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라사보아, 보르도하우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빌라사보아, 보르도하우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든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기술적이고 기계적이며 합리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나. 보르도 하우스
<사진 II-34 2층의 계단> <도면 II-6 보르도 하우스 3층 동선>
보르도하우스는 빌라 사보아와 달리 사용자의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동선이 복잡하지는 않다. 보르도 하우스의 주된 동선은 3층에서 볼 수 있다.
우선 2층의 부부를 위한 공간으로 올라가는 계단의 경우 유리를 부착함으로써, 허와 실을 구분하지 못하는 동선의 파괴를 보여주고 있다.
3층은 중앙을 분리하여 동선의 기준이 명확히 구분 된다. 오른쪽은 부부를 위한 공간이기 때문에 장애를 가진 건축주의 편의상 동선이 단순하며, 턱이 없으며, 문도 없다. 화장실의 경우는 벽체를 사용하여 살짝 가리기만 했다.
반면 아이들의 공간은 동선이 우측에 비하여 복잡하다. 특히 사선의 배치로 역동적인 방향성과 시각의 변화를 다양하고 주고 있어서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좋은 영향을 줄 것 같다. 하지만 1층에서 아이들의 방까지 빠르게 가려면 원형계단을 이용해야하는데 원형계단의 특성상 아이들에게 위험할 것 같다. 완벽한 프라이버시(privacy)를 가지는 대신 위험성을 가지게 되었다.
5. 입면과 재료
가. 빌라 사보아
<사진 II-35 빌라 사보아의 모습>
빌라 사보아의 주 볼륨은 기본적인 기하학적 모듈(module)로부터 상하-내외의 모든 방향으로부터 속이 파내어진 것이다. 그러면서도 필로티로 인해 대지 위에 부유 하는 것 같은 하나의 결정체 같은 느낌을 준다.
빌라 사보아는 회벽과 유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테라스가 있는 부분은 속이 비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규칙적인 구조체계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띄워져있고, 3층 옥상정원의 곡선 벽과 1층의 곡면 유리로 인해 2층의 박스형태가 더욱 두드러져서 보인다. 그리고 띠 창의 프레임을 검은색으로 하여 명암의 대비를 극대화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곡선의 벽체들이 훨씬 더 주변의 경관과 상호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대칭성과 비대칭성의 조화가 빌라 사보아를 더욱 돋보이게 해준다. 하지만 재료적인 측면에서는 관리하기가 쉽지 않다. 그의 순수주의(Purism)로 인한 백색의 건물은 주기적으로 페인트칠을 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나. 보르도 하우스
<사진 II-36 보르도 하우스의 모습>
건물의 뒤편에서 보면 마치 건물이 떠 있는 것 같은 착각과 2층의 건물일 것이라는 오해를 사기 쉬운 형태는 렘 쿨하스(Rem Koolhaas)가 의도한 함정에 빠지게 된다. 2층의 유리로 분리된 사이의 중앙으로 1층의 연속된 외부의 공간이 삽입되면서 외부에서는 3층의 밴드로 묶여진 외피로서 하나의 공간으로 읽혀지지만 사실은 분리된 공간이 존재함으로 인해 내외부의 공간이 모호해지는 변화의 특성이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함정은 기하학적인 형태를 사용함으로서 완성 할 수 있었다. 렘 쿨하스(Rem Koolhaas)의 작품들 중 가장 기하학적일 것이다.
3층의 육중함을 더하기위해 진한 갈색으로 칠을 하였고, 1층과 2층의 존재를 감추기 위해 1층은 땅속에 지어서 담장으로 가리고 2층은 유리와 크롬도금을 통한 부재들로 감추었다. 이로 인해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괴하게도 아이빔이 그대로 지붕에 올라가 버렸다.
보르도하우스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었다. 반사 효과를 가진 부재들과 투명한 유리와 반투명한 유리, 내부에는 마감을 하지 않고 콘크리트를 그대로 노출시켰다. 그리고 주방기구 등도 반사 효과를 가진 재질로 하였다.
여담이지만, 보르도 하우스의 3층의 입면은 와인을 보관하는 흙벽에서 나왔다는 루머도 있다. 프랑스 보르도 지방은 와인이 유명하기도 하다.
III. 결론
상징적인 의미로 해석해 볼 때 빌라 사보아는, 르 꼬르뷔제(Le Corbusier)가 지난 20 여년동안 축적해왔던 건축수법의 철학적인 원칙들을 대변하는 것이다. 이렇듯 이론적인 접근방법은 원초적인 형태 속에 존재하는 형태의 잠재력과 원형계단 옆으로 긴 창 같은 혁신적기능적인 요소들로 분류되어 마침내는 보편적인 건축어휘의 표본으로서 정착하게 되었다.
대지 위에 균형잡힌 채로 서 있는 빌라 사보아는 그 당시 르 꼬르뷔제(Le Corbusier)가 미래에 대한 혁신적인 척도로서 간주했던 관념들과 일치하며, 통합과 균형이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교적인 해석은 각각의 형태가 근본적으로 중앙형의 입방체라는 사실과, 다양하고 적절한 건축어휘를 수용하고 있다는 사실로서 증명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빌라 사보아는 입면과 구성에 있어서 이미 자유를 획득하고 있으며, 특히 필로티에는 상징적인 명료성이 표현되어 있다. 그것들은 20세기의 기술진보를 대변하는 구조체로서도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더욱이 고전의 구조원칙에 따르고 있는 열주와 필로티는 새로운 구조해석의 결과로 찬양될 만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기교에 넘치는 형태의 분석과 디자인의 특성은 상징성을 중요시하는 르 꼬르뷔제(Le Corbusier)의 건축태도를 의미한다.
렘 쿨하스(Ram Koolhaas)의 건물에 대한 다이어그램은 시각적이거나 측면적인 재현이 아니라 재현, 문화와 지역, 지형의 해석에 의한 건축 이라고 할 수 있다.
위상기하변화는 내외부가 모호하게 느껴지는것 같은 공간의 삽입과 공간의 시각적 무중력화로 상황을 전개하는 법, 그리고 형태적 변형의 방법을 사용 한다.
기하학의 변형 삽입 방법으로는 주로 기둥열과 구조의 조형적 구성, 원형의 불규칙한 배열 방법들로의 움직임, 리듬을 표현하고 있다.
공간의 중첩 기법으로는 공간 내 투명, 반투명, 불투명, 커튼, 철망 등의 재료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공간의 중첩을 수직적으로 만들어 내며, 공간의 내외부에서 시각적 움직임을 확산 시키고 있다. 그리고 주름이 있는 불투명한 재료와 투명도의 변화가 있는 공간을 접목시키면서 공간 내 움직임도 만들어 내고 있다.
반사효과로는 반투명 실리콘 재질, 철망, 광택제, 메탈 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공간 내 시선을 가로 막지 않도록 반사가 되는 거울이나, 크롬, 알루미늄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시선을 분산, 모호하게 만들면서 공간 내 움직임을 만든다.
  • 가격4,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4.02.21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57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