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상
▼작은 충격이나 손상에도 출혈위험이 크다
PDW
15.5~17.5ratio
17.5
12.3▼
12.3▼
18.2▲
17.2
▼혈소판 감소증이나 백혈병, 골수암
NE%
42~75%
28.1
24.8
53.1
LY%
20~50%
55.1▲
56.1▲
35.2
MO%
2~10%
11.4▲
13.7▲
9.5
EO%
0~5%
5.0
4.7
1.9
BA%
0~2%
0.4
0.7
0.3
Electrolyte battery
검사명
정상치
검사결과
임상증상
3/31
(응급)
4/2
(정규)
4/4
(응급)
4/6
(정규)
4/7
(응급)
sodium
135~145
145
142
137
139
135
▲중증당뇨환자, 혈액농축, 유문부 협착
▼수분과잉,Addison\'s disease, 점액수종
potassium
3.5~5.5
5.5
4.9
4.9
5.2
4.9
▲신장애, 발열, 핍뇨, 용혈, 조직파괴
▼체온저하, 위장관손실, 설사, 구토
chloride
98~110
96▼
97▼
95▼
89▼
96▼
▲탈수, 대사성 산증, 신염, 빈혈
▼수분과잉, 이뇨제사용, 설사, 구토
Co2, Total
24~31
40▲
33▲
32▲
33▲
35▲
Chemical battery
검사명
정상치
검사결과
임상증상
3/31
(응급)
4/2
(정규)
4/4
(정규)
4/6
(정규)
4/7
(응급)
Glucose
70~100mg/dL
88
56▼
82
98
▲142
▲당뇨병
▼당뇨병 치료 시 인슐린을 과량 사용했을 때
Creatinine
0.3~0.6mg/dL
0.4-S.B▼
0.5
0.5-S.B▼
0.6
0.5-SB▼
▲ 신혈류량 감소, 신사구체 여과치 감소, 울혈성 신부전
▼ 근영양실조, 간장애, 요붕증
BUN
8.0~20.0mg/dL
8.7
9.0
8.9
9.4
10.1
▲ 고단백식이, 신장기능 저하
Protein
6.5~8.2g/dL
6.0▼
5.6▼
6.1▼
6.4▼
5.6▼
▲ 탈수, 용혈, 스트레스, 간질환
▼단백 손실, 영양 부족
Albumin
3.5~5.1g/dL
4.5
4.3
4.5
4.7
3.9
▲ 탈수
▼ 간손상, 신증후군, 단백손실, 화상, 영양부족
AST(SGOT)
0~40IU/L
119▲
83▲
150▲
137▲
93▲
▲ 간, 심장, 근육세포 손상
ALT(SGPT)
0~40IU/L
209▲
157▲
245▲
212▲
▲139
▲ 급성 간세포 손상
Bilirubin,total
0.2~1.1mg/dL
1.0
1.6▲
1.1▲
1.0
0.8
▲후천성 황달, 간천성 황달, 포합빌리루빈의 배설장애
▼ 용혈성 빈혈
기타 검사
검사명
정상치
결과
임상증상
HBsAg
neg<0.05(IU/mL)
0.03
HBsAb
neg<10.0(IU/mL)
5.45
Anti-HIV
neg<1.00(s/co)
0.28
VDRL
non-reactive
Reactive/4×
매독, ,TPRH검사 받을 필요 있으며 ×4이므로 치료 필요
3. 최종진단명
#1. prematurity c LBW
#2. congenital syphillis
#3. PDAd;람;날;자러;alk
#4. BPDs;l다러;자자;ljjj
#5. Neonatal Hepatitis
4. 치료계획과 방법
수술일 : 4월 7일
수술명과 수술 과정
수술명 : PDA Locking
수술과정 : 흉강경을 이용하여 동맥관을 클립으로 물림
C. 간호과정 적용
진단 #1. 심장의 구조적 기능장애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 양상
진단
과학적 근거
합리적 근거
동맥관이 막히지 않고 열려있으면,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의 큰 압력 차에 의해 대동맥으로부터 온몸으로 가야 할 피의 일부가 폐로 새어 나가게 된다. 따라서 정상보다 폐혈류가 많아짐으로써 폐동맥이 늘어나며, 이것이 주변의 세기관지를 눌러 세기관지염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흔하지는 않으나 폐동맥고혈압에 의한 폐혈관질환을 야기하기도 한다. 또한 정상보다 많은 피가 좌심방·좌심실·대동맥을 흐르게 되어 심장에도 부담을 주게 된다. 호흡곤란은 주로 심장에 혈액이 정체(울혈)되면서 심실의 충만 압력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심장으로 들어오는 폐 혈관에 혈액이 정체되어 생긴다.
S : none
O : 울고 보채면서 첫 번째 SaO2 83% Check, 자주 Crying 시 Desaturation 보임, Transfer 전 병원에서부터 산소의존 현상 보인다는 의사 소견 있음 , Input에 비해 Out put의 양이 적음.
계획
목표 : 아기가 정상 호흡 유지 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대결과
간호지시
1. SaO2 농도 95% 이상으로 유지한다.
2. 호흡이 규칙적이고 힘들지 않다.
3. Input과 Output의 비율이 1:1이 된다.
1. 호흡 보조 기구의 작동상태를 이해한다.
2. SIMV mode로 M-Ventilation Kept, Intubation(3.5 Fr, 10cm 고정) 의사에 의해 시행후 V/S, Event Sx Check한다.
3. 삽관 시 분비물 고이면 Suction 시행한다.
4. 의사에 의해 처방된 약물 투여하고 부작용 주의한다.
수행/
중재
일시
간호수행 / 중재
서명
3/31~4/7
매일 monitor 통해 V/S check
수행
3/31~4/7
E-tube secretion 다량 있어 Suction freg 시행
관찰
3/31~4/7
Crying시 Desaturation 보여 Nott후 처방된 Mida 주입
관찰
4/2~4/7
새벽에 무호흡 증상 관찰되어 심폐소생술 시행, 지속적으로 Desatruration 현상 보여 Digoxin 0.015mg Q12/hr, Furo 1.8~3mg Q/12hr Order 받아서 투여
관찰
3/31~4/7
최적의 공기 교환을 위한 체위를 취한다.
관찰
3/31~4·/7
호흡기내 분비물을 묽게 하기 위해 경타, 진동, 체위 배액을 시행한다.
관찰
3/31~4/7
호흡 보조기구의 작동상태를 이해하고 분석했다.
수행
합리적 근거
1. 호흡 보조기구의 작동상태를 이해하고, 호흡기능의 사정을 빨리 파악함으로써 잠재적 인 치명적 결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2. 진동, 체위 배액등은 분비물 제거가 용이하게 한다.
3. Suction 시행은 대상자의 기도
▼작은 충격이나 손상에도 출혈위험이 크다
PDW
15.5~17.5ratio
17.5
12.3▼
12.3▼
18.2▲
17.2
▼혈소판 감소증이나 백혈병, 골수암
NE%
42~75%
28.1
24.8
53.1
LY%
20~50%
55.1▲
56.1▲
35.2
MO%
2~10%
11.4▲
13.7▲
9.5
EO%
0~5%
5.0
4.7
1.9
BA%
0~2%
0.4
0.7
0.3
Electrolyte battery
검사명
정상치
검사결과
임상증상
3/31
(응급)
4/2
(정규)
4/4
(응급)
4/6
(정규)
4/7
(응급)
sodium
135~145
145
142
137
139
135
▲중증당뇨환자, 혈액농축, 유문부 협착
▼수분과잉,Addison\'s disease, 점액수종
potassium
3.5~5.5
5.5
4.9
4.9
5.2
4.9
▲신장애, 발열, 핍뇨, 용혈, 조직파괴
▼체온저하, 위장관손실, 설사, 구토
chloride
98~110
96▼
97▼
95▼
89▼
96▼
▲탈수, 대사성 산증, 신염, 빈혈
▼수분과잉, 이뇨제사용, 설사, 구토
Co2, Total
24~31
40▲
33▲
32▲
33▲
35▲
Chemical battery
검사명
정상치
검사결과
임상증상
3/31
(응급)
4/2
(정규)
4/4
(정규)
4/6
(정규)
4/7
(응급)
Glucose
70~100mg/dL
88
56▼
82
98
▲142
▲당뇨병
▼당뇨병 치료 시 인슐린을 과량 사용했을 때
Creatinine
0.3~0.6mg/dL
0.4-S.B▼
0.5
0.5-S.B▼
0.6
0.5-SB▼
▲ 신혈류량 감소, 신사구체 여과치 감소, 울혈성 신부전
▼ 근영양실조, 간장애, 요붕증
BUN
8.0~20.0mg/dL
8.7
9.0
8.9
9.4
10.1
▲ 고단백식이, 신장기능 저하
Protein
6.5~8.2g/dL
6.0▼
5.6▼
6.1▼
6.4▼
5.6▼
▲ 탈수, 용혈, 스트레스, 간질환
▼단백 손실, 영양 부족
Albumin
3.5~5.1g/dL
4.5
4.3
4.5
4.7
3.9
▲ 탈수
▼ 간손상, 신증후군, 단백손실, 화상, 영양부족
AST(SGOT)
0~40IU/L
119▲
83▲
150▲
137▲
93▲
▲ 간, 심장, 근육세포 손상
ALT(SGPT)
0~40IU/L
209▲
157▲
245▲
212▲
▲139
▲ 급성 간세포 손상
Bilirubin,total
0.2~1.1mg/dL
1.0
1.6▲
1.1▲
1.0
0.8
▲후천성 황달, 간천성 황달, 포합빌리루빈의 배설장애
▼ 용혈성 빈혈
기타 검사
검사명
정상치
결과
임상증상
HBsAg
neg<0.05(IU/mL)
0.03
HBsAb
neg<10.0(IU/mL)
5.45
Anti-HIV
neg<1.00(s/co)
0.28
VDRL
non-reactive
Reactive/4×
매독, ,TPRH검사 받을 필요 있으며 ×4이므로 치료 필요
3. 최종진단명
#1. prematurity c LBW
#2. congenital syphillis
#3. PDAd;람;날;자러;alk
#4. BPDs;l다러;자자;ljjj
#5. Neonatal Hepatitis
4. 치료계획과 방법
수술일 : 4월 7일
수술명과 수술 과정
수술명 : PDA Locking
수술과정 : 흉강경을 이용하여 동맥관을 클립으로 물림
C. 간호과정 적용
진단 #1. 심장의 구조적 기능장애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 양상
진단
과학적 근거
합리적 근거
동맥관이 막히지 않고 열려있으면,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의 큰 압력 차에 의해 대동맥으로부터 온몸으로 가야 할 피의 일부가 폐로 새어 나가게 된다. 따라서 정상보다 폐혈류가 많아짐으로써 폐동맥이 늘어나며, 이것이 주변의 세기관지를 눌러 세기관지염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흔하지는 않으나 폐동맥고혈압에 의한 폐혈관질환을 야기하기도 한다. 또한 정상보다 많은 피가 좌심방·좌심실·대동맥을 흐르게 되어 심장에도 부담을 주게 된다. 호흡곤란은 주로 심장에 혈액이 정체(울혈)되면서 심실의 충만 압력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심장으로 들어오는 폐 혈관에 혈액이 정체되어 생긴다.
S : none
O : 울고 보채면서 첫 번째 SaO2 83% Check, 자주 Crying 시 Desaturation 보임, Transfer 전 병원에서부터 산소의존 현상 보인다는 의사 소견 있음 , Input에 비해 Out put의 양이 적음.
계획
목표 : 아기가 정상 호흡 유지 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대결과
간호지시
1. SaO2 농도 95% 이상으로 유지한다.
2. 호흡이 규칙적이고 힘들지 않다.
3. Input과 Output의 비율이 1:1이 된다.
1. 호흡 보조 기구의 작동상태를 이해한다.
2. SIMV mode로 M-Ventilation Kept, Intubation(3.5 Fr, 10cm 고정) 의사에 의해 시행후 V/S, Event Sx Check한다.
3. 삽관 시 분비물 고이면 Suction 시행한다.
4. 의사에 의해 처방된 약물 투여하고 부작용 주의한다.
수행/
중재
일시
간호수행 / 중재
서명
3/31~4/7
매일 monitor 통해 V/S check
수행
3/31~4/7
E-tube secretion 다량 있어 Suction freg 시행
관찰
3/31~4/7
Crying시 Desaturation 보여 Nott후 처방된 Mida 주입
관찰
4/2~4/7
새벽에 무호흡 증상 관찰되어 심폐소생술 시행, 지속적으로 Desatruration 현상 보여 Digoxin 0.015mg Q12/hr, Furo 1.8~3mg Q/12hr Order 받아서 투여
관찰
3/31~4/7
최적의 공기 교환을 위한 체위를 취한다.
관찰
3/31~4·/7
호흡기내 분비물을 묽게 하기 위해 경타, 진동, 체위 배액을 시행한다.
관찰
3/31~4/7
호흡 보조기구의 작동상태를 이해하고 분석했다.
수행
합리적 근거
1. 호흡 보조기구의 작동상태를 이해하고, 호흡기능의 사정을 빨리 파악함으로써 잠재적 인 치명적 결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2. 진동, 체위 배액등은 분비물 제거가 용이하게 한다.
3. Suction 시행은 대상자의 기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