이 자주 재는 것 은 환자의 진정 상태를 저해할 우려가 있다.
경련이 지난 때는 언제나 구강오염이 폐렴 발생원이 될 수 있으므로 구강을 깨끗이 닦 아준다.
방광의 간호는 cath.를 유치시키므로써, 무의식 상태에서도 계속 소변을 배출시키며, 신장의 배설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소변검사를 필요시 언제나 할 수 있다. 요단백검 사는 매일 실시한다.
48시간 동안 경련이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는 관자이나 완하제 같은 것은 주지 않는다.
환자의 몸과 주위는 항상 깨끗이 하므로 2차적인 감염을 방지하도록 해야 한다. 경련 기간에는 전신목욕을 금하며 얼굴, 손, 입주위 그외 다른 부분들을 따뜻한 물수건으로 닦아주고, 환자가 오한을 느끼게 해서는 안된다.
또, 환자가 혼수상태에 있을 때는 연하반사작용이 저하되어 있어서 기관으로 흡인되기 쉬우므로 액체의 주입을 삼가고, 필요시에는 정맥내 점적주입을 한다.
F.간호사정
1경련상태를 잘 관찰해야 한다. 전구증상을 잘 파악하고, 일단 경련이 일어나면 경련 의 회수, 길이, 강도, 경련이 일어난 시간 등이 정확하게 기록되어야 한다.
2분만의 증후: 환자가 자궁수축과 더불어 불안해 한다든지 신음을 한다든지하면 분만 의 증후로 생각할 수 있다. 이슬, 파수 등을 잘 관찰하고, 경고나의 개대를 파악하 여 분만 진행을 관찰해야 한다. 특히 환자는 깊은 수면상태이기 때문에 자신은 저혀 이것을 감지하거나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3일반상태의 관찰
환자의 맥박은 15분마다 측정해야 하되 환자가 특별한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조용 하게 진행해야한다.
체온은 4시간마다 잰다.
호흡은 15분마다 측정해야 하는데, 만약 호흡이 분당 12회 이하로 저하될 때는 뇌 출혈을 의심할 수 있다. 또 호흡이 아주 빨라질때도 폐에 염증이 일어났음을 시사한 다. 이때는 체온과 맥박도 함께 상승한다.
혈압은 1,2시간마다 측정해야한다. 갑작스런 혈압의 저하는 상태의 호전을 의미하기 도 하지만 태아 사망후에 나타나는 상태일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또한 혈압 이 저하되면서 청색증과 사지가 차가운 증세가 보이면 심부전을 의심할 수 있다.
태아심음은 1,2시간마다 측정한다.
환자의 얼굴에 청색증이 나타날 때는 산소를 주어야 하며, 황달이 나타날떠는 간ㄴ 의 손상을 의심해야 한다.
소변색은 농도가 짙고 혈액이 섞여 있어서 대개 짙은 갈색을 띈다.
수분조절: 모든 수분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하게 기록해야 한다. 부종이 빠질 때 는 며칠간 배설량이 2배나 3배로 증가한다. 이때는 방광의 이완증을 잘 살펴야 한 다. 24시간에 800ml가량의 배설량이 가장 바람직한 상태라 할수 있다. 무뇨증은 신 장부전을 나타내므로 극히 주의해야한다.
부종의 정도를 잘 관찰 기록해야 한다.
날 짜
7th
8th
9th
10th
부 종
얼굴
++
+
trace
trace

+++
++
+
trace

++++
+++
+++
++
다리
+++
++
++
+
천골
+++
+++
+++
++
4)자간의 심한 증세
1뇌증세: 출혈, 혈전, 정신 혼미
2간: 간의 상해 3손상: 혀의 손상, 골절
4심장: 심근부전 5신부전(급성)
시력의 일시적인 장애 호흡기: 질식, 폐부종, 기관지 폐렴
태아: 무산소증,사산
5)자간환자의 사망
대개의 사망은 뇌출혈, 심근부전, 폐부종이나 급성신부전증에 의한다. 기관지 폐렴이 겹쳤을 때나 또는 경련중에 이물이 기도를 막게 되어 질식으로 사망하는 일이 많다. 그러나 간호사의 적절한 간호로 예방할 수가 있다.
모성사망률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좌우되는데, 관리를 철저하게 하면 2%까지로 낮출 수 있다. 그렇지 못할 때는 12%에서 15%로 높다.
주산기 사망률은 10%에서 30%이다.
◎Reference
모성간호학 김인순 외 1989. 수문사
모성간호학∥ 최연순 외 1999. 수문사
고위험 모성간호학 이경혜 외 1992. 수문사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2.19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53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