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요약) “초등학생들의 태권도수련이 신체조성 및 체력형성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문 요약) “초등학생들의 태권도수련이 신체조성 및 체력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초등학생들의 태권도수련이 신체조성 및 체력형성에 미치는 영향”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가설
3. 연구의 제한점
4. 용어정리

Ⅱ.이론적배경
참고문헌

Ⅲ.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 실험 도구
3.절차
4.자료처리

Ⅳ.결과
1.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 전과 후에 따른 신체조성의 변화
2.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 전과 후에 따른 체력형성의 변화

Ⅴ.논의

Ⅵ.결론 및 제언
1.결론
2.제언

본문내용

적인 스포츠라 말할 수 있다. 더불어 건강 유지와 체력증진, 인격도야를 통한 인성개발과 올바른 사회성을 함양하는 무도이자 스포츠이다. 문화관광부(2010)에 따르면 현재 초.중.고생들의 체격은 1995년에 비해 나아졌으나 체력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체력 저하와 과잉 영양섭취로 인한 비만아 증가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된다(고경환, 2004).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체력 성장 및 신체조성의 변화는 매우 중요한 시기 임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태권도가 초등학생에게 유용한 운동임을 증명하고, 초등생의 신체 및 체력발달을 위한 체계적인 태권도가 지도와 수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근거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유소년기의 신체적인 발달 속도는 대체로 완만하게 이루어지며, 근육의 발달은 몸통에서 먼 부위보다 몸통에 가까운 부위에서 더 왕성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아동의 근육은 약하고 뼈에 견고하게 부탁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쉽게 피로해지는 반면, 피로에서의 회복 속도도 아동의 근육활동에서는 변화있는 활동이 요구된다(김현종, 2009). 이에 본 연구는 태권도 수련을 통하여 초등학생들의 체력을 향상시키고 건강한 신체조성을 이루는데 그 목적을 두게된다.
2. 연구 가설
1)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 전과 후의 신체조성(신장, 체중, 체지방량)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태권도 수련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라 태권도 수련의 체력형성요인(윗몸일 으키기, 체전굴, 버피테스트, 사이드스텝, 팔굽혀펴기, 제자리멀리뛰기)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연구의 제한점
위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1) 신체조성의 측정항목은 신장, 체중, 체지방량 으로 한정하였다.
2) 위 연구의 체력형성요인의 검사항목은 윗몸일으키기, 체전굴, 버피테스트, 사이드스텝, 팔굽혀펴기, 제자리멀리뛰기로 제한하였다.
4. 용어정리
1) 초등학생은 4~6학년(11~13세)으로 제한 하였다.
Ⅱ.이론적배경
참고문헌
교육개혁위원회(1996):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교육부(1997):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교육부(1998): 이제는 행동이 달라지는 인성교육이 필요합니다. 경기도 교육 청
국기원(2003): 유품자 현황, 국기원.
권오신(1997): 가정에서 인성교육의 실태조사 연구.
김경섭, 김성수(2012):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 목표수준과 신체적 자기효능 감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제10권 1호
김길평(1999): 아동의 태권도 수련 경험과 무도 정신력 성취의 관계, 전남대 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김종덕(1997): 태권도 수련이 아동의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나광운(1993): 태권도 수련이 성장기 청소년의 정신적인 면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박기용, 김성진(2008): 초등학생 태권도 겨루기 선수와 품새 선수의 등속성 근력 및 체력비교, 한국초등체육학회지, 제14권 3호
Ⅲ.연구방법
1. 연구대상
이 연구의 대상은 3개 태권도 체육관에서 수련하는 초등학생 4~6학년에 해당하는 11세~13세의 수련생 40명(남 : 20명, 여 : 20명)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였다.
2. 조사, 실험 도구
조사, 실험도구는 <표-1>과 같다.
<표-1>조사, 실험 도구
검사도구
제조사(국가)
용도
Inbody 3.0
Biospace (Korea)
신체조성(체지방량, 체지방율, 체지방량)
초시계
Casio (Japan)
시간측정(윗몸일으키기,체전굴,버피테스트,사이드스텝, 팔굽혀펴기,제멀)
보행계수기
Yamasa (Japan)
태권도 수련시 활동량
3.절차
이 연구의 실험은 태권도 수련 전과 9개월 후에 신체조성 요인(신장, 체중, 체지방량)을 먼저 측정한 다음, 체력형성요인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 <표-2> 및 체력형성요인의 측정항목 <표-3>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윗몸일으키기
-머리 뒤로 두손을 깍지끼고 낀손이 메트에 닿아야 하며 두 팔꿈치는 무릎 에 닿아야한다.
-손이 메트에 닿지 않거나 두 팔꿈치가 무릎에 닿지 않으면 그 횟수는 무효 이다.
-깍지 낀 손이 풀리면 그 횟수는 무효이다.
-60초동안 실시하여 유효한 횟수를 측정한다.
2) 체전굴
-피 검사자는 신발과 양말을 모두 벗고 양발바닥이 측정기구의 수직면에 완 전히 밀착시겨 닿고록 하고 무릎을 바르게 편 후 바르게 앉는다.
-측정하는 동안 무릎이 구부러지면 그 측정치는 무효이다.
-동적인 행동을 하여 탄력을 주면 그 측정치는 무효이다.
-양발 사이의 너비가 5cm를 넘지 않도록 하였다.
3) 버피테스트
-차렷 자세를 취하여 시작구령과 함께 직립자세에서 두 손을 마루바닥에 짚 고, 다음에 두 발을 모아 뒤로 뻗쳐 손 짚고 엎드린 자세를 취한다.
-엎드린 자세에서 다시 두발을 모아 앞으로 끌어 당겨 먼저 자세로 되돌아 간 후 즉시 두 손을 밀어 직립 자세로 선다.
-60초 동안 되풀이 한 횟수를 측정한다.
4) 사이드 스텝
-중앙에서 양쪽으로 100cm 평행선을 긋고 중앙선에서 양쪽 발을 유지하게 한다.
-side step으로 오른쪽 선을 넘고 다시 중앙선을 거쳐서 왼쪽 혹은 오른쪽 선을 넘은 후 왼 자세로 돌아오게 한다.
-측정 중 선을 밟게 될 경우 그 횟수는 무효로 한다.
-60초 동안 바닥의 중앙을 지나간 왕복 횟수를 측정한다.
5) 팔굽혀펴기
-엎드린 자세에서 다리와 등이 일직선 상태로 되게 하여 팔을 쭉 편다.
-팔을 구부리면서 상체가 바닥에 닿을듯하게 내린다.
-엉덩이만 내려가거나 상체만 내려가는 경우 그 횟수는 무효로 한다.
-위와 같은 자세로 반복ㅎ여 60초 동안 그 횟수를 측정하였다.
6) 제자리멀리뛰기
-구름판 위에서 모둠발로 뛰어야 한다.
-구름판 앞선을 밟으면 무효료 처리한다.
-이중 점프를 하여 나온 측정치는 무효로 처리한다.
-착지 후 손을 짚거나 엉덩이가 땅에 닿으면 닿은 곳을 측정한다.
-세 번 실시하여 좋은 기록을 택하였다.
<표-2>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
개월
기본동작
발차기
품새
겨루기
1
아래, 얼굴
몸통막기
앞차기,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4.04.06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18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