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 표기법 (外來語表記法) (표기의 기본 원칙, 표기 일람표, 표기 세칙, 자음, 모음(단모음, 장모음, 중모음) 반모음, 복합어 표기, 인명, 지명 표기)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래어 표기법 (外來語表記法) (표기의 기본 원칙, 표기 일람표, 표기 세칙, 자음, 모음(단모음, 장모음, 중모음) 반모음, 복합어 표기, 인명, 지명 표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외래어 표기법


1. 외래어 표기법

2. 표기의 기본 원칙

3. 표기 일람표

4. 표기 세칙
 4. 1. 자음의 표기
 4. 2. 모음의 표기
  4. 2. 1. 단모음의 표기
   4. 2. 1. 1. 단모음 [i]
   4. 2. 1. 2. 단모음 [y]
   4. 2. 1. 3. 단모음 [œ]
   4. 2. 1. 4. 단모음 [æ]
   4. 2. 1. 5. 단모음 [ə]
   4. 2. 1. 6. 단모음 [ɔ]
   4. 2. 1. 7. 단모음 [ʌ]
  4. 2. 2. 장모음과 중모음의 표기
 4. 3. 반모음의 표기
 4. 4. 그 밖의 외래어 표기
 4. 5. 복합어

5. 인명, 지명 표기
 5. 1. 표기 원칙
 5. 2.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
 5. 3. 바다, 섬, 강, 산 등의 표기

본문내용

외래어 표기법
1. 외래어 표기법
국어는 어종(語魚種)에 따라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외래어란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국어처럼 쓰이는 단어를 말하는데, ‘들온말’, ‘전래어’, ‘차용어’라고도 한다. 외래어 중에는 ‘담배’, ‘남포’ 등과 같이 외래어라는 의식이 없을 정도로 인식되는 것도 있고, ‘아나운서’, ‘넥타이’ 등과 같이 외국에서 들어온 것이라는 의식이 남아 있는 것도 있다. 또한 ‘바캉스’, ‘트러블’ 등과 같이 아직 자리를 굳히지 못한 것들도 있다. 이런 외래어는 국어의 문맥 속에서 국어식으로 발음되고, 본래의 뜻에서 변한 경우도 있으며, 같은 단어라도 쓰임에 따라 달리 표기된다.
고유어, 한자어는 표준어 규정과 한글 맞춤법에 따라 표기한다. 즉, 고유어와 한자어는 표준어 규정에 의해 사정(査定)한 표준어를 한글 맞춤법에 따라 표기한다. 그런데 한글 맞춤법 총칙 제3항에서는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라고 규정하고, 표준어 규정 총칙 제2항에서는 “외래어는 따로 사정한다.”라고 규정한다. 그러므로 따로 사정한 외래어를 대상으로 한글로 적는 방법을 규정한 것이 외래어 표기법이다.
외래어 표기법은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위해 필요하다. ‘workshop’을 한글로 표기할 때, 외국에서 들어온 말이라고 개인이 마음대로 ‘워크숍’, ‘워크
  • 가격50,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4.02.28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63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