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영환경-아프리카 시장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글로벌 경영환경-아프리카 시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반적 환경

2. 빈곤과 저성장의 원인

3. 중국의 진출과 재스민 혁명

4. 한국기업의 진출 포인트

본문내용

1. 일반적 환경

<개황>
- 아프리카 대륙의 총면적은 3,000만 ㎦이며, ‘미국+중국+유럽+인도+아르헨티나’를 합친 것보다 더 큼
- 국제적 관행은 아프리카 대륙내 경제적ㆍ사회적 차이를 감안해 ‘중동+북아프리카”를 MENA권으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를 SSA(Sub Saharan Africa)권으로 구분지음 (UN, OECD, 세계은행 등)
- 아랍인과 이슬람이 확고한 지위를 누리는 MENA권에서는 월등한 개인소득과 인종적 차이(베르베르와 투아레그 혼혈족)로 인해 SSA권(반투, 마사이, 줄루족 등)과 동일한 아프리카권에 속한다고 여기지 않음
- UN 지정 최빈국 44개국 중 33개국이 몰려 있는 SSA권에 속한 아프리카 지식인층은 또 이 지역 47개국을 마치 하나의 집단처럼 취급하는 서구언론에 강력한 불만을 토로
- 따라서 한국기업들은 진출지역이 MENA인지 SSA권인지를 구별하고, 현지인읃 대할 때도 예를 들어 “케냐의 마사이족 출신이라 체격이 훤칠하네요”라고 하는 배경지식을 습득해야 함
<정치적 환경>
- 2000년대 중반까지 아프리카에서의 민주주의는 ‘파트타임 민주주의’로 조롱받음
- 장기집권을 노리는 집권자는 헌법을 무시하거나 고치면서 출마하고, 선거과정은 항상 부정과 폭력이 난무해 UN 등의 외부감시가 일상적임
- 2012년 현재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10년 이상 집권자는 16명이나 되며, 앙골라ㆍ짐바브웨ㆍ카메룬 등 9개국에서는 20년 이상 집권 중
- 선거기간에만 달콤한 공약을 남발하고 선거 후지키지 않는 ‘파트타임 민주주의’는 위정자들이 국민의 민도와 납세능력을 무시하기 때문임
- 다수부족 국민들이 자기부족 출신 대통령을 전통적 가부장과 동일시해 독선과 無 비전적 통치행위에 크게 개의치 않는 정서가 만연
- 야당 역시 선거기간에만 우후죽순 나타난 뒤 선거 후는 국정 견제세력이라는 개념 없이 침잠함
- 1990년대 아프리카의 민주주의 실험은 남아공과 세네갈 등 소수국을 제외하면 대체로 실패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4.03.23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9092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