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기서 바로 승리적 사상이 된 것이라 하였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영원회귀 사상은 진정한 의미의 초인사상과 직결된다고 본다. 그래서 니체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설명할 때 영원회귀 사상은 최고의 긍정 형식으로써는 그때 처음 생각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니체는 이렇게 해서 생성과 유지 속에서 허무와 죽음이 아니고, 극단적인 형식으로부터 최고의 긍정형식으로 전환된 것이라고 보겠다. 그리고 자연의 영원한 회귀 운동 속에 중압적인 것을 견딜 수 있는 것은 부단히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여 제시하는 초인에 의해서였으며, 이 초인에 의해서만 영원회귀 사상은 비로소 승리적 사상이 되고, 또한 최고의 긍정형식이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1. 질 들뢰즈, <<니체와 철학>>, 이경신 역, 민음사, 2005, pp. 66-69
2. F.W.니체 · M.하이데거, <<신은 죽었다>>, 김문성·이윤성 역, 책향기, 2000, pp. 12-13
▷<참고 사이트>
1. http://blog.naver.com/smilesunkr?Redirect=Log&logNo=120018155131
③ 권력에의 의지
니체에게 ‘의지’의 본질은 명령, 즉 지휘이다. 의지는 명령이 내려지는 곳에만 존재한다. 권력에의 의지란 권력에게 명령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권력으로 하여금 그것의 본질에 따라 존재하도록 그것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권력이란 명령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경우 ‘자신의 주위에 명령을 내린다.’는 의미에서의 명령, 즉 일상적이고 저열한 형태의 명령을 연상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오히려 자신을 통제할 수 있고 자신의 주인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것은 끊임없이 자신을 고양하는 것, 즉 자신을 보다 높은 단계로 끌어올리고 자신에게 보다 큰 폭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극복’이 명령의 본질이고, 명령되는 것은 권력이다.
권력에게 명령한다는 것은 권력 자신이 그 자신을 초극하기 위하여 자신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권력에의 의지’란 무력한 자가 권력 장악을 향해서 ‘추구하는 것’, 즉 권력 소유에의 의지가 아니고 그것은 권력의 수행, 다시 말해 권력 자신의 그때그때마다의 단계를 초극하기 위해 자신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것을 통해서 권력 자체가 권력이 되는 권력의 본래적인 수행이다. 이에 권력은 그것이 권력의 고양일 경우에만, 그리고 그런 한에서만 권력이다. 오직 그렇게 해서만 그것은 자신의 본질을 유지하고 실현한다. 그것은 순수한 권력이 자신의 본질을 전개하는 곳에서는 권력의 고양을 통해서만 자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권력의 고양 과정에서 중단, 즉 어떤 권력의 단계에 머무르는 것은 무력하게 되기 시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1. M. 하이데거, <<니체와 니힐리즘>>, 박찬국 역, 지성의 샘, 1996, 58-63
2. J.P.스턴, <<니체>>, 이종인 역, 시공사, 2001, pp. 107-126
3.. 홍일희, <<니체의 생철학 담론>>,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2, pp. 52-67
▷<참고문헌>
1. 질 들뢰즈, <<니체와 철학>>, 이경신 역, 민음사, 2005, pp. 66-69
2. F.W.니체 · M.하이데거, <<신은 죽었다>>, 김문성·이윤성 역, 책향기, 2000, pp. 12-13
▷<참고 사이트>
1. http://blog.naver.com/smilesunkr?Redirect=Log&logNo=120018155131
③ 권력에의 의지
니체에게 ‘의지’의 본질은 명령, 즉 지휘이다. 의지는 명령이 내려지는 곳에만 존재한다. 권력에의 의지란 권력에게 명령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권력으로 하여금 그것의 본질에 따라 존재하도록 그것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권력이란 명령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경우 ‘자신의 주위에 명령을 내린다.’는 의미에서의 명령, 즉 일상적이고 저열한 형태의 명령을 연상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오히려 자신을 통제할 수 있고 자신의 주인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것은 끊임없이 자신을 고양하는 것, 즉 자신을 보다 높은 단계로 끌어올리고 자신에게 보다 큰 폭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극복’이 명령의 본질이고, 명령되는 것은 권력이다.
권력에게 명령한다는 것은 권력 자신이 그 자신을 초극하기 위하여 자신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권력에의 의지’란 무력한 자가 권력 장악을 향해서 ‘추구하는 것’, 즉 권력 소유에의 의지가 아니고 그것은 권력의 수행, 다시 말해 권력 자신의 그때그때마다의 단계를 초극하기 위해 자신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것을 통해서 권력 자체가 권력이 되는 권력의 본래적인 수행이다. 이에 권력은 그것이 권력의 고양일 경우에만, 그리고 그런 한에서만 권력이다. 오직 그렇게 해서만 그것은 자신의 본질을 유지하고 실현한다. 그것은 순수한 권력이 자신의 본질을 전개하는 곳에서는 권력의 고양을 통해서만 자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권력의 고양 과정에서 중단, 즉 어떤 권력의 단계에 머무르는 것은 무력하게 되기 시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1. M. 하이데거, <<니체와 니힐리즘>>, 박찬국 역, 지성의 샘, 1996, 58-63
2. J.P.스턴, <<니체>>, 이종인 역, 시공사, 2001, pp. 107-126
3.. 홍일희, <<니체의 생철학 담론>>,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2, pp. 52-67
추천자료
동서의 철학자 비교(공자와 플라톤)
철학자 헤겔에 대한 조사
서양철학자와 사상
서양 철학자별 정리. 플라톤 아리스토 데카르트 홉스 로크 흄
[독서감상] 개와 인간의 문화사 - 철학자들의 눈에 비친
철학자 베이컨(우상론,귀납법)
여러철학자들의 신체론
철학자별 교사의 역할
교육사상가 및 철학자들 중 본인의 교육철학과 부합되는 사상가를 선택하여 그의 철학과 교육...
서양의 중세유럽의 대표적인 교육철학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중 한명의 철학자의 아동관...
[독후감] ≪강신주의 다상담3 - 소비, 가면, 늙음, 꿈, 종교와 죽음≫ _ 강신주(철학자) 저
인본주의 철학자 매슬로우(매슬로/Maslow)의 욕구에 대한 이론을 유아기의 기본적 욕구와 관...
영유아 교육은 위대한 사상가의 철학적 신념을 토대로 이루어졌습니다 . 이들 사상가가 주장...
철학-학생이 임의로 선택한 한 명의 철학자의 생애와 사상 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