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시장동향분석
2. 수제파스타 레스토랑 사업선정배경
3. 사업컨셉
4. 상호명
5. 인테리어
6. 메뉴 설명
7. 면
8. 스파게티 소스의 종류
9. 토핑
10. 음료
11. 주문방법
12. 서비스 방법
Ⅱ 본론
1. 입지분석
2. 접근성분석
3. 유동인구분석
4. 주변인구분석
5. 시장성 분석
6. 시장규모과 성장성
7. 타겟층
8. 경쟁업체분석
9. 마케팅전략
10. 영업전략
11. 수익 및 경제성분석
12. 소요자금추정
13. 지출 예상표 및 매출
1) 지출 예상표
2) 매출액
Ⅲ 결론
1. 시장동향분석
2. 수제파스타 레스토랑 사업선정배경
3. 사업컨셉
4. 상호명
5. 인테리어
6. 메뉴 설명
7. 면
8. 스파게티 소스의 종류
9. 토핑
10. 음료
11. 주문방법
12. 서비스 방법
Ⅱ 본론
1. 입지분석
2. 접근성분석
3. 유동인구분석
4. 주변인구분석
5. 시장성 분석
6. 시장규모과 성장성
7. 타겟층
8. 경쟁업체분석
9. 마케팅전략
10. 영업전략
11. 수익 및 경제성분석
12. 소요자금추정
13. 지출 예상표 및 매출
1) 지출 예상표
2) 매출액
Ⅲ 결론
본문내용
명하였다거나, 기원전 5000년경 이탈리아 중서부의 고대국가인 에트루리아족(族)이 만들어 먹었다는 등의 여러 가지 이설이 있다.
이탈리아에는 대략 11세기에 소개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후 도시간 무역에서 중요한 상품으로 거래되었다고 한다. 특히 캄파니아주(州) 나폴리에서는 건조한 기후와 소맥재배를 하고 있던 여건 때문에 건조된 파스타 면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양배추와 고기로 만든 전통 소스 대신 치즈로 양념을 하기 시작하였다. 1830년경에는 미국으로부터 토마토가 수입되면서 더욱 다양한 양념과 조리법을 갖추게 되었다.
파스타 종류는 재료에 따라 150여 가지, 면의 형태상으로 600여 가지가 넘을 정도로 매우 다양한데, 우선 면이 젖은 상태인 생(生) 파스타와 마른 상태인 건조 파스타로 나눌 수 있다. 가정에서는 보통 건조 파스타 면을 사서 이용하지만, 집에서 직접 반죽하여 생 파스타 면을 만들 수도 있다.
면의 형태면에서는 크게 롱(long) 파스타, 쇼트(short) 파스타로 나눌 수 있는데, 롱 파스타에는 스파게티(Spaghetti), 링귀니(Linguine), 페델리니(Fedelini), 카펠리니(Capellini), 탈리아텔레, 라자냐(Lasagna) 등이, 쇼트 파스타에는 리가토니(Rigatoni), 펜네(Penne), 로텔레(Rotelle), 푸질리, 마카로니, 파르팔레(Farfalle) 등이 속한다. 파스타의 주재료는 듀럼이라는 밀을 빻은 세몰리나인데, 입자가 거칠고 딱딱하다.
만드는 방법은, 우선 냄비에 파스타 양의 10배 정도의 물을 붓고 끓이는데, 보통 파스타 100g당 1리터의 물이 적당하다. 물이 끓기 시작하면 굵은 소금을 1큰술 정도 넣어야 면이 속까지 익는다. 물이 끓으면 파스타 면을 냄비 둘레에 부채꼴 모양으로 돌리면서 넣고, 중간에 면이 서로 달라붙지 않게 휘저어준다. 보통 15분 정도 삶은 다음 면을 건져 물기를 빼고 소스에 버무린다.
소스는 생선, 해산물, 육류, 달걀, 치즈, 야채, 올리브유, 버터, 생크림 등 어떤 재료로도 만들 수 있으며, 이탈리아에서는 다양한 파스타에 특정 소스를 써서 특유의 맛을 내는 전통이 이어져오고 있다
파스타는 66% 정도의 전분을 함유하고 있는 고 탄수화물 식품으로 에너지는 100g(삶지 않
은 상태, 1인분)당 325Kcal정도다. 단백질은 11% 정도 함유하고 있고, 지방은 2% 정도로 매우 낮다. 비타민이 거의 없고, 미네랄이 불균형 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이런 단점은 소스로 커버된다. 파스타 소스에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야채, 단백질이 풍부한 콩이나 육류, 해산물 등이 들어가기 때문에 모든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다.
2) 파스타 면은 두가지로 나뉘어 진다
① 생 파스타(Fresh pasta)
기본적인 재료로 드럼밀 또는 강력분, 계란, 소금, 올리브 오일로 다양한 색상이나 특유한 맛과 향의 파스타를 만든다면, 반죽을 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내용물을 첨가하면 된다. 예를 들어, 토마토 페이스트를 넣으면 붉은색의 토마토 파스타, 시금치를 갈아 넣으면 파란색의 시금치 파스타, 샤프란 우려낸 물은 넣으면 노란색의 샤프란 파스타, 오징어 먹물을 넣으면 검은색의 먹물 파스타가 만들어 지며, 이 밖에도 여러 가지 향신료나 재료로서, 다양한 후레쉬 파스타를 만들 수 있다.
② 건조 파스타(Dry Pasta)
건조 파스타는 아랍인들에 의해 전해진 것으로 아랍인들이 사막을 횡단하기 위해 얇게 민 밀가루 반죽을 가느다란 원통의 막대 모양으로 말아 건조시켜 낙타의 등에 매달고 먼 여정에 올랐던 것이 그 유래이다. 그러던 중 12세기경에 아랍인들이 남부 이탈리아의 시실리아를 점령하게 되면서 밀을 재배하여 건조 파스타를 만들기 시작하였고, 그 방법이 나폴리까지 전해지고 산업혁명을 거쳐 기계화가 진행되면서부터 이탈리아 전역에서 만들게 되었다. 수백 가지의 건조 파스타는 여러 가지의 카테고리로 나뉘는데, 길고, 짧고 평평한 모양이나,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특정 지역 특성을 띠는 모양이나, 화려한 색과 여러 가지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물의 모양을 띠는 것도 있다.
7. 면
리베르따 암 파스타레에서는 고객을 위해 생 파스타를 제공한다.
1) 숏 파스타 (Short Pasta)
종류
이름
장점
푸실리(Fusilli)
나선형 파스타.
나선의 홈에 소스가 뭍어 풍부한 소스맛을 느낄 수 있다,
팬네(Penne)
사선식 튜브모양 파스타.
튜브안으로 소스가 들어가 토마토 소스와 잘 어울린다.
카넬로니(Cannelloni)
큰 튜브모양의 파스타.
고기나 치즈로 소를 채워 토마토소스와 서브한다.
리가토니(Rigatoni)
관 모양의 큰 파스타.
소스가 잘 묻어 모든 소스에 어울린다.
파르팔리네(Farpalline)
나비 모양의 파스타.
예쁜 모양으로 선호하는 사람이 많다.
2) 롱 파스타 (Long Pasta)
종류
이름
장점
카펠리니(Capellini)
가장 얇은 파스타.
조리시간이 짧고 어떤 소스에도 잘 어울린다.
바베트(Bavette)
가장 얇은 납작한 파스타.
식감이 좋아 널리 알려진 파스타 면 중에 하나이다.
파파르델레, pappardelle
넓은 사이즈의 롱 파스타.
크림소스와 오일 소스에 어울린다.
페투치니(Fettucini)
한국의 칼국수 같은 면.
크림소스에 잘 어울린다.
라자냐(Lasgna)
폭이 넓은 조각의 파스타.
층을 낸 여러겹으로 조리하는 경우가 많다.
8. 스파게티 소스의 종류
1) 토마토 소스 (Tomato Sauce)
① 볼로네즈 (Bolognase) : 흔히 미트소스라 불리는 이태리 파스타의 대표적인 소스로 다진고기를 토마토 퓨레와 조리하여 만든다. 이태리 볼로냐지방에서 유래됨
② 뽀모도로 (Pomodoro) : 토마토라는 뜻의 이태리어로 이 단어가 들어가면 토마토를 주재로 한 소스다.
③ 아마트리키아나 (Amatriciana) : 토마토소스에 다진 베이컨을 넣고 만든 스파게티로 기름기가 적당히 있고 고소하고 깊은 향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④ 푸탄네스카 (Puttanesca) : 토마토, 양파, 올리브,케이퍼, 마늘, 앤쵸비, 칠리가루등 보통의 이탈리아 가정의 부
이탈리아에는 대략 11세기에 소개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후 도시간 무역에서 중요한 상품으로 거래되었다고 한다. 특히 캄파니아주(州) 나폴리에서는 건조한 기후와 소맥재배를 하고 있던 여건 때문에 건조된 파스타 면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양배추와 고기로 만든 전통 소스 대신 치즈로 양념을 하기 시작하였다. 1830년경에는 미국으로부터 토마토가 수입되면서 더욱 다양한 양념과 조리법을 갖추게 되었다.
파스타 종류는 재료에 따라 150여 가지, 면의 형태상으로 600여 가지가 넘을 정도로 매우 다양한데, 우선 면이 젖은 상태인 생(生) 파스타와 마른 상태인 건조 파스타로 나눌 수 있다. 가정에서는 보통 건조 파스타 면을 사서 이용하지만, 집에서 직접 반죽하여 생 파스타 면을 만들 수도 있다.
면의 형태면에서는 크게 롱(long) 파스타, 쇼트(short) 파스타로 나눌 수 있는데, 롱 파스타에는 스파게티(Spaghetti), 링귀니(Linguine), 페델리니(Fedelini), 카펠리니(Capellini), 탈리아텔레, 라자냐(Lasagna) 등이, 쇼트 파스타에는 리가토니(Rigatoni), 펜네(Penne), 로텔레(Rotelle), 푸질리, 마카로니, 파르팔레(Farfalle) 등이 속한다. 파스타의 주재료는 듀럼이라는 밀을 빻은 세몰리나인데, 입자가 거칠고 딱딱하다.
만드는 방법은, 우선 냄비에 파스타 양의 10배 정도의 물을 붓고 끓이는데, 보통 파스타 100g당 1리터의 물이 적당하다. 물이 끓기 시작하면 굵은 소금을 1큰술 정도 넣어야 면이 속까지 익는다. 물이 끓으면 파스타 면을 냄비 둘레에 부채꼴 모양으로 돌리면서 넣고, 중간에 면이 서로 달라붙지 않게 휘저어준다. 보통 15분 정도 삶은 다음 면을 건져 물기를 빼고 소스에 버무린다.
소스는 생선, 해산물, 육류, 달걀, 치즈, 야채, 올리브유, 버터, 생크림 등 어떤 재료로도 만들 수 있으며, 이탈리아에서는 다양한 파스타에 특정 소스를 써서 특유의 맛을 내는 전통이 이어져오고 있다
파스타는 66% 정도의 전분을 함유하고 있는 고 탄수화물 식품으로 에너지는 100g(삶지 않
은 상태, 1인분)당 325Kcal정도다. 단백질은 11% 정도 함유하고 있고, 지방은 2% 정도로 매우 낮다. 비타민이 거의 없고, 미네랄이 불균형 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이런 단점은 소스로 커버된다. 파스타 소스에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야채, 단백질이 풍부한 콩이나 육류, 해산물 등이 들어가기 때문에 모든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다.
2) 파스타 면은 두가지로 나뉘어 진다
① 생 파스타(Fresh pasta)
기본적인 재료로 드럼밀 또는 강력분, 계란, 소금, 올리브 오일로 다양한 색상이나 특유한 맛과 향의 파스타를 만든다면, 반죽을 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내용물을 첨가하면 된다. 예를 들어, 토마토 페이스트를 넣으면 붉은색의 토마토 파스타, 시금치를 갈아 넣으면 파란색의 시금치 파스타, 샤프란 우려낸 물은 넣으면 노란색의 샤프란 파스타, 오징어 먹물을 넣으면 검은색의 먹물 파스타가 만들어 지며, 이 밖에도 여러 가지 향신료나 재료로서, 다양한 후레쉬 파스타를 만들 수 있다.
② 건조 파스타(Dry Pasta)
건조 파스타는 아랍인들에 의해 전해진 것으로 아랍인들이 사막을 횡단하기 위해 얇게 민 밀가루 반죽을 가느다란 원통의 막대 모양으로 말아 건조시켜 낙타의 등에 매달고 먼 여정에 올랐던 것이 그 유래이다. 그러던 중 12세기경에 아랍인들이 남부 이탈리아의 시실리아를 점령하게 되면서 밀을 재배하여 건조 파스타를 만들기 시작하였고, 그 방법이 나폴리까지 전해지고 산업혁명을 거쳐 기계화가 진행되면서부터 이탈리아 전역에서 만들게 되었다. 수백 가지의 건조 파스타는 여러 가지의 카테고리로 나뉘는데, 길고, 짧고 평평한 모양이나,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특정 지역 특성을 띠는 모양이나, 화려한 색과 여러 가지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물의 모양을 띠는 것도 있다.
7. 면
리베르따 암 파스타레에서는 고객을 위해 생 파스타를 제공한다.
1) 숏 파스타 (Short Pasta)
종류
이름
장점
푸실리(Fusilli)
나선형 파스타.
나선의 홈에 소스가 뭍어 풍부한 소스맛을 느낄 수 있다,
팬네(Penne)
사선식 튜브모양 파스타.
튜브안으로 소스가 들어가 토마토 소스와 잘 어울린다.
카넬로니(Cannelloni)
큰 튜브모양의 파스타.
고기나 치즈로 소를 채워 토마토소스와 서브한다.
리가토니(Rigatoni)
관 모양의 큰 파스타.
소스가 잘 묻어 모든 소스에 어울린다.
파르팔리네(Farpalline)
나비 모양의 파스타.
예쁜 모양으로 선호하는 사람이 많다.
2) 롱 파스타 (Long Pasta)
종류
이름
장점
카펠리니(Capellini)
가장 얇은 파스타.
조리시간이 짧고 어떤 소스에도 잘 어울린다.
바베트(Bavette)
가장 얇은 납작한 파스타.
식감이 좋아 널리 알려진 파스타 면 중에 하나이다.
파파르델레, pappardelle
넓은 사이즈의 롱 파스타.
크림소스와 오일 소스에 어울린다.
페투치니(Fettucini)
한국의 칼국수 같은 면.
크림소스에 잘 어울린다.
라자냐(Lasgna)
폭이 넓은 조각의 파스타.
층을 낸 여러겹으로 조리하는 경우가 많다.
8. 스파게티 소스의 종류
1) 토마토 소스 (Tomato Sauce)
① 볼로네즈 (Bolognase) : 흔히 미트소스라 불리는 이태리 파스타의 대표적인 소스로 다진고기를 토마토 퓨레와 조리하여 만든다. 이태리 볼로냐지방에서 유래됨
② 뽀모도로 (Pomodoro) : 토마토라는 뜻의 이태리어로 이 단어가 들어가면 토마토를 주재로 한 소스다.
③ 아마트리키아나 (Amatriciana) : 토마토소스에 다진 베이컨을 넣고 만든 스파게티로 기름기가 적당히 있고 고소하고 깊은 향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④ 푸탄네스카 (Puttanesca) : 토마토, 양파, 올리브,케이퍼, 마늘, 앤쵸비, 칠리가루등 보통의 이탈리아 가정의 부
추천자료
외식기업(일식)사업계획서,swot,마케팅,손익계산(npv,irr) A+++ 레포트 직접서술
[사업계획서,창업계획서] 찾아가는 전통 도자기 제작 판매 사업계획서[2012년 평가우수자료]
[중소기업의 창업전략] 창업의 의의와 요소, 사업타당성분석, 시장성분석, 수익성분석, 사업...
[사업계획서] 온라인 반찬가게 창업 사업계획서 -사업동기, 가능성,목적
[사업계획서] 홍대앞 남성의류 편집샵 창업 사업계획서 - 남성옷 전문점 사업계획서 - 상권분...
[사업, 창업계획서] 삼각김밥(오니기리) 전문점 창업 사업계획서
[창업, 사업계획서] 대학생 취업면접 컨설팅업체 (취업컨설팅 업체) 창업 사업계획서 - Brain...
(창업·사업계획서) 3D 프린터를 활용 렌탈업체 창업 사업계획서
(창업계획서) 대학생 인턴 취업알선업체 창업 사업계획서 {사업아이템 소개와 기대효과, 서비...
[게스트하우스 창업 사업계획서] 해외관광객 대상으로 게스트하우스 창업 사업계획서 PPT
[커피전문점 창업 사업계획서 PPT] 카페창업 사업계획서,사업아이템 소개
[어플리케이션 개발 사업계획서] PC방 빈자리찾기 어플 개발 창업 사업계획서,창업동기와 사...
(카페창업 사업계획서) : 중고품거래 카페 창업 사업계획서
밥버거 창업계획서 PPT(밥버거사업계획서 창업시장분석 봉구스밥버거 마케팅계획 추정창업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