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선근증 (Adenomyosis) - 모성간호학 Case stud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궁선근증 (Adenomyosis) - 모성간호학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나 누워서 촬영할
수도 있다. 촬영기를 가슴에 밀착시키고 촬영하는 동안
방사선사의 지시에 따라 숨을 깊이 들이마시고 참은 상태
에서 촬영한다. 보통 후전면과 측면 등 1~2장을 촬영한다.
No active lung disease,
Tiny calcified nodule at
RLLF, probably
granuloma.
Chest AP
3/4
검사목적: 흉부 X선 촬영은 가장 흔하게 행해지는 방사선 검사 중
하나로 폐와 심장 계통의 질환에 대해 많은 것을 알려 주
는 중요한 검사이다. 폐 부위, 심장, 종격동, 횡격막 및 쇄
골, 늑골, 흉추 등의 이상을 검사할 수 있다.
검사방법: 흔히 서 있는 자세로 촬영하지만, 않거나 누워서 촬영할
수도 있다. 촬영기를 가슴에 밀착시키고 촬영하는 동안
방사선사의 지시에 따라 숨을 깊이 들이마시고 참은 상태
에서 촬영한다. 보통 후전면과 측면 등 1~2장을 촬영한다.
No active lung disease.
Chest PA
3/5
검사목적: 흉부 X선 촬영은 가장 흔하게 행해지는 방사선 검사 중
하나로 폐와 심장 계통의 질환에 대해 많은 것을 알려 주
는 중요한 검사이다. 폐 부위, 심장, 종격동, 횡격막 및 쇄
골, 늑골, 흉추 등의 이상을 검사할 수 있다.
검사방법: 흔히 서 있는 자세로 촬영하지만, 않거나 누워서 촬영할
수도 있다. 촬영기를 가슴에 밀착시키고 촬영하는 동안
방사선사의 지시에 따라 숨을 깊이 들이마시고 참은 상태
에서 촬영한다. 보통 후전면과 측면 등 1~2장을 촬영한다.
Minimal amount of Rt.
subphrenic free air,
probably related to
previous surgery.
No active lung disease.
5. 기타 진단검사
6. 간호과정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사정
주관적
자료
“아... 아파, 원래 이렇게 아프나요?”
“무통주사 눌러도 아파요.”
“딸: 엄마가 많이 아파하는데, 진통제 좀 놔주세요.”
객관적
자료
·Ut. Adenomyosis로 입원해 2013/3/4 LAVH 수술을 함
·식은땀을 흘리며 눈살을 찌푸리고 있는 모습 관찰됨
·통증척도: 9점/10점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1주 이내에 통증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POD 2일 이내에 병동복도 한바퀴를 걸을 수 있을 것이다.
·대상자는 무통주사를 제거하고도 진통제를 2번 이상 맞지 않을 것이다.
·대상자는 POD 5일 이내에 통증척도가 3점 이하로 감소할 것이다.
계획
①대상자의 V/S을 6시간마다 측정한
다.
②통증이 심할 시 간호사에게 알려주
어야 함을 설명한다.
③가족에게 대상자를 지지하도록
격려한다.
④병실 내에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⑤병실 내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한다.
⑥활력징후를 평가할 때 마다 지속적
으로 통증척도를 사정하고 불편감
을 확인한다.
⑦대상자에게 복대를 착용하게 한다.
⑧조기이상을 격려하고, 움직인 후에
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설명한
다.
이론적근거
①활력징후의 측정은 대상자의 상태를 감시
하거나 문제를 확인하고 중재에 대한 대
상자의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가장 빠르
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므로 활력징
후 측정을 위한 기본적인 기술은 간단하
지만 결코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②대상자 자신의 보고는 통증의 존재, 통증
의 강도, 통증의 질, 불편함과 연관된 가
장 믿을만한 자료이다.
③대상자의 통증에 대해 무관심한 가족이나
친지는 통증에 대해 스트레스가 더 가중되
게 만든다.
④환경으로부터 오는 어떠한 소음이나 자극
도 제거한 다음 대상자를 편안하게 하여
이완시킨다.
⑤병실 내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
는 것은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며, 이
완하는 데 도움을 준다.
⑥통증에 대하여 대상자에게 정기적으로 묻
는 것은 중요하다. 만약 대상자가 자신의
통증강도를 자진해서 보고하지 않는다고
해서 통증이 없을것이라고 가정해서는 안
되며, 대상자가 불편함을 전하는 비언어
적 표현방법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⑦복대를 착용하는 것은 수술부위를 지지해
주어 통증을 감소시킨다.
⑧수술 후 조기이상은 호흡기계, 순환기계,
비뇨기계, 위장관계, 근골격계의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고 빠른 회복을 가
능하게 한다.
수행
①환자의 V/S을 6시간마다 측정하였고, 대상자의 V/S은 모두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②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통증이 심하거나, 불편한 것이 있으면 즉시 침대 옆에 있는 전화
기로 간호사실에 전화하거나, 간호사 스테이션으로 와서 알리도록 설명하였다.
③대상자의 남편과 딸에게 가족이 곁에 있다는 것은 대상자의 통증을 감소할 수 있는
중요한 간호 중 하나임을 설명하였고 환자를 병실에 혼자 있게 하지 말고 항상 곁에
있어주도록 격려하였다.
④병실에 있는 다른 환자분들에게 부탁하여 병실 내에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
였다.
⑤병실의 온도를 20~23℃로 설정하였고, 너무 건조하지 않도록 젖은 수건을 널어두었다.
2013. 3. 4 통증척도
9점
2013. 3. 5 통증척도
4점
2013. 3. 6 통증척도
1점
2013. 3. 7 통증척도
0점
⑥V/S을 측정할 때 마다 지속적으로 통증척도를 사정하였고 불편감을 확인하였다.
⑦대상자에게 복대를 착용하는 것은 수술부위를 지지하여 통증을 감소시키고, 활동하는
데에도 불편감을 덜어준다는 것을 설명하여 복대를 착용하도록 하였다.
⑧대상자에게 수술 당일은 앙와위→측위 정도로 체위변경만 할 것을 설명하였고 POD
1일째 되는 날부터는 아침, 점심, 저녁에 한번 병동복도 한 바퀴를 걷도록 하였고,
병동 한 바퀴를 돈 후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함을 교육하였다.
평가
<장기목표에 대한 평가>
·대상자는 1주 이내에 통증을 더 이상 호소하지 않았다.
<단기목표에 대한 평가>
·대상자는 POD 1일 되는 날, 스스로 병동복도를 한 바퀴씩 걸었고, 2일째부터는
매 식사 후 마다 병동복도를 걸으면서 운동하였다.
·대상자는 POD 2일 되는 날, 무통주사를 제거하고도 진통제를 맞지 않았다.
·대상자는 POD 5일 이내에 통증척도가 9점→0점으로 감소하였다.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5.15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77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