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체결하지 못하며 일본은 통감 한명을 두어 외교 사항을 관리한다는 내용이 골자였다. 11월 20일 <황성신문>의 장지연은 이를 비판하는 논설 ‘시일야방성대곡’을 실었다. “야, 저 개돼지만도 못한 소위 우리 정부대신이란 자들이... 그저 편안히 살아남아서 세상에 나서고 있다... 아 원통하고도 분하도다. 우리 2천만 남의 노예가 된 동포여! 살았는가 죽었는가.”라고 비분강개한 이 글은 장지연이 홧술로 끝마치지 못해 유근이 후반부를 섰다는 이야기도 있다.
<황성신문>은 이날 자 신문을 평소 발행 부수 3000부보다 많은 1만 부를 찍어 일본의 검열을 받지 않고 배포했다. 그 결과 필자인 장지연 등 10여 명이 체포되고 신문은 무기 정간 조치는 당했다.
이 기사는 이 사건을 다룬 것이다. 런던 <데일리뉴스>의 특파원으로 한국에 왔던 영국인 E.T.베셀이 양기탁과 손잡고 1904년 7월 창간한 <대한매일신보>는 일제의 검열을 피할 수 있었기에 이 같은 글을 과감히 실을 수 있었다.
두 가지 뒷이야기가 있다. 장지연의 글 이후 ‘개돼지만도 못한 놈’이란 욕이 널리 쓰이게 되었다. 한편 일본인이 경영하던 <대한일보>는 이를 경거망동이라 했고, <제국신문>은 “한 때의 분함을 참으면 백 년 화근을 면하리라”는 논설을 실었다. 얼론도 언론 나름인 것은 예부터 그랫던 모양이다
한일합병
<일한합병 공표-일한 양국의 합병은 본일에 정식으로 일한 양국에서 발표함(1910.8.29)
대황제 폐하 조칙-짐이 동양평화를 공고하게 하기 위하여 한일 양국의 진밀한 관계로 서로 상합하여 한 집이 됨은 서로 만세의 행복을 도모하는 까닭으로 생각한 즉 이에 한국 통치에 의거하여 이를 짐이 극히 신뢰하는 대일본국 황제 폐하께 함으로 결정하고 그로 인하여 필요한 조장을 규정하여 내각 총리대신 이완용에게 전권위원을 임명하고 대일본제국 통감 사내정의와 회동하여 상의 협정하게 함이니 모든 대신은 또한 짐이 확단한 바를 본받아 봉행하라
일한합병조약
조약 제4호-일본국 황제 폐하와 한국 황제 폐하는 양국 간의 특수하고 친밀한 관계를 돌아보아 서로 행복을 증진하고 동양평화를 영구히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함에는 한국을 일본 제국에 병합하는 것만함이 없음을 확신하고 이에 양국간의 병합 조건을 체결하기로 결정한 후 일본국 황제 폐하는 통감 자작 사내정의로, 한국 황제 폐하는 내각 총리대신 이완용으로 각기 전권위원을 임명함으로 인하여 그 전권위원은 함께 모여 협
<황성신문>은 이날 자 신문을 평소 발행 부수 3000부보다 많은 1만 부를 찍어 일본의 검열을 받지 않고 배포했다. 그 결과 필자인 장지연 등 10여 명이 체포되고 신문은 무기 정간 조치는 당했다.
이 기사는 이 사건을 다룬 것이다. 런던 <데일리뉴스>의 특파원으로 한국에 왔던 영국인 E.T.베셀이 양기탁과 손잡고 1904년 7월 창간한 <대한매일신보>는 일제의 검열을 피할 수 있었기에 이 같은 글을 과감히 실을 수 있었다.
두 가지 뒷이야기가 있다. 장지연의 글 이후 ‘개돼지만도 못한 놈’이란 욕이 널리 쓰이게 되었다. 한편 일본인이 경영하던 <대한일보>는 이를 경거망동이라 했고, <제국신문>은 “한 때의 분함을 참으면 백 년 화근을 면하리라”는 논설을 실었다. 얼론도 언론 나름인 것은 예부터 그랫던 모양이다
한일합병
<일한합병 공표-일한 양국의 합병은 본일에 정식으로 일한 양국에서 발표함(1910.8.29)
대황제 폐하 조칙-짐이 동양평화를 공고하게 하기 위하여 한일 양국의 진밀한 관계로 서로 상합하여 한 집이 됨은 서로 만세의 행복을 도모하는 까닭으로 생각한 즉 이에 한국 통치에 의거하여 이를 짐이 극히 신뢰하는 대일본국 황제 폐하께 함으로 결정하고 그로 인하여 필요한 조장을 규정하여 내각 총리대신 이완용에게 전권위원을 임명하고 대일본제국 통감 사내정의와 회동하여 상의 협정하게 함이니 모든 대신은 또한 짐이 확단한 바를 본받아 봉행하라
일한합병조약
조약 제4호-일본국 황제 폐하와 한국 황제 폐하는 양국 간의 특수하고 친밀한 관계를 돌아보아 서로 행복을 증진하고 동양평화를 영구히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함에는 한국을 일본 제국에 병합하는 것만함이 없음을 확신하고 이에 양국간의 병합 조건을 체결하기로 결정한 후 일본국 황제 폐하는 통감 자작 사내정의로, 한국 황제 폐하는 내각 총리대신 이완용으로 각기 전권위원을 임명함으로 인하여 그 전권위원은 함께 모여 협
추천자료
[현대문학사] 1910년대 비평 문학
[인문과학] 강화도 조약
러일전쟁 이후의 동아시아 질서변화
1.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 1880년대 임오군란 갑신정변기의 일본의 대 조선 정책의 특징을...
강화도조약
1900년대 이후 일본과 한국간에 체결된 조약의 정리와 비교분석
을사조약은 왜 무효인가 - 한국근현대와 제국주의 -
양자화학 및 분광학 이해와 분석
[독후감/서평/요약] 의병전쟁
[백범일지][김구 백범일지 독서감상문][김구 백범일지 독후감][김구 백범일지 서평][김구 백...
독소불가침조약과 얄타회담
제1차 세계대전과 베르사유조약
[특허][특허 보호][특허 제도][특허 명세서][특허법조약][특허지도][특허 전략]특허의 개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