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와성어의탐구중간기말_인덱스_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사와성어의탐구중간기말_인덱스_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구통, 脊:평상, 腹:항아리, 尾:새끼줄
도청도설(道聽塗說): =口耳之學
촌철살인(寸鐵殺人): =頂門一針, 一針見血
사불급설(駟不及舌): [論語] 孔子가 한 말. 舌=言語
삼인성호(三人(言而)成虎): [戰國策,魏策]龐(위나라신하)와 太子가 함께 趙수도 邯鄲에
계포일락(季布一諾): 楚나라 曹丘生이 季布를 만나려고 ‘두장군’에게 부탁
구여현하(口如懸河): =言若懸河
구화지문(口禍之門): [寶鑑,言語篇] 口是禍之門 舌是斬身刀
중구삭금(衆口金): [古諺]
수석침류(漱石枕流): [晋書,孫楚傳]孫楚와 王濟의 대화에서 손초가 漱流枕石을 실수함.
/// 臨機應變
선즉제인(先則制人): ↔後則爲人所制(=制於人) 예)바둑, 전쟁
성동격서(聲東擊西): =圖南意在北
계륵(鷄肋): [三國志]조조가 유비지역인 ‘한중땅’ 공격 실패. 조조 부하 楊修가 눈치챔
순망치한(脣亡齒寒): [春秋左氏傳]=輔車相依, 假道滅// 晉의 제후가 虞나라 길을 빌려
을 치려함. 宮之奇 간청. 병자일이 초하루인 12월 진이 괵 멸망
괵의 제후 醜가 京師로 달아남.
이도삼살사(二桃殺三士): [晏子春秋]晏子(齊나라사람) 齊 景公을 섬김.
以夷制夷의 좋은 예. 公孫接, 田開强, 古冶子(뛰어남 나중 죽음)
배수진(背水陣): [史記,淮陰侯列傳] 韓信의 병법. 趙나라 격파//이순신必生則死 必死則生
이이제이(以夷制夷): =以夷伐夷, 以冷治冷, 以熱治熱, 以毒攻毒
칠종칠금(七縱七擒):
--------------------------------------------------------------------
중간고사 문제
1.다음 빈칸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肝膽相(照)
2.토포악발(吐哺握髮)과 관련 있는 인물은? 4.周公
3.다음 고사성어가 나온 이야기를 읽고, 빈칸에 들어갈 고사성어를 한자로 쓰시오.
馬氏네 오형제 중에 馬良이 여러 방면에서 가장 뛰어났다. 마량은 흰 눈썹이 있어서,
사람들이 (白)(眉)라고 불렀는데, 후에는 여럿 가운데 가장 뛰어난 사람이나 물건을 일컫는
말로 일반화되었다.(두글자를 붙여쓸것)
4.촌철살인(寸鐵殺人)이란 말은 짧지만 핵심을 찌르는 한마디 말을 가리킨다. 이와 유사한
고사성어로 ( )속에 공통으로 들어갈 두 글자를 한자로 쓰시오. (一)(針)見血 頂門(一)(針)
5.지란지교(芝蘭之交)는 공자가 구체적으로 누구의 행위를 비유해서 한 말인가? 2.子夏
6.다음의 세 이야기를 통해서 유추되는 성어를 한자로 쓰시오.
*잠을 쫓다. *상투 튼 머리를 대들보에 매달다. *송곳으로 허벅지를 찌른다. 懸梁刺股
7.도청도설(道聽途說)이란 학문적 깊이가 없는 것을 경계한 말이다. 이것과 유사한 성어로
귀로들은 얄팍한지식을 입으로말하기 좋아한다‘의 뜻을가진 성어를 한자로쓰시오.口耳之學
8.( )속에 빠진 글자를 쓰시오. 狐(假)虎威
9.당나라 태종의 신하 ‘방현령’,‘위징’과 관련이 있는 고사성어를 고르시오. 3.創業易守城難
10.다음 상황에서 연상되는 고사성어를 한자로 쓰시오.
“갑돌이는 내가 성공하기 전부터 사귀어왔던 아주 절친한 친구야. 나의 가난과 고난을
누구보다도 잘 알지. 그러니 내가 성공한 후 만난 친구보다도 더 소중한 친구야. 그들은
언제 등을 돌릴지 모르거든...“ 布衣之交
11.국사무쌍(國士無雙)은 누가 누구를 두고 한 말인가? 1.소하가 한신을 두고 한 말이다.
12.낭중지추(囊中之錐)와 같은 의미로, ‘이삭이 쑥 올라온 것’처럼 능력이 있는 사람은
저절로 드러난다‘의 의미를 가진 2자성어가 무엇인지 한글로 쓰시오. 영탈
13.다음은 ‘법의 공정성을 지키기 위해 사사로운 정을 버린다’는 뜻을 가진 성어를 잘못 쓴
것이다. 틀린 글자를 쓰고 쉼표를 찍고 바른 글자를 쓰시오. 哭斬馬謖 哭,泣
14.성어 마저위침(磨杵爲針)과 관련이 있는 인물은? 3.李白
15.익자삼우(益者三友)의 출전은? 1.論語
16.‘水魚之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三顧草廬와 주인공이 동일하다.
2.출전은 史記이다.
3.물은 제갈량, 물고기는 유비를 비유한 것이다.
4.‘水魚之交‘란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말한다.
5.관우와 장비도 고사에 등장한다.
17.자르고, 연마하고, 쪼고, 간다. ‘학문이나 덕행 등을 배우고 닦는다’는 의미의 성어는?
한자로 쓰시오. 切磋琢麻
18.염파가 인상여에게 자신의 잘못을 빌때 ‘웃통을 벗고, 매를 짊어졌다’고 한 고사에서
만들어진 성어를 한글로 쓰시오. 문경지교
19.다음의 고사와 성어를 통해 연상되는 고사성어를 쓰시오. 고복격양(敲腹擊壤)
*배가 불러서 손으로 자기 배를 두드린다. *요임금 때 나라가 잘 다스려져서 백성들은
여가가 나면 춤도 추고 노래도 불렀는데, 이때 박자를 맞추기 위해 땅바닥을 두드렸다.
20.낭중지추(囊中之錐)와 관련있는 인물은? 4.毛遂
21.쉬지 않고 꾸준히 하면 아무리 어려운 일도 결국 이룰 수 있다는 의미의 고사성어로,
愚公과 관련이 있는 것은?(네 글자로 붙여 쓸 것) 우공이산(愚公移山)
22.관포지교(管鮑之交)의 고사에 나오지 않는 인물은? 1.관중 2.포숙 3.공자규 4.소홀 5.?
23.다음 이야기를 통해 알 수 있는 성어를 한자로 쓰시오. ‘인어아가씨’란 드라마가 한때
선풍적인 인기를 몰았는데, 원래의 대본에 의하면 마지막 회에서 주인공이 죽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시청자들이 절대 죽여선 안 된다고 게시판을 뜨겁게 달구었다. 그리
하여 드라마에서 주인공이 죽지 않는 것으로 수정하였다. 결국 시청자들이 주인공을 살린
것이다. 이것은 여론의 힘을 보여준 하나의 작은 예에 지나지 않는다.
1.촌철살인 2.사불급설 3.계포일락 4.구여현하 5.중구삭금
24.‘후배의 발전 가능성은 두려워 할만하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를 한자로 쓰시오.
後生可畏
25.다음 중 나머지 넷과 뜻이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1.교토사주구팽 2.지록위마 3.토사구팽 4.적국파모신망 5.비조진양궁장
26.다음 이야기를 통해 알 수 있는 성어의 빈 칸에 적당한 한자를 쓰시오. “애! 넌, 어쩜
그렇게 말을 함부로 하니? 네가 한 말이 그 친구에게 얼마나 상처가 되는지 모르니? 네
마리 말이 끄는 수레도 한 번 내뱉은 말은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4.05.11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72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