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호패는 1413년(태종 13)에 처음으로 시행되었는데, 그 뒤 숙종 초까지 5차례나 중단되었다. 호패의 사용이 여러 번 중단된 것은 백성이 호패를 받기만 하면 곧 호적과 군적에 올려져 군정으로 뽑히거나 그 밖에 국역을 져야만 했으므로, 이를 기피한 까닭에 실질적 효과가 없었기 때문이다. 특히, 이를 계기로 일반 백성은 국역을 피하여 양반의 노비로 들어가는 경향이 늘어나고, 호패의 위조•교환 등 불법이 증가하여 국가적 혼란이 격심해졌다.
추천자료
일본과 공존 공영하는 우리의 대응 전략
조선왕조의 기본성격(초기 정치·경제·사회·문화를 중심으로...)
척화표의 영수 김상헌 발표자료
고려시대의 왕권강화
세종대왕의 리더십
황제제도의 기원과 발달
평안북도(平安北道)의 개관 및 발전방향
[금융시장론] 원자재 가격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우리나라의 쌀문화) 한국 쌀문화의 변천단계와 영양적 특성 및 기능, 쌀의 생산과 소비 및 건강
[외국 음식문화] 호주의 식생활 문화
청계천 복원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조선시대 상설구빈기관들의 특징과 역할에 대해 서술
조선시대 상설구빈기관들의 특징과 역할에 대해 서술하시오
7~8세기 토번(吐藩)과 당(唐)의 관계에 대해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