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비형식적 오류의 정의
Ⅱ. 비형식적 오류의 유형 및 로미오와 줄리엣의 오류 적용
Ⅱ. 비형식적 오류의 유형 및 로미오와 줄리엣의 오류 적용
본문내용
스스로 참이라는 것에 대한 확신을 못하는것)
28) 요즘도 커닝을 합니까?
▷두 개의 질문을 의도적으로 한꺼번에 상대에게 제시함으써 상대를 난처한 입장에 빠지게 논증을 구성한다면 이 경우 복합질문의 오류 (답변자에게 불리한 대답을 유도)
29)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두 개의 대안만 제시하고 이것이 가능한 대안 전부인 것처럼 믿게끔 유도하여 어느 경우를 선택하더라도 곤경에 처하게 할 목적으로 제시되는 논증은 거짓 이분법의 오류 (흑백사고의 오류나 양도논법의 오류로 불린다)
30)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
▷애매한 표현을 사용하여 상대의 판단을 혼란스럽게 할 의도가 있을 경우에 문제가 생긴다 이때 애매어의 오류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가 될수 있을 정도로 애매하다)
※본문-“분별없은 감정으로 인해 우리 모두 슬픔에 젖어 있지만, 감정의 눈물은 이성의 웃음거리가 되는 거라오.”
⇒신부의 대사로서 애매한 표현을 겹쳐 사용함으로 논자의 의견을 주장하고 있다.
31) 코로이수스왕의 실수
▷애매구는 단어가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가짐으로써 발생하는 의미론적 애매성과는 달리 문장 구조 때문에 생기는 애매성 (애매구의 오류는 논자가 구조적 결함 때문에 애매한 진술을 잘못 해석하여 이 잘못 해석된 것을 근거로 결론을 이끌어 낼 경우 발생)
※본문-“더 어린 나이에 행복한 어머니가 되기도 합니다.”
⇒위의 말에서는 두가지 의미로 해석해 볼수있다 첫 번째는 어린 나이로 인해 행복해진 어머니, 두 번째는 행복한 어머니의 나이가 어린것 이렇게 해석해 볼수 있다.
32) 범주착오
▷정신적 현상도 물리적인 인과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이것은 자연에 적용가능한 법칙을 정신에 잘못 적용하는 범주착오의 오류 (동일한 범주에 속하지 않는 단어를 혼동하여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사용할 경우 발생)
※본문-“오! 다시 한번말해주세요 빛나는 태양이여”
⇒위 대사는 물리적이나 자연주의적 현상에 어긋나는 논리적 오류를 범하고 있다 태양이란 사물자체는 말을 할수없는 존재임에도 불구 하고 말하는 논자는 어떤 답을 원하고있다. 하지만 정신적현상으로는 작용가능하다
※본문-“그 사랑이란 놈은 눈 없이도 가고 싶은 길을 잘도 찾아가는군!
⇒이글 역시 자연적인 현상으로는 설명할수 없는 사랑에 물리적인 의미를 두고있는 범주착오의 오류를 범하고 있는 대사이다
33) 술꾼 일등 항해사의 재치
▷어디에다 강조점을 두는가에 따라 전혀 다른 해석이 가능하게 되고 이 때문에 논리적 판단을 흐리게 하는 오류가 발생할 때 통상 강조의 오류 (어디에다가 강조를 하여 대답하면 동문서답이 되는 꼴)
34) 버터와 계란과 샐러드가 오믈렛은 아니다
▷부분들의 성질이 A라는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해서 그것으로부터 그것들로 이루어진 전체 역시 A라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추리한다면 부분들을 전체의 성질로 잘못 결합하는 오류 보통 결합의 오류로 불린다 (전체는 부분들의 단순한 합이 아니다)
35) GNP 만불의 허상
▷전체의 성질을 부분들 하나하나의 성질로 아무런 제한없이 그대로 환원하는 것 일종의 분해의 오류 (결합의 오류와는 방향이 반대)
36) 아전인수
▷정의하는 목적이 자신의 주장이 참임을 관철시키기 위한 논리적 전략으로 이용 이것은 일종의 은밀한 재정의의 오류 (아전인수식으로 자기 기준에 의해 다시 정의하는 위험한 짓)
37) 원칙을 혼동한 부자 청년
▷모든 일에는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이 있다 그러나 원칙들 중에도 상황에 따라서 급하게 지켜야 할 원칙이 있고 나중에 지켜도 될 원칙이 있다 만약 이런 상황에 맹목적인 사람이 있다면 바로 원칙혼동의 오류 (완급을 못 가림으로써 일을 그르치는 경우)
28) 요즘도 커닝을 합니까?
▷두 개의 질문을 의도적으로 한꺼번에 상대에게 제시함으써 상대를 난처한 입장에 빠지게 논증을 구성한다면 이 경우 복합질문의 오류 (답변자에게 불리한 대답을 유도)
29)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두 개의 대안만 제시하고 이것이 가능한 대안 전부인 것처럼 믿게끔 유도하여 어느 경우를 선택하더라도 곤경에 처하게 할 목적으로 제시되는 논증은 거짓 이분법의 오류 (흑백사고의 오류나 양도논법의 오류로 불린다)
30)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
▷애매한 표현을 사용하여 상대의 판단을 혼란스럽게 할 의도가 있을 경우에 문제가 생긴다 이때 애매어의 오류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가 될수 있을 정도로 애매하다)
※본문-“분별없은 감정으로 인해 우리 모두 슬픔에 젖어 있지만, 감정의 눈물은 이성의 웃음거리가 되는 거라오.”
⇒신부의 대사로서 애매한 표현을 겹쳐 사용함으로 논자의 의견을 주장하고 있다.
31) 코로이수스왕의 실수
▷애매구는 단어가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가짐으로써 발생하는 의미론적 애매성과는 달리 문장 구조 때문에 생기는 애매성 (애매구의 오류는 논자가 구조적 결함 때문에 애매한 진술을 잘못 해석하여 이 잘못 해석된 것을 근거로 결론을 이끌어 낼 경우 발생)
※본문-“더 어린 나이에 행복한 어머니가 되기도 합니다.”
⇒위의 말에서는 두가지 의미로 해석해 볼수있다 첫 번째는 어린 나이로 인해 행복해진 어머니, 두 번째는 행복한 어머니의 나이가 어린것 이렇게 해석해 볼수 있다.
32) 범주착오
▷정신적 현상도 물리적인 인과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이것은 자연에 적용가능한 법칙을 정신에 잘못 적용하는 범주착오의 오류 (동일한 범주에 속하지 않는 단어를 혼동하여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사용할 경우 발생)
※본문-“오! 다시 한번말해주세요 빛나는 태양이여”
⇒위 대사는 물리적이나 자연주의적 현상에 어긋나는 논리적 오류를 범하고 있다 태양이란 사물자체는 말을 할수없는 존재임에도 불구 하고 말하는 논자는 어떤 답을 원하고있다. 하지만 정신적현상으로는 작용가능하다
※본문-“그 사랑이란 놈은 눈 없이도 가고 싶은 길을 잘도 찾아가는군!
⇒이글 역시 자연적인 현상으로는 설명할수 없는 사랑에 물리적인 의미를 두고있는 범주착오의 오류를 범하고 있는 대사이다
33) 술꾼 일등 항해사의 재치
▷어디에다 강조점을 두는가에 따라 전혀 다른 해석이 가능하게 되고 이 때문에 논리적 판단을 흐리게 하는 오류가 발생할 때 통상 강조의 오류 (어디에다가 강조를 하여 대답하면 동문서답이 되는 꼴)
34) 버터와 계란과 샐러드가 오믈렛은 아니다
▷부분들의 성질이 A라는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해서 그것으로부터 그것들로 이루어진 전체 역시 A라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추리한다면 부분들을 전체의 성질로 잘못 결합하는 오류 보통 결합의 오류로 불린다 (전체는 부분들의 단순한 합이 아니다)
35) GNP 만불의 허상
▷전체의 성질을 부분들 하나하나의 성질로 아무런 제한없이 그대로 환원하는 것 일종의 분해의 오류 (결합의 오류와는 방향이 반대)
36) 아전인수
▷정의하는 목적이 자신의 주장이 참임을 관철시키기 위한 논리적 전략으로 이용 이것은 일종의 은밀한 재정의의 오류 (아전인수식으로 자기 기준에 의해 다시 정의하는 위험한 짓)
37) 원칙을 혼동한 부자 청년
▷모든 일에는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이 있다 그러나 원칙들 중에도 상황에 따라서 급하게 지켜야 할 원칙이 있고 나중에 지켜도 될 원칙이 있다 만약 이런 상황에 맹목적인 사람이 있다면 바로 원칙혼동의 오류 (완급을 못 가림으로써 일을 그르치는 경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