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족건강관리 측면에서 본 영화 ‘오아시스’
2. 영화 ‘오아시스’ 내의 가족건강상의 문제
1) 원인
2) 시도되었던 문제 해결 방법
3. 내가 생각하는 개선책
2. 영화 ‘오아시스’ 내의 가족건강상의 문제
1) 원인
2) 시도되었던 문제 해결 방법
3. 내가 생각하는 개선책
본문내용
병의 원인으로 이중구속가설을 끌어내었다. 이중구속가설에 의하면 정신분열병 환자는 특정한 사람, 대개 어머니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데 어머니는 자녀와의 의사소통에서 자녀가 반응하기 힘든 모순적인 메시지를 주어 자녀를 정신분열병으로 몰고 간다는 것이다.
사회에서는 전과범인 홍종두를 무능력자로 간주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도 못 벌고 전과범이며 약간 덜떨어져 보이는 그는 무능력자로 보이게 되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한 종두를 가족들은 외면한다.
영화에서 “삼촌, 정말 미안한 말인데... 삼촌이 없을 땐 살 것 같았어요. 난 정말 삼촌이 싫어요.” 라고 그의 형수가 말한다. 형수의 말과 그가 수감생활 중 아무 언급 없이 이사를 가는 가족들, 그가 감옥에서 나오던 날 마중은커녕 추운 겨울임에도 불구하고 여름에 수감되었기 때문에 여름옷을 그대로 걸치고 거리를 헤매는 ‘종두’, 하지만 그의 가족들은 연락조차 되지 않는다. 또 형을 대신해 수감생활을 한 것이 당연한 듯 여기는 그의 가족들 모습은 그가 이 가족 내에서 어떠한 취급을 당하는 지 알 수 있다. 가족들은 종두가 사라져 버렸음 하는 존재로 취급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다 보니 그가 가족건강관리 대상이 되는지 안 되는지는 뻔한 일이다. 그가 무엇을 먹고 다니는지, 무엇을 하고 다니는지, 누구와 만나고, 접촉하는지 가족들이 알바가 아니다.
1) 그 원인
‘한공주’의 가족들이 ‘한공주’의 건강에 대해 신경을 쓰지 않게 된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먼저 정보의 결여 때문이다. 중증 장애인 환자가 상식에서 벗어난 행동을 하는 것과 정신적인 붕괴를 보이는 것에 대한 원인과 정도에 대한 인식이 거의 없다. 환자에 대한 진단과 치료에 대해 미심쩍어하고 종종 임의적이고 이상하다고 생각한다. 가장 큰 불만으로 느끼는 것은 치료자가 가족에게 아무런 정보도 제공하지 않고 지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두 번째 이유로 부담이라는 문제가 있다. 정신장애인의 가족들이 힘들어하는 문제들로는 경제적 고갈, 수면장애, 일상생활의 리듬이 깨어지는 것, 건강상태의 악화, 우울증, 정신분열병환자의 예측할 수 없는 행동에 대한 두려움, 의사소통에서의 어려움, 가족관계와 부부관계에서의 긴장 등으로 나타난다. 세 번째로 부적절한 대처 기술에 있다. 환자가 이해가 안 되는 행동을 할 때는 불안해 하고, 환자가 위험한 행동을 할 경우 거기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어서 느끼는 죄의식 등으로 나타난 모습이다. 넷
사회에서는 전과범인 홍종두를 무능력자로 간주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도 못 벌고 전과범이며 약간 덜떨어져 보이는 그는 무능력자로 보이게 되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한 종두를 가족들은 외면한다.
영화에서 “삼촌, 정말 미안한 말인데... 삼촌이 없을 땐 살 것 같았어요. 난 정말 삼촌이 싫어요.” 라고 그의 형수가 말한다. 형수의 말과 그가 수감생활 중 아무 언급 없이 이사를 가는 가족들, 그가 감옥에서 나오던 날 마중은커녕 추운 겨울임에도 불구하고 여름에 수감되었기 때문에 여름옷을 그대로 걸치고 거리를 헤매는 ‘종두’, 하지만 그의 가족들은 연락조차 되지 않는다. 또 형을 대신해 수감생활을 한 것이 당연한 듯 여기는 그의 가족들 모습은 그가 이 가족 내에서 어떠한 취급을 당하는 지 알 수 있다. 가족들은 종두가 사라져 버렸음 하는 존재로 취급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다 보니 그가 가족건강관리 대상이 되는지 안 되는지는 뻔한 일이다. 그가 무엇을 먹고 다니는지, 무엇을 하고 다니는지, 누구와 만나고, 접촉하는지 가족들이 알바가 아니다.
1) 그 원인
‘한공주’의 가족들이 ‘한공주’의 건강에 대해 신경을 쓰지 않게 된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먼저 정보의 결여 때문이다. 중증 장애인 환자가 상식에서 벗어난 행동을 하는 것과 정신적인 붕괴를 보이는 것에 대한 원인과 정도에 대한 인식이 거의 없다. 환자에 대한 진단과 치료에 대해 미심쩍어하고 종종 임의적이고 이상하다고 생각한다. 가장 큰 불만으로 느끼는 것은 치료자가 가족에게 아무런 정보도 제공하지 않고 지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두 번째 이유로 부담이라는 문제가 있다. 정신장애인의 가족들이 힘들어하는 문제들로는 경제적 고갈, 수면장애, 일상생활의 리듬이 깨어지는 것, 건강상태의 악화, 우울증, 정신분열병환자의 예측할 수 없는 행동에 대한 두려움, 의사소통에서의 어려움, 가족관계와 부부관계에서의 긴장 등으로 나타난다. 세 번째로 부적절한 대처 기술에 있다. 환자가 이해가 안 되는 행동을 할 때는 불안해 하고, 환자가 위험한 행동을 할 경우 거기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어서 느끼는 죄의식 등으로 나타난 모습이다. 넷
추천자료
장애인의여가활동 설문조사레포트
강박장애인의 취업후 직업적응
시청각장애인의 TV방송 접근실태와 개선 방안
지체장애아동을 위한 여가프로그램
시청각장애인의 TV방송 접근실태와 개선 방안
뇌성마비장애인의결혼을통한삶의태도변화
제 8요일 과 다운증후군의 특징, 정신지체발달장애 dsm진단
[지체장애학생연구] 보조공학
소집단수업(모둠수업, 소집단학습)의 필요성, 소집단수업(모둠수업, 소집단학습)과 학습장애,...
장애인의삶의질에영향을미치는요인/산재장애인의삶의질의개념
지적장애인의 식탐관리
시각장애 및 정신지체장애인 사회복지현장실습일지
장애인성공사례-특수체육학과에 재학중인 지체장애인, 장애인올림픽 메달획득 사례관리
[장애유형과 특성] 외부 신체기능장애, 내부기관장애, 정신적 장애의 특성(지체장애,뇌병변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