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동기 암의 화학요법[Chemotherapy]
◇ 화학요법
알킬화제
항대사제
식물성 알칼로이드
항생제
호르몬
효소
기타약물
◇ 참고문헌
◇ 화학요법
알킬화제
항대사제
식물성 알칼로이드
항생제
호르몬
효소
기타약물
◇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동기 암의 화학요법[Chemotherapy]
◇ 화학요법은 치료의 초기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 후 보조요법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항암효과가 있는 몇 가지 약물들의 복합 화학요법은 약제에 대한 내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세포주기 파괴를 적정범위로 유지하고 독성 효과를 최소화 할 뿐만 아니라 약제의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항암화학요법제의 적용 기전은 핵산, DNA, RNA를 합성하는 과정을 방해하므로 암세포를 손상시킨다. 항암 화학요법제는 약리학적 특성 및 세포주기에 따라 분류한다. 세포주기에 특이성을 가진 제제(cell cycle specific : CCS)와 세포주기에 비특이적인 제제(cell cycle nonspecific : CCNS)로 분류한다. CCS에서 식물성 알칼로이드제제는 세포주기의 M단계(세포분열기)에 특이성을 가지며, 이들은 유사분열의 방추사 형성에 빌요한 단백질의 고유한 배열을 방해한다. CCS의 항대사제제는 S단계(DNA합성)에 특이성을 가진다. 세포주기에 비특이적인 제제(CCNS)는 세포주기의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분열 또는 휴지기에 관계없이 세포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킬화제와 항암항생물질이 포함된다.
알킬화제
알킬화 약물들은 각각 특유한 약리 작용을 가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많은 작용이 서로 비슷하다.
☞ 세포 독작용 : 주로 DNA와 결합하여 세포의 성장, 분열, 분화 등 기본적인 기능을 방해함으로써 항암 작용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알킬화 약물은 비교적 유사분열 지수가 낮은 간, 신잔, 성숙 림프구 등에도 세포 독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분열 중에 있지 않은 세포에서는 DNA복구 효소에 의하여 알킬화된 부분의 DNA 가 다시 교정되므로 비교적 세포 독작용이 적다. 그러나 교정되기 전에 세포 분열이 시작되면 심한 세포 독작용을 나타낸다.
알킬화 항암제는 세포 주기 비특이성 약물로서 모든 시기의 세포에 다 작용할 수 있으나 G1 후기 및 S기에 있는 세포에 보다 예민하게 작용한다.
☞ 혈액학적 작용 및 면역 억제 작용 : 조혈기관은 알킬화 항암제에 특히 예민하다. 실험동물에서 nitrogen mustard 투여 후 6~8시간에 유사 분열의 정지, 골수 및 림프조직의 파괴가 나타난다.
① Mechlorethamine
mechlorethamine은 최초의 nitrogen mustard계 알킬화 항암제이다. 심한 국소작용 때문에 정맥내로 투여한다. 투여 후 체내에서 몇 분 이내에 반응성이 강한 중간물질로 변화되어 물 또는
◇ 화학요법은 치료의 초기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 후 보조요법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항암효과가 있는 몇 가지 약물들의 복합 화학요법은 약제에 대한 내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세포주기 파괴를 적정범위로 유지하고 독성 효과를 최소화 할 뿐만 아니라 약제의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항암화학요법제의 적용 기전은 핵산, DNA, RNA를 합성하는 과정을 방해하므로 암세포를 손상시킨다. 항암 화학요법제는 약리학적 특성 및 세포주기에 따라 분류한다. 세포주기에 특이성을 가진 제제(cell cycle specific : CCS)와 세포주기에 비특이적인 제제(cell cycle nonspecific : CCNS)로 분류한다. CCS에서 식물성 알칼로이드제제는 세포주기의 M단계(세포분열기)에 특이성을 가지며, 이들은 유사분열의 방추사 형성에 빌요한 단백질의 고유한 배열을 방해한다. CCS의 항대사제제는 S단계(DNA합성)에 특이성을 가진다. 세포주기에 비특이적인 제제(CCNS)는 세포주기의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분열 또는 휴지기에 관계없이 세포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킬화제와 항암항생물질이 포함된다.
알킬화제
알킬화 약물들은 각각 특유한 약리 작용을 가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많은 작용이 서로 비슷하다.
☞ 세포 독작용 : 주로 DNA와 결합하여 세포의 성장, 분열, 분화 등 기본적인 기능을 방해함으로써 항암 작용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알킬화 약물은 비교적 유사분열 지수가 낮은 간, 신잔, 성숙 림프구 등에도 세포 독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분열 중에 있지 않은 세포에서는 DNA복구 효소에 의하여 알킬화된 부분의 DNA 가 다시 교정되므로 비교적 세포 독작용이 적다. 그러나 교정되기 전에 세포 분열이 시작되면 심한 세포 독작용을 나타낸다.
알킬화 항암제는 세포 주기 비특이성 약물로서 모든 시기의 세포에 다 작용할 수 있으나 G1 후기 및 S기에 있는 세포에 보다 예민하게 작용한다.
☞ 혈액학적 작용 및 면역 억제 작용 : 조혈기관은 알킬화 항암제에 특히 예민하다. 실험동물에서 nitrogen mustard 투여 후 6~8시간에 유사 분열의 정지, 골수 및 림프조직의 파괴가 나타난다.
① Mechlorethamine
mechlorethamine은 최초의 nitrogen mustard계 알킬화 항암제이다. 심한 국소작용 때문에 정맥내로 투여한다. 투여 후 체내에서 몇 분 이내에 반응성이 강한 중간물질로 변화되어 물 또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