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맥관개존증(PDA) 케이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맥관개존증(PDA)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이번에 NBICU를 실습을 하게 되었는데 그 곳에서 10달을 채우지 못하고 세상에 나와서 아직 제대로 발달을 하지 못해서 여러 가지 이상이 발생하는데 그 중 NBICU에서 동맥관개존증을 앓고 있는 아기가 있었다. 그 아기는 7개월도 되지 않아서 너무나도 작은데 그런 선천질환이 생기면서 많은 간호가 필요하였고 저는 아기의 질환을 파악하고자 동맥관 개존증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동맥관 개존증(patent ducts arteriosus, PDA)은 모든 선천성 심장질환의 10%를 차지하며 여아가 남아보다 두 배로 높고 임신 초기에 풍진에 감염된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조산아에서의 발생빈도는 제태기간과 반비례한다. PDA는 제태 기간이 28주 미만 신생아의 60%에 달한다. PDA는 다른 선천성 심장질환과 함께 올 수 있으며 어떤 선천성 심장질환에서는 동맥관을 개존 시켜 폐혈류나 체혈류를 유지해 생존하게 할 수 있다. 동맥관은 전상적으로 출생 후 24시간 내에 50% 정도 닫히고 48시간까지는 90%, 72시간까지 완전히 닫히며 출생 2~3주 내에 인대를 형성한다.
한국의 통계로 전체 선천성 심장기형의 16.5%로 심실중격결손, 팔로사정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빈도를 보이는 질병이다. 빈도율이 높고, 신생아의 심장의 해부학적 상태와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한다.
2. 문헌고찰
① 정의
출생 직후에 막히는 동맥관이 계속 열려 있는 경우로, 폐혈관 저항이 감소하면서 대동맥 혈루가 폐동맥으로 유입되는 단락을 보인다. 빈도는 여아가 남아보다 두 배 높고, 임신 초기에 풍진 감염 시 잘 동반된다. 동맥관 개존은 미숙아에게서 높은 빈도를 보이는데 이 경우 대개 자연 폐쇄된다. 선천성 심기형의 10%에서 동맥관 개존이 동반된다. 동맥관 의존성 심기형에서는 동맥관 개존이 폐혈류 또는 체혈류 유지에 필수이다.
② 원인
동맥관개존의 혈역학 변화는 동맥관의 크기와 폐혈관 저항의 정도에 달려 있다. 출생 시 폐순환과 체순환 저항은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대동맥과 폐동맥의 저항도 대등하다. 체순환 압력이 폐순환 압력을 초과함에 따라 혈액은 대동맥에서 동맥관을 거쳐 폐동맥으로 흐른다. 초과된 혈액은 폐를 다시 순환하여 좌심방과 좌심실로 유입된다. 이렇게 변화된 순환은 좌심의 작업부하와 폐혈과 울혈과 저항을 증사시키고 잠재적으로 우심실의 압력중가와 비대를 발생시킨다.
③ 증상
대부분의 아동은 무증상일 수 있다. 전형적인 잡음은 기계소리와 같은 음이 수축기와 확장기 모두에서 들리는 지속적 잡음으로 흉골상 진정과 함께 올 수 있다. 대동맥 혈류가 폐동맥 혈류로 계속 흘러 맥압이 넓어지며 도약맥이 발생한다. 심각한 좌우단락의 경우 심장이 커지게 되고 흉부 X-선상에 폐혈관 음영이 증가한다. 또한 아동은 빈호흡, 불충분한 수유, 불충분한 체중증가, 빈번한 호흡기 감염, 피곤함, 발한 등을 보일 수 있다. 조산아에게서는 울혈성 심부전이 빈번히 관찰되어 호흡곤란이 증가하므로 환기 보조 장치, 집중적인 내외과적 중재가 필요할 수 있다.
④ 진단
흉부 X-선에서 심크기는 단락 양에 의해 결정된다. 주로 좌심방과 좌심실, 상행 대동맥 및 폐동맥이 커져있고 페혈관 음영의 증가 등을 볼 수 있다. 심전도에서는 단락이 많을 경우에 좌심장 및 좌심실 비대를 보인다. 심초음파 검사로 좌심방 및 좌심실 확장 소견과 함께 Doppler 검사로 동맥관을 확인 할 수 있다. 심도자 검사로 폐동맥에서 좌우 단락을 확인하여, 페동맥과 하행 대동맥 사이의 동맥관을 도관이 통과 할 수 있다. 상행 대동맥 조영술로 동맥관 음영을 볼 수 있다. 기구를 이용한 동맥관 폐쇄를 위하여 심도자술을 흔히 시행한다.
⑤ 치료
울혈성 심부전증을 조절하기 위해 이뇨제나 digoxin을 투여한다. 체중 증가를 위해 칼로리가 높은 처방우유를 제공한다.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해 휴식시간을 주고 최적의 호흡을 위해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여 울혈성 심부전을 악화하는 증상이나 증후를 모니터링 한다. 호흡기 질환이 있는 사람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 내과적 치료 - 증상이 있는 미숙아는 동맥관 수축을 증진하는 PG억제제인 indomethacin (Indocin)을 사용하여 동맥관을 폐쇄할 수 있으나 신장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감시가 필요하다. 약물치료에 대한 금기 중에는 비정상적인 신장 기능, 혈소판 감소증, 출혈성 출혈, 괴사성 장염, 패혈증이 포함된다. 동맥관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03.15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81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