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프로이드의 무의식
2. 나의 행동이 어떤 무의식 자료와 연결되는지 탐색
1) 꿈
2) 저항
3) 정화
4) 억압
5) 거부
6) 욕구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프로이드의 무의식
2. 나의 행동이 어떤 무의식 자료와 연결되는지 탐색
1) 꿈
2) 저항
3) 정화
4) 억압
5) 거부
6) 욕구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점이다. 즉, 의식 상태에서 붙잡아두기에는 너무 위협적이거나 고통스러운 경험들의 대부분이 이러한 무의식 상태로 잠복한다. 극도로 창피하거나, 너무나도 괴로웠던 심리적 경험들은 계속해서 기억하기보다는 차라리 잊어버리는 것이 낫다고 마음속에서 결정되어 기억에서 없애버리는 것이다. 여기서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기억 속에서 사라진 수치스러운 기억들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무의식의 저장고 속에 남아 계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우리는 자신에 관해 극히 일부분만 깨닫고 있으며, 깨어있는 의식은 무의식의 지배를 받게 된다. 우리가 겪는 심리적 문제는 결국 무의식이 작용한 결과로 생겨난 일이다. 무의식의 저장고에 고이 있어야 할 고통스러운 기억들이 마음의 방어력이 약해진 틈을 타고 의식 상태로 올라오려 하는 과정에서 심리적인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자기 자신의 행동을 살펴보고, 그 행동이 어떤 무의식 자료와 연결되는지 탐색해 보았다. 인간의 언어에 프로이트의 무의식으로 시작된 여러 정신분석학을 대입한 라캉의 논리는 무의식에 대해 인간은 자신의 의미하는 바와 의미하지 않는 바를 동시에 말한다. 고 한다. 그들은 무엇을 얻든 좀 더 많은 것, 좀 더 다른 것을 원한다. 그들은 늘 자신이 원하는 것의 일부만을 얻고 있음을 의식한다.(무의식 속에는 억압된 모든 욕망이 들어 있고 그 욕망의 극히 일부만을 얻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는 뜻) 프로이트의 무의식은 사회적 규범이나 이성에 의해 억압된 개인의 욕망충동 으로 구성되어진다면 라캉의 그것은 주체가 태어날 때도 이미 존재하고 있던 전통, 규범, 언어체계가 그의 정신에 침투하여 형성되어진 기표들의 세계 이다. 라캉은 정신분석이 과학이 될 수 있으려면 우리가 정신분석의 경험에서 의미를 재발견해야 하며 이 목표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프로이트의 저작으로 돌아가는 것뿐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것은 오직 단 하나의 매체, 발화 (speech)에 의해 가능하다. 즉 라캉의 무의식은 타자의 담론 이며 이 무의식은 초개인적인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강영계(2001). 정신분석이야기』, 건국대학교출판부.
최승희 외(2004). 인간관계를 위한 심리학, 박영사.
Sigmund Freud, 윤희기 역(1997). 무의식에 관하여. 열린 책들.
캘빈 S. 홀, 백상창 역(1996). 프로이트 심리학. 문예출판사.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자기 자신의 행동을 살펴보고, 그 행동이 어떤 무의식 자료와 연결되는지 탐색해 보았다. 인간의 언어에 프로이트의 무의식으로 시작된 여러 정신분석학을 대입한 라캉의 논리는 무의식에 대해 인간은 자신의 의미하는 바와 의미하지 않는 바를 동시에 말한다. 고 한다. 그들은 무엇을 얻든 좀 더 많은 것, 좀 더 다른 것을 원한다. 그들은 늘 자신이 원하는 것의 일부만을 얻고 있음을 의식한다.(무의식 속에는 억압된 모든 욕망이 들어 있고 그 욕망의 극히 일부만을 얻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는 뜻) 프로이트의 무의식은 사회적 규범이나 이성에 의해 억압된 개인의 욕망충동 으로 구성되어진다면 라캉의 그것은 주체가 태어날 때도 이미 존재하고 있던 전통, 규범, 언어체계가 그의 정신에 침투하여 형성되어진 기표들의 세계 이다. 라캉은 정신분석이 과학이 될 수 있으려면 우리가 정신분석의 경험에서 의미를 재발견해야 하며 이 목표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프로이트의 저작으로 돌아가는 것뿐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것은 오직 단 하나의 매체, 발화 (speech)에 의해 가능하다. 즉 라캉의 무의식은 타자의 담론 이며 이 무의식은 초개인적인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강영계(2001). 정신분석이야기』, 건국대학교출판부.
최승희 외(2004). 인간관계를 위한 심리학, 박영사.
Sigmund Freud, 윤희기 역(1997). 무의식에 관하여. 열린 책들.
캘빈 S. 홀, 백상창 역(1996). 프로이트 심리학. 문예출판사.
추천자료
인터넷 포털 사이트 뉴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 일본의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 한ㆍ일의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분석 및 연계에 대하여
금기를통해본한국사회--여성사례 한일양국 금기비교중점-(A+)
칼로저스의 인간중심치료
사회복지조사
레포트_문학(서정주의시세계)
[진로교육]진로교육(진로지도)의 개념과 필요성, 중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목표, 중학교진...
[한국현대문학] 이청준 『소문의 벽』작가소개와 작품분석 및 등장인물분석
[노작교육][손놀림노작활동][ICT(정보통신기술)활용학습]노작교육의 정의, 노작교육의 중요성...
[가상교실][가상고등학교][가상학습공동체][가상학원][가상학교][가상교육기관]가상교실, 가...
청소년 자아정체감 형성 개념 정리 및 실제 사례 분석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교원,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교육, 양성평등(남녀평등)과 성교육, 양성...
[문학표현, 문학표현과 비유, 문학표현과 처용가, 자연주의, 심미, 이야기, 표현주의]문학표...
노인과 죽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