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옮겨 줌.
인일기백(人一己百):
1)남들이 한 번 할 때 자기는 백번 한다. 재주가 부족하면 더 많이 노력한다.
2)중용(中庸)에 나옴
3)반대 말: 생이지지(生而知之), 원래 머리가 좋은 사람
읍참마속(泣斬馬謖)
1)울면서 마속을 참수하다. 법의 공정성을 지키기 위해 사사로운 정을 버린다.
2)삼국지(三國志)에서 제갈량이 마속(馬謖)을 벰
지읒
중구삭금(衆口金)
1)많은 사람들의 입이 쇠를 녹인다. 여론의 힘이 크다.
2)고언(古諺)에서 나옴.
지란지교(芝蘭之交)
1)지초와 난초 같은 향기로운 사귐. 벗끼리 좋은 감화를 주고 받으며 서로 이끌어 가는 고상한 사귐.
2)공자가어(孔子家語)라는 책에서 나옴.
3)공자가 주위의 친구 사귐을 보고 자하(子夏)는 발전, 자공(子貢)은 퇴보 할 것이라고 함.
절차탁마(切磋琢麻)
1)자르고, 연마하고, 쪼고, 간다. 학문이다 덕행 등을 배우고 닦는다는 의미이다.
2)시경(詩經)의 기욱(淇澳)편에 나옴.
지록위마(指鹿爲馬)
1)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하다. 윗사람을 농락하여 마음대로위세를 부리다.
2)십팔사략(十八史略)에 나옴.
3)진나라 조고(趙高)이 자신의 권력을 시험해 보려 진시환의 이세(二世) 호해(胡亥)에게 사 슴을 선물 하고 말이라고 한다.
전전반측(輾轉反側)
1)누워서 엎치락뒤치락하다. 여러 가지 생각으로 잠을 이루지 못하다.
2)시경(詩經)-305의 관저편(關雎篇에서 나옴.
3)원문: 窈窕淑女(요조숙녀) 君子好逑(군자호구)
- 정숙한 아가씨는 군자의 좋은 배필(配匹)이 된다.
자로부미(子路負米)
1)자로가 쌀을 짊어지고 오다. 가난한 형편 속에서 정성으로 부모를 봉양함을 말한다.
2)공자가어(孔子家語)에서 나옴
3)자로(子路)는 공자의 제자 중유(仲由)의 자.
4)승부(勝負): 싸움에서 이기고 지다.
남부여대((男負女戴): 남자는 등짐을 지고 여자는 머리에 짐을 인다.
5)공자가 말하기를,
유야사친(由也事親) 가위생사질역(可謂生事盡力) 사사진사자야(死事盡思者也)
- 자로가 어버이를 섬기는 것은 부모님이 살아계실 적에는 섬기는데 힘을 다하고, 죽은 뒤 에는 섬기는 것이 그리움을 끝까지 한다.
5)비슷한 말: 백리부미(百里負米)
치읓
철주(): 철=체
1)팔꿈치를 끌어당기다. 다른 사람의 행동을 방해하고 제약을 가함.
2)여불위(呂不韋)가 지은 여씨춘추(呂氏春秋)에 나옴
3)주인공 복자천(宓子賤)이 노(魯)나라 단보(單父) 지방을 간섭 없이 다스리기 위해 꾀를 냄.
촌철살인(寸鐵殺人)
1)짧은 쇠로 사람을 죽이다. 정곡을 찌르는 날카로운 경구(警句)가 수천 마디의 말을 능가함
2)비슷한 말: 정문일침(頂門一針), 일침견혈(一針見血)
창업이수성난(創業易守城難)
1)일을 시작하기는 쉬우나 이룩한 일을 키워 나가기는 어렵다.
2)오긍(吳兢이 지은 정관정요(貞觀政要)라는 책에 나오는 내용
3)태종(太宗)의 물음에 답한 방헌령(房玄齡)의 답에 위징(魏徵)이 창업이수성난이라고 반박
칠종칠금(七縱七擒)
1)일곱 번 잡았다가 일곱 번 놓아주다. 강압적 수단보다는 책략을 써서 마음으로 굴복 시킴
2)삼국지(三國志)에서 나옴.
3)제갈량이 남중(南中) 땅의 맹획(孟獲)을 칠종칠금하여 심복(心服)을 얻어 냄.
4)상대방보다 엄청나게 우위에 있을 때 칠종칠금 책략 사용 가능.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1)봄이 왔지만 봄 같지 않다. 때는 되었는데 상황이 그것에 어울리지 않는다.
2)왕소군(王昭君)에서 나옴. = 명비(明妃)
3)원문: 호지무화초(胡地無花草)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 오랑캐 땅에 화초가 없으니 봄이 와도 봄 같지가 않다.
4)한(漢)나라 효원제(孝元帝)가 흉노에 궁녀들을 보내줘야 하자 못생긴 궁녀들만 보내기 위해 모연수(毛延壽)라는 화가에게 궁녀들의 얼굴을 그리게 하고 자신에게 돈을 주지 않던 궁녀 왕소군(王昭君)을 못생기게 그려 흉노로 가게 한다.
티읕
토포악발(吐哺握髮)
1)먹던 것을 뱉고, 감고 있던 머리를 거머쥔다. 인재를 얻기 위해 애씀.
2)한영(韓)이 쓴 한시외전(韓詩外傳)에서 나옴.
3)주공(周公)이 성왕(成王)을 잘 보살핀 보답으로 받은 노나라를 아들(伯禽)에게 물려주면서
일목삼악발(一沐三握髮) 일반삼토포(一飯三吐哺)라고 했다.
4)주공: 아버지가 주나라 문왕(文王), 형님이 주나라 무왕(武王), 무왕의 아들, 성왕(成王)
토사구팽(兎死狗烹)
1)토끼가 죽으면 사냥개는 삶겨진다. 부림을 당하다가 쓸모가 없어지고 다하면 버림을 받음
2)줄인 말로써 원문은 교토사주구팽(狡兎死走狗烹)이다
3)비슷한 말: 조비진양궁장(飛鳥盡良弓藏)
4)실제 의미: 적국파모신망(敵國破謀臣亡)- 적국을 함락 시키면 이용한 공신을 처형한다.
태산북두(泰山北斗)
1)태산과 북극성. 어떤 방면에 가장 높은 권위가 있는 사람
2)비슷한 말: 태두(泰斗)
피읖
포의지교(布衣之交)
베옷 입었을 시절의 사귐. 벼슬하지 않은 빈천할 때부터의 사귐.
풍수지탄(風樹之嘆)
1)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에 대한 탄식. 부모를 봉양하려고 해도 이미 때가 늦었음을 안타까 워하다.
2)한시외전(韓詩外傳)에 고어(皐魚)라는 사람의 이야기.
3)공자(孔子)가 말을 타고 가다 울음소리를 듣고 가서 물어 보자, 고어라는 사람이 말하길, 저에게는 세 가지 잘못이 있습니다.
첫째, 출세하기 위해서 부모에 대한 효도를 소홀히 했습니다.
둘째, 나의 고상한 포부를 보존하기 위하여 임금 섬기는 것을 소홀히 했습니다.
셋째, 친구들과 잘 지내려고만 하다가 좋지 못한 사람들과의 연을 제때 끊지 못했습니다.
4)고어의 원문: 수욕정이풍부지(樹欲靜而風不止) 자욕양이친부대(子欲養而親不待)
- 나무는 가만있고 싶은데 바람이 그치질 않는다. 아들은 부모를 공양하고 싶은데, 어버이 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
히읗
호가호위(狐假虎威)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리다. 남의 권세를 빌어 위세를 부림.
후생가외(後生可畏)
1)후배는 두려워할 만하다. 후배가 학문을 닦고 덕을 쌓으면 얼마나 발전할지 모른다.
2)논어(論語)의 자한(子罕)에 나옴.
3)비슷한 말, 연부역강(年富力强)한 후배는 무시해서는 안된다.
현량자고(懸梁刺股)
1)대들보에 매달고 허벅지를 찌르다. 공부할 때 졸음을
인일기백(人一己百):
1)남들이 한 번 할 때 자기는 백번 한다. 재주가 부족하면 더 많이 노력한다.
2)중용(中庸)에 나옴
3)반대 말: 생이지지(生而知之), 원래 머리가 좋은 사람
읍참마속(泣斬馬謖)
1)울면서 마속을 참수하다. 법의 공정성을 지키기 위해 사사로운 정을 버린다.
2)삼국지(三國志)에서 제갈량이 마속(馬謖)을 벰
지읒
중구삭금(衆口金)
1)많은 사람들의 입이 쇠를 녹인다. 여론의 힘이 크다.
2)고언(古諺)에서 나옴.
지란지교(芝蘭之交)
1)지초와 난초 같은 향기로운 사귐. 벗끼리 좋은 감화를 주고 받으며 서로 이끌어 가는 고상한 사귐.
2)공자가어(孔子家語)라는 책에서 나옴.
3)공자가 주위의 친구 사귐을 보고 자하(子夏)는 발전, 자공(子貢)은 퇴보 할 것이라고 함.
절차탁마(切磋琢麻)
1)자르고, 연마하고, 쪼고, 간다. 학문이다 덕행 등을 배우고 닦는다는 의미이다.
2)시경(詩經)의 기욱(淇澳)편에 나옴.
지록위마(指鹿爲馬)
1)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하다. 윗사람을 농락하여 마음대로위세를 부리다.
2)십팔사략(十八史略)에 나옴.
3)진나라 조고(趙高)이 자신의 권력을 시험해 보려 진시환의 이세(二世) 호해(胡亥)에게 사 슴을 선물 하고 말이라고 한다.
전전반측(輾轉反側)
1)누워서 엎치락뒤치락하다. 여러 가지 생각으로 잠을 이루지 못하다.
2)시경(詩經)-305의 관저편(關雎篇에서 나옴.
3)원문: 窈窕淑女(요조숙녀) 君子好逑(군자호구)
- 정숙한 아가씨는 군자의 좋은 배필(配匹)이 된다.
자로부미(子路負米)
1)자로가 쌀을 짊어지고 오다. 가난한 형편 속에서 정성으로 부모를 봉양함을 말한다.
2)공자가어(孔子家語)에서 나옴
3)자로(子路)는 공자의 제자 중유(仲由)의 자.
4)승부(勝負): 싸움에서 이기고 지다.
남부여대((男負女戴): 남자는 등짐을 지고 여자는 머리에 짐을 인다.
5)공자가 말하기를,
유야사친(由也事親) 가위생사질역(可謂生事盡力) 사사진사자야(死事盡思者也)
- 자로가 어버이를 섬기는 것은 부모님이 살아계실 적에는 섬기는데 힘을 다하고, 죽은 뒤 에는 섬기는 것이 그리움을 끝까지 한다.
5)비슷한 말: 백리부미(百里負米)
치읓
철주(): 철=체
1)팔꿈치를 끌어당기다. 다른 사람의 행동을 방해하고 제약을 가함.
2)여불위(呂不韋)가 지은 여씨춘추(呂氏春秋)에 나옴
3)주인공 복자천(宓子賤)이 노(魯)나라 단보(單父) 지방을 간섭 없이 다스리기 위해 꾀를 냄.
촌철살인(寸鐵殺人)
1)짧은 쇠로 사람을 죽이다. 정곡을 찌르는 날카로운 경구(警句)가 수천 마디의 말을 능가함
2)비슷한 말: 정문일침(頂門一針), 일침견혈(一針見血)
창업이수성난(創業易守城難)
1)일을 시작하기는 쉬우나 이룩한 일을 키워 나가기는 어렵다.
2)오긍(吳兢이 지은 정관정요(貞觀政要)라는 책에 나오는 내용
3)태종(太宗)의 물음에 답한 방헌령(房玄齡)의 답에 위징(魏徵)이 창업이수성난이라고 반박
칠종칠금(七縱七擒)
1)일곱 번 잡았다가 일곱 번 놓아주다. 강압적 수단보다는 책략을 써서 마음으로 굴복 시킴
2)삼국지(三國志)에서 나옴.
3)제갈량이 남중(南中) 땅의 맹획(孟獲)을 칠종칠금하여 심복(心服)을 얻어 냄.
4)상대방보다 엄청나게 우위에 있을 때 칠종칠금 책략 사용 가능.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1)봄이 왔지만 봄 같지 않다. 때는 되었는데 상황이 그것에 어울리지 않는다.
2)왕소군(王昭君)에서 나옴. = 명비(明妃)
3)원문: 호지무화초(胡地無花草)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 오랑캐 땅에 화초가 없으니 봄이 와도 봄 같지가 않다.
4)한(漢)나라 효원제(孝元帝)가 흉노에 궁녀들을 보내줘야 하자 못생긴 궁녀들만 보내기 위해 모연수(毛延壽)라는 화가에게 궁녀들의 얼굴을 그리게 하고 자신에게 돈을 주지 않던 궁녀 왕소군(王昭君)을 못생기게 그려 흉노로 가게 한다.
티읕
토포악발(吐哺握髮)
1)먹던 것을 뱉고, 감고 있던 머리를 거머쥔다. 인재를 얻기 위해 애씀.
2)한영(韓)이 쓴 한시외전(韓詩外傳)에서 나옴.
3)주공(周公)이 성왕(成王)을 잘 보살핀 보답으로 받은 노나라를 아들(伯禽)에게 물려주면서
일목삼악발(一沐三握髮) 일반삼토포(一飯三吐哺)라고 했다.
4)주공: 아버지가 주나라 문왕(文王), 형님이 주나라 무왕(武王), 무왕의 아들, 성왕(成王)
토사구팽(兎死狗烹)
1)토끼가 죽으면 사냥개는 삶겨진다. 부림을 당하다가 쓸모가 없어지고 다하면 버림을 받음
2)줄인 말로써 원문은 교토사주구팽(狡兎死走狗烹)이다
3)비슷한 말: 조비진양궁장(飛鳥盡良弓藏)
4)실제 의미: 적국파모신망(敵國破謀臣亡)- 적국을 함락 시키면 이용한 공신을 처형한다.
태산북두(泰山北斗)
1)태산과 북극성. 어떤 방면에 가장 높은 권위가 있는 사람
2)비슷한 말: 태두(泰斗)
피읖
포의지교(布衣之交)
베옷 입었을 시절의 사귐. 벼슬하지 않은 빈천할 때부터의 사귐.
풍수지탄(風樹之嘆)
1)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에 대한 탄식. 부모를 봉양하려고 해도 이미 때가 늦었음을 안타까 워하다.
2)한시외전(韓詩外傳)에 고어(皐魚)라는 사람의 이야기.
3)공자(孔子)가 말을 타고 가다 울음소리를 듣고 가서 물어 보자, 고어라는 사람이 말하길, 저에게는 세 가지 잘못이 있습니다.
첫째, 출세하기 위해서 부모에 대한 효도를 소홀히 했습니다.
둘째, 나의 고상한 포부를 보존하기 위하여 임금 섬기는 것을 소홀히 했습니다.
셋째, 친구들과 잘 지내려고만 하다가 좋지 못한 사람들과의 연을 제때 끊지 못했습니다.
4)고어의 원문: 수욕정이풍부지(樹欲靜而風不止) 자욕양이친부대(子欲養而親不待)
- 나무는 가만있고 싶은데 바람이 그치질 않는다. 아들은 부모를 공양하고 싶은데, 어버이 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
히읗
호가호위(狐假虎威)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리다. 남의 권세를 빌어 위세를 부림.
후생가외(後生可畏)
1)후배는 두려워할 만하다. 후배가 학문을 닦고 덕을 쌓으면 얼마나 발전할지 모른다.
2)논어(論語)의 자한(子罕)에 나옴.
3)비슷한 말, 연부역강(年富力强)한 후배는 무시해서는 안된다.
현량자고(懸梁刺股)
1)대들보에 매달고 허벅지를 찌르다. 공부할 때 졸음을
추천자료
[과외]중학 한문 1-10 예상 모의고사 02
[과외]중학 한문 1-15 예상 모의고사
[과외]중학 한문 1-21 예상 모의고사
[과외]중학 한문 2-07 예상 모의고사
[과외]중학 한문 2-11 예상 모의고사
[국어 임용]통사론 - 국어 임용고사 서브노트
사이버 강의 <나의 삶과 윤리> 중간고사
[경영과학] 연세대학교 홍근표 교수님 2006-1학기 중간고사 문제 및 답
[경영과학] 연세대학교 홍근표 교수님 2006년 2학기 기말고사 문제 및 해설
학교시험예상문제 -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중간고사 과학 종합문제
KCU 술문화의 이해 정리 노트 (중간 고사)
KCU 술문화의 이해 정리 노트 (기말 고사)
금오공과대학교 C언어응용설계(박원우 교수님) 기말고사 프로젝트입니다.
호남대학교 RUCK <아름다운 매너> 중간고사 요점 및 시험 적중 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