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건설사업의 관리(CM)
1. CM(건설 사업관리 Construction Management)이란
2. CM제도의 의미는
3. CM(건설사업관리)의 도입 배경은
Ⅲ. 건설사업의 공사시간
Ⅳ. 건설사업의 발전소전문건설회사
Ⅴ. 건설사업의 사례
1. 천성산구간 환경영향 공동조사
2. 환경협의체 구성․운영
3. 민원해결 특별대책반 운영
4. 정책부서의 적극적인 해결노력
Ⅵ. 결론
참고문헌
Ⅱ. 건설사업의 관리(CM)
1. CM(건설 사업관리 Construction Management)이란
2. CM제도의 의미는
3. CM(건설사업관리)의 도입 배경은
Ⅲ. 건설사업의 공사시간
Ⅳ. 건설사업의 발전소전문건설회사
Ⅴ. 건설사업의 사례
1. 천성산구간 환경영향 공동조사
2. 환경협의체 구성․운영
3. 민원해결 특별대책반 운영
4. 정책부서의 적극적인 해결노력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발전회사는 순수한 의미의 발전기술회사가 되어 현재 보다 발전기술력은 더욱 더 크게 향상될 것이다.
참고로 현재 각 발전회사 별로 전국에 걸쳐 건설 중 이거나 건설 준비 중인 발전소는 총 10개소로 구체적인 현황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논의들이 관계기관에서 하루빨리 이루어져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관련법규와 규정이 빠른 시일 내에 제정되기를 기대한다.
Ⅴ. 건설사업의 사례
개통 1년 지연시 사회경제적 손실비용 약 2조 5천억 원
1. 천성산구간 환경영향 공동조사
- 환경불신과 갈등의 해결을 위해 환경영향 공동조사를 시행하기로 승려 지율과 합의
- “천성산 원효터널 구간의 환경영향 공동조사” 합의 및 승려 지율의 단식 중단
- 환경영향 공동조사단 구성(지율측과 공단에서 각 7인 추천)
- 3개월간의 환경영향 공동조사를 시행하고 그 합의결과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미합의시 조사자료를 대법원에 제출하여 재판결과에 따름)
2. 환경협의체 구성운영
지자체, 시민환경단체, 지역 주요인사, 관련 전문가, 사업시행자 등으로 이루어진 환경협의체를 구성하여 사업시행상 환경분야 전반에 걸친 자문 등을 실시한다.
사업시행상 환경분야 전반에 걸친 자문
공단이 발주한 환경영향조사에 대한 자문
시공사 및 용역사의 환경활동에 대하여 필요시 현장 합동점검
환경에 대한 직원교육(초빙강사로 활용)
환경영향조사 보고서 검토 등의 자문
국책사업의 추진과 관련하여 환경 시민단체 및 환경전문가 그룹 등과 협력관계를 강화하고 친환경 네트워크 조직의 기반을 구축하여 사업추진 장애요인을 사전 차단한다.
3. 민원해결 특별대책반 운영
민원해결 특별대책반을 운영하여 주요 민원업무에 대한 지역주민 및 관련 지자체를 직접 방문하여 고속철도 건설공사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주민 요구사항 청취 등 민원해소 방안 수립시행한다. 철도시설공단 영남지역본부장을 반장으로 민원대책팀, 본부지원팀으로 구성된 민원해결 특별대책반 구성운영한다.
- 철도시설공단 현안대책회의
4. 정책부서의 적극적인 해결노력
현안 관리대장을 작성, 매주 관리실태를 지도점검하고, 현안해소 지연시 사업정책부서인 건설교통부에서 직접 현지확인을 통한 정확한 쟁점파악과 관련지자체 협의시 참여하여 국책사업에 대한 신뢰도를 제고하고 원만한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Ⅵ. 결론
일본 건설회사의 경우 시미즈(淸水)건설, taisei(大成)건설 등이 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기존에 각 분야에서 사용하던 시스템들을 통합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건축시공과정에서 cad와 simulation의 통합화의 방안으로써 1991년 大成建設에서는 3차원 그래픽과 건축시공과정의 접목의 일환으로 신공법에 대한 공정전반의 설명, rc적층공법에 있어서 pc부재 결합 simulation, 신입사원의 교량제작 실습용으로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또한 loran-t(long range architectural networking in taisei)을 1991년 초에 개발하여 현재 실용중에 있으며, 이 시스템은 건물설계를 위해 기본정보를 지닌 건축 모형을 이용하는 통합시스템으로 programming and schematic design, 계획설계, 기본설계 및 상세설계와 견적 및 건설공사부분에서 사용되도록 되어 있으며, 세계적으로 알려진 통합시스템의 대표적인 모델이다.
大林組에서는 건설공정의 대부분을 로보트 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이것의 선행과제가 건축과정의 cad화와 edb로서 시스템통합이라는 전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竹中工務店에서는 데이터의 집약(data integrity)를 표방하며, cic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본 건설업계에서는 ec화, 인력부족난의 해소책, 경기예측을 통한 시장수요 창출형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computer의 사용을 극대화 하고 있으며 이것을 정보통합화 방안으로 cic, cim의 개념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형진, 건설사업 초기단계 사업비 관리 시스템,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박병권 외 3명, 해외 플랜트 건설사업 계획단계의 리스크 중요도 산정, 한국건설관리학회, 2011
박정환 외 1명, 건설현장 건설사업 관리자의 직무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 2010
이웅균 외 5명, 사례분석을 통한 건설사업관리 대가산정 방법 개선,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이찬식, 환경친화적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개발, 인천대학교, 2009
전미연 외 1명, 건설사업 성과목표수립 단계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
참고로 현재 각 발전회사 별로 전국에 걸쳐 건설 중 이거나 건설 준비 중인 발전소는 총 10개소로 구체적인 현황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논의들이 관계기관에서 하루빨리 이루어져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관련법규와 규정이 빠른 시일 내에 제정되기를 기대한다.
Ⅴ. 건설사업의 사례
개통 1년 지연시 사회경제적 손실비용 약 2조 5천억 원
1. 천성산구간 환경영향 공동조사
- 환경불신과 갈등의 해결을 위해 환경영향 공동조사를 시행하기로 승려 지율과 합의
- “천성산 원효터널 구간의 환경영향 공동조사” 합의 및 승려 지율의 단식 중단
- 환경영향 공동조사단 구성(지율측과 공단에서 각 7인 추천)
- 3개월간의 환경영향 공동조사를 시행하고 그 합의결과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미합의시 조사자료를 대법원에 제출하여 재판결과에 따름)
2. 환경협의체 구성운영
지자체, 시민환경단체, 지역 주요인사, 관련 전문가, 사업시행자 등으로 이루어진 환경협의체를 구성하여 사업시행상 환경분야 전반에 걸친 자문 등을 실시한다.
사업시행상 환경분야 전반에 걸친 자문
공단이 발주한 환경영향조사에 대한 자문
시공사 및 용역사의 환경활동에 대하여 필요시 현장 합동점검
환경에 대한 직원교육(초빙강사로 활용)
환경영향조사 보고서 검토 등의 자문
국책사업의 추진과 관련하여 환경 시민단체 및 환경전문가 그룹 등과 협력관계를 강화하고 친환경 네트워크 조직의 기반을 구축하여 사업추진 장애요인을 사전 차단한다.
3. 민원해결 특별대책반 운영
민원해결 특별대책반을 운영하여 주요 민원업무에 대한 지역주민 및 관련 지자체를 직접 방문하여 고속철도 건설공사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주민 요구사항 청취 등 민원해소 방안 수립시행한다. 철도시설공단 영남지역본부장을 반장으로 민원대책팀, 본부지원팀으로 구성된 민원해결 특별대책반 구성운영한다.
- 철도시설공단 현안대책회의
4. 정책부서의 적극적인 해결노력
현안 관리대장을 작성, 매주 관리실태를 지도점검하고, 현안해소 지연시 사업정책부서인 건설교통부에서 직접 현지확인을 통한 정확한 쟁점파악과 관련지자체 협의시 참여하여 국책사업에 대한 신뢰도를 제고하고 원만한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Ⅵ. 결론
일본 건설회사의 경우 시미즈(淸水)건설, taisei(大成)건설 등이 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기존에 각 분야에서 사용하던 시스템들을 통합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건축시공과정에서 cad와 simulation의 통합화의 방안으로써 1991년 大成建設에서는 3차원 그래픽과 건축시공과정의 접목의 일환으로 신공법에 대한 공정전반의 설명, rc적층공법에 있어서 pc부재 결합 simulation, 신입사원의 교량제작 실습용으로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또한 loran-t(long range architectural networking in taisei)을 1991년 초에 개발하여 현재 실용중에 있으며, 이 시스템은 건물설계를 위해 기본정보를 지닌 건축 모형을 이용하는 통합시스템으로 programming and schematic design, 계획설계, 기본설계 및 상세설계와 견적 및 건설공사부분에서 사용되도록 되어 있으며, 세계적으로 알려진 통합시스템의 대표적인 모델이다.
大林組에서는 건설공정의 대부분을 로보트 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이것의 선행과제가 건축과정의 cad화와 edb로서 시스템통합이라는 전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竹中工務店에서는 데이터의 집약(data integrity)를 표방하며, cic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본 건설업계에서는 ec화, 인력부족난의 해소책, 경기예측을 통한 시장수요 창출형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computer의 사용을 극대화 하고 있으며 이것을 정보통합화 방안으로 cic, cim의 개념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형진, 건설사업 초기단계 사업비 관리 시스템,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박병권 외 3명, 해외 플랜트 건설사업 계획단계의 리스크 중요도 산정, 한국건설관리학회, 2011
박정환 외 1명, 건설현장 건설사업 관리자의 직무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 2010
이웅균 외 5명, 사례분석을 통한 건설사업관리 대가산정 방법 개선,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이찬식, 환경친화적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개발, 인천대학교, 2009
전미연 외 1명, 건설사업 성과목표수립 단계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