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고딕(Gothic) 건축에 대하여
Ⅱ_1. 고딕(Gothic) 의 어원
Ⅱ_2. 고딕건축 양식
Ⅱ_3. 고딕건축 구조의 특징
Ⅲ. 프랑스의 고딕건축에 대하여
Ⅳ. The Laon Cathdrale
Ⅳ_1. 노트르담 대성당
Ⅳ_2. 노트르담 대성당의 건축적 특징
Ⅳ_3. 노트르담 대성당의 건축적 의의
Ⅴ. 보고서를 끝내며
Ⅱ. 고딕(Gothic) 건축에 대하여
Ⅱ_1. 고딕(Gothic) 의 어원
Ⅱ_2. 고딕건축 양식
Ⅱ_3. 고딕건축 구조의 특징
Ⅲ. 프랑스의 고딕건축에 대하여
Ⅳ. The Laon Cathdrale
Ⅳ_1. 노트르담 대성당
Ⅳ_2. 노트르담 대성당의 건축적 특징
Ⅳ_3. 노트르담 대성당의 건축적 의의
Ⅴ. 보고서를 끝내며
본문내용
생기있고 역동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벽면 부분이 아직 많아서 수직선 효과가 충분히 돌출되지 않았으나, 스테인드 글라스로 만들어진 큰 고종들은 고딕성당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빛과 색의 공간을 창출하고 있다.
<노트르담의정면> <노트르담의 평면>
2.· 노트르담 대 성당의 건축적 특징
구조적으로 보면 긴 네이브의 거의 중간지점에 위치해 트란셉트가 외벽에 거의 돌출되지 않아 트란셉트의 극소화가 이루어졌다. 정면 중간을 가로지르고 있는 띠모양의 인물조각상들은커다란 Rose Window를 정면의 나머지 부분과 결속 된다.
네이브측 아일부분에서는 로마네스크식의 구획체계가 초기고딕의 6분 리브 볼트방식과 결합되고 아일은 정사각형으로 구획 : 콰이어 부분의 2중회랑으로 이어지고 있다.
건물외부에 횡압력을 지탱하기 위하여 플라잉 버트레스를 설치했다.
형태적으로 보면 정면이 아홉개의 정사각형으로 구성이다.삼위일체의 종교에 잘 어울리는 세 개의 입방체이며 클리어스토리의 창문하부에 트리포리움 대신 원형창이 연속한다.
주두 상부에서 시작되는 벽기둥 다발을 분화하지 않고 기둥 중간중간의 묶음띠도 제거해 수평수직의 움직임 가속화하였다. 높이 솟은 네이브 볼트의 횡추력을 지탱하는 버트레스를 내부에서는보이지 않게 되어 깨끗하고 통일된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3.노트르담 성당의 건축적 의의
중세 고딕 양식의 대성당 가운데 가장 유명한 대성당으로 그 규모와 오랜 역사로 유명하며, 고고학과 건축학적 관심의 대상이다. 파리 센 강에 떠 있는 시테 섬에 있다. 파리 주교 모리스 드 쉴리가 이전에있던 2개의 바실리카식 교회당을 합쳐 하나의 큰 건물을 지을 계획을 세웠고, 1163년 교황 알렉산데르 3세가 머릿돌을 놓고 1189년 대제단이 봉헌되었다. 서쪽 앞면의성가대석과 네이브는 1240년 완공되었고 그뒤 100여 년에 걸쳐 포치(porch), 예배당, 그밖의 여러 장식물들을 지어 오늘날과 같은 모습이 되었다. 수세기를 지나면서 흠집이 생기고 약해졌으며 18세기 프랑스 혁명 때 크게 파손되어, 19세기에 서쪽 정면 \'그랜드 갤러리\'의 28개조상과 3개 출입문 측벽에 서 있는 조상 등에 대한 대대적인 보수공사를 했다. 트랜셉트와 네이브 사이에 높이 솟은 첨탑은 19세기에 복원된 것이다.
전체 길이 130m, 폭 48m, 천장 높이 35m, 탑 높이 69m의 대건축물로 탑 위에 뾰족탑을 덧붙이기로 되어 있었으나 아직 그대로이다. 4각형 쌍탑과 쌍탑의 선을 따라 정면을 3부분으로 나눈 버팀벽의 수직선과, \'그랜드 갤러 리\'의 수평선이 \'장미창\'을 중심으로 비할 데 없는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정면에 3개 입구와 그 입구의 이름과 관련지어 만든 조각, 그 위 에 유대 왕과 관련있는 조각이 들어서 있는 갤러리, 직경 10m에 가까운 장미창, 그 위에 긴 열주, 좌우의 탑 등 양식은 고딕 건축의 전형으로 성당 건축의 규준이 되었다. 내부는 아일이 2층으로 되어 있고 네이브는 대한 원주가 끝에서 3개의 기둥으로 나뉘면서 천장으로 뻗어 있어 전체적으로 밝고 높은 공간을 만들어내고 있다. 장엄한 종교적 공간을 연출하는 스-테인드 글라스는 북쪽 정면의 장미창을 제외하고는 후세의 작품이다. 오른쪽 출입구의 〈성모자聖母子〉(1165~70경), 왼쪽 출입구의 〈성모대관 聖母戴冠〉(1210~20경), 중앙 출입구의 〈최후의 심판〉(1220~30경), 북쪽의 붉은 입구〉, 내진(內陣) 주위를 장식한 진한 색깔의 〈그리스도전(
傳)〉(14세기)이 유명하다. 이 성당은 나폴레옹의 대관식(1804), 파리 해 방을 감사하는 국민예배(1944. 8. 26) 등 여러 가지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다. 빅토르 위고의 작품 〈노트르담의 꼽추〉의 무대이기도 했다.
Ⅴ. 보고서를 끝내며
한 학기 동안 서양건축사를 들으며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다. 인간의 경이로움, 인간의 신에대한 욕망 등등... 역사, 즉 과거가 지금의 건축을 배우는데 얼마나 도움이 될까 했었다. 고로 처음에는 나중에 내가 서양을 여행할 때 서양건축물과 역사에 대해서 좀 안다면 더 유익한 여행을 할 수 있겠구나 하는 마음과 동양의 한국인인 내가 서양건축은 어떤것인가 알아보자라는 정도의 가벼운 마음으로 강의를 접했다. 그러나 수업을 들으며 수업에 임하는 나의 생각은 변화가 좀 있었다. 강의를 들으면서 느낀 건 단순히 서양의 과거의 것, 서양의 역사를 지식으로서 배우는 것이 아니라 건축은 어느 나라의 건축이든 그것이 모두 통일되고 밀접하기 때문에 배워야 하는 것이라 생각
있다. 벽면 부분이 아직 많아서 수직선 효과가 충분히 돌출되지 않았으나, 스테인드 글라스로 만들어진 큰 고종들은 고딕성당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빛과 색의 공간을 창출하고 있다.
<노트르담의정면> <노트르담의 평면>
2.· 노트르담 대 성당의 건축적 특징
구조적으로 보면 긴 네이브의 거의 중간지점에 위치해 트란셉트가 외벽에 거의 돌출되지 않아 트란셉트의 극소화가 이루어졌다. 정면 중간을 가로지르고 있는 띠모양의 인물조각상들은커다란 Rose Window를 정면의 나머지 부분과 결속 된다.
네이브측 아일부분에서는 로마네스크식의 구획체계가 초기고딕의 6분 리브 볼트방식과 결합되고 아일은 정사각형으로 구획 : 콰이어 부분의 2중회랑으로 이어지고 있다.
건물외부에 횡압력을 지탱하기 위하여 플라잉 버트레스를 설치했다.
형태적으로 보면 정면이 아홉개의 정사각형으로 구성이다.삼위일체의 종교에 잘 어울리는 세 개의 입방체이며 클리어스토리의 창문하부에 트리포리움 대신 원형창이 연속한다.
주두 상부에서 시작되는 벽기둥 다발을 분화하지 않고 기둥 중간중간의 묶음띠도 제거해 수평수직의 움직임 가속화하였다. 높이 솟은 네이브 볼트의 횡추력을 지탱하는 버트레스를 내부에서는보이지 않게 되어 깨끗하고 통일된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3.노트르담 성당의 건축적 의의
중세 고딕 양식의 대성당 가운데 가장 유명한 대성당으로 그 규모와 오랜 역사로 유명하며, 고고학과 건축학적 관심의 대상이다. 파리 센 강에 떠 있는 시테 섬에 있다. 파리 주교 모리스 드 쉴리가 이전에있던 2개의 바실리카식 교회당을 합쳐 하나의 큰 건물을 지을 계획을 세웠고, 1163년 교황 알렉산데르 3세가 머릿돌을 놓고 1189년 대제단이 봉헌되었다. 서쪽 앞면의성가대석과 네이브는 1240년 완공되었고 그뒤 100여 년에 걸쳐 포치(porch), 예배당, 그밖의 여러 장식물들을 지어 오늘날과 같은 모습이 되었다. 수세기를 지나면서 흠집이 생기고 약해졌으며 18세기 프랑스 혁명 때 크게 파손되어, 19세기에 서쪽 정면 \'그랜드 갤러리\'의 28개조상과 3개 출입문 측벽에 서 있는 조상 등에 대한 대대적인 보수공사를 했다. 트랜셉트와 네이브 사이에 높이 솟은 첨탑은 19세기에 복원된 것이다.
전체 길이 130m, 폭 48m, 천장 높이 35m, 탑 높이 69m의 대건축물로 탑 위에 뾰족탑을 덧붙이기로 되어 있었으나 아직 그대로이다. 4각형 쌍탑과 쌍탑의 선을 따라 정면을 3부분으로 나눈 버팀벽의 수직선과, \'그랜드 갤러 리\'의 수평선이 \'장미창\'을 중심으로 비할 데 없는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정면에 3개 입구와 그 입구의 이름과 관련지어 만든 조각, 그 위 에 유대 왕과 관련있는 조각이 들어서 있는 갤러리, 직경 10m에 가까운 장미창, 그 위에 긴 열주, 좌우의 탑 등 양식은 고딕 건축의 전형으로 성당 건축의 규준이 되었다. 내부는 아일이 2층으로 되어 있고 네이브는 대한 원주가 끝에서 3개의 기둥으로 나뉘면서 천장으로 뻗어 있어 전체적으로 밝고 높은 공간을 만들어내고 있다. 장엄한 종교적 공간을 연출하는 스-테인드 글라스는 북쪽 정면의 장미창을 제외하고는 후세의 작품이다. 오른쪽 출입구의 〈성모자聖母子〉(1165~70경), 왼쪽 출입구의 〈성모대관 聖母戴冠〉(1210~20경), 중앙 출입구의 〈최후의 심판〉(1220~30경), 북쪽의 붉은 입구〉, 내진(內陣) 주위를 장식한 진한 색깔의 〈그리스도전(
傳)〉(14세기)이 유명하다. 이 성당은 나폴레옹의 대관식(1804), 파리 해 방을 감사하는 국민예배(1944. 8. 26) 등 여러 가지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다. 빅토르 위고의 작품 〈노트르담의 꼽추〉의 무대이기도 했다.
Ⅴ. 보고서를 끝내며
한 학기 동안 서양건축사를 들으며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다. 인간의 경이로움, 인간의 신에대한 욕망 등등... 역사, 즉 과거가 지금의 건축을 배우는데 얼마나 도움이 될까 했었다. 고로 처음에는 나중에 내가 서양을 여행할 때 서양건축물과 역사에 대해서 좀 안다면 더 유익한 여행을 할 수 있겠구나 하는 마음과 동양의 한국인인 내가 서양건축은 어떤것인가 알아보자라는 정도의 가벼운 마음으로 강의를 접했다. 그러나 수업을 들으며 수업에 임하는 나의 생각은 변화가 좀 있었다. 강의를 들으면서 느낀 건 단순히 서양의 과거의 것, 서양의 역사를 지식으로서 배우는 것이 아니라 건축은 어느 나라의 건축이든 그것이 모두 통일되고 밀접하기 때문에 배워야 하는 것이라 생각
추천자료
마리오 보타(Mario Botta)의 미술관건축 공간구성 특성연구
하늘 아래 도시 땅 위의 건축을 읽고 - 서양으로 가는 길
50년대 이전 세계 건축물
[독후감] 빅토르 위고의 노트르담의 꼽추를 읽고
[생활과 디자인] 건축 디자인에 관한 발표자료 (HWP)
(문화교양학과) 2009 세계의도시와건축
입체주의 (Cubism)건축
Eero Saarinen과 근현대 건축
근대,현대 건축의 특징(사진 많이 첨부)
[건축철골] 08년 세계건축철골구조물 사례모음
3.세계적 대규모 복합 용도 단지 개발 사례 파리의 신도시 라데팡스(La Defense)
[kcu스페인문화예술] 내 맘대로 스페인 건축기행
감상문 - 르 꼬르뷔지에의 건축을 향하여를 읽고
아르누보에 대하여 (아르누보란? 아르누보의기원, 아르누보의 주요이론, 주요 건축물및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