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토목재료 핵심 정리 **
◉ 용어정리
◉ 시멘트 클링커 조성광물
◉ 혼화재료 사용 목적
◉ 골재
◉ 함수량
◉ 최대치수
◉ 입도
◉ 조립률
◉ 굳지 않은 콘크리트
◉ 초기균열
◉ 경화한 콘크리트
◉ 체적변화
◉ 체적변화
◉ 내구성
< 강 Steel >
◉ 탄소강 (보통강)
◉ 합금강
◉ 강의 제조법
◉ 강의 조직과 변태
◉ 탄소강의 4가지 상
◉ 강의 열처리
◉ 강의 일반적 성질
◉ 화학적 성질
◉ 천연아스팔트
◉ 석유 아스팔트
◉ 아스팔트의 성질
◉ 아스팔트 혼합물
◉ 목재의 내구성 감소시키는 원인
◉ 내화처리법
◉ 암석의 분류
◉ 각종 석재
◉ 고분자 화합문 – 화합물 중에서 분자량이 약 10,000 이상의 화합물, 분자량이 대단히 큰 화합물
◉ 첨가재료
◉ 고분자 재료
◉ 콘크리트의 장단점
◉ 굳지 않은 콘크리트
◉ 초기균열
◉ 경화한 콘크리트
◉ 체적변화
◉ 크리프
◉ 내구성
< 특수콘크리트 >
◉ AE콘크리트
◉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일명 레미콘)
◉ 레미콘의 제조
◉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품질
◉ 한중콘크리트
◉ 한중콘크리트의 재료
◉ 가열한 재료 투입 순서
◉ 양생
◉ 서중콘크리트
◉ 서중콘크리트의 재료
◉ 양생
◉ 수중콘크리트 – 공기 중 시공이 원칙
◉ 배합
◉ 치기 및 양생
◉ 수중붕분리성 콘크리트
◉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 숏크리트
◉ 숏크리트 공법
◉ 해양콘크리트
◉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최소 덮개
◉ 경량골재콘크리트
◉ 기포콘크리트
◉ 다공성콘크리트
◉ 중량콘크리트
◉ 기타콘크리트
◉ 기능성 콘크리트
◉ 콘크리트-폴리머 복합체
◉ 용어정리
◉ 시멘트 클링커 조성광물
◉ 혼화재료 사용 목적
◉ 골재
◉ 함수량
◉ 최대치수
◉ 입도
◉ 조립률
◉ 굳지 않은 콘크리트
◉ 초기균열
◉ 경화한 콘크리트
◉ 체적변화
◉ 체적변화
◉ 내구성
< 강 Steel >
◉ 탄소강 (보통강)
◉ 합금강
◉ 강의 제조법
◉ 강의 조직과 변태
◉ 탄소강의 4가지 상
◉ 강의 열처리
◉ 강의 일반적 성질
◉ 화학적 성질
◉ 천연아스팔트
◉ 석유 아스팔트
◉ 아스팔트의 성질
◉ 아스팔트 혼합물
◉ 목재의 내구성 감소시키는 원인
◉ 내화처리법
◉ 암석의 분류
◉ 각종 석재
◉ 고분자 화합문 – 화합물 중에서 분자량이 약 10,000 이상의 화합물, 분자량이 대단히 큰 화합물
◉ 첨가재료
◉ 고분자 재료
◉ 콘크리트의 장단점
◉ 굳지 않은 콘크리트
◉ 초기균열
◉ 경화한 콘크리트
◉ 체적변화
◉ 크리프
◉ 내구성
< 특수콘크리트 >
◉ AE콘크리트
◉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일명 레미콘)
◉ 레미콘의 제조
◉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품질
◉ 한중콘크리트
◉ 한중콘크리트의 재료
◉ 가열한 재료 투입 순서
◉ 양생
◉ 서중콘크리트
◉ 서중콘크리트의 재료
◉ 양생
◉ 수중콘크리트 – 공기 중 시공이 원칙
◉ 배합
◉ 치기 및 양생
◉ 수중붕분리성 콘크리트
◉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 숏크리트
◉ 숏크리트 공법
◉ 해양콘크리트
◉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최소 덮개
◉ 경량골재콘크리트
◉ 기포콘크리트
◉ 다공성콘크리트
◉ 중량콘크리트
◉ 기타콘크리트
◉ 기능성 콘크리트
◉ 콘크리트-폴리머 복합체
본문내용
중 콘크리트에 비래 60%의 압축 강도
물의 의한 시멘트 유실
수중 콘크리트의 배합규정
- 물-결합재비 50% 이하
단위시멘트량
치기 및 양생
정수 중 치는 것을 원칙 (완전한 물막이 곤란시 유속 5이하
느린 속도로 치기, 수중 낙하 금물
치기 중 콘크리트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주의
소정의 높이 또는 수면 위로 나올 때까지 연속 타설
약 2℃ 이하의 수중에서는 콘크리트 치기 금물
충분한 강도를 얻을 때까지 정지된 물에서 양생 및 0℃이하 대기 접촉 금물
수중붕분리성 콘크리트 - 증점효과가 탁월한 수중불분리성 혼화제를 사용한 콘크리트
(수중 불분리성 환화제 : 증점효과에 의해 콘크리트가 수중에서 분리되지 않고 경화하기 전까지 시공할 수 있을 정 도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특수한 혼화제)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특정 입도의 굵은 골재를 거푸집 속에 넣고, 그 공극에 특수 모르타르를 적당한 압력으로 주입하여 만든 콘크리트
(특수한 모르타르 유동성↑, 재료분리↓, 적당한 팽창성, 플라이애쉬 등을 OPC와 모래에 혼합)
주입
모르타르의 조건
유하시간 16~20초의 유동성
시험시간 3시간에서의 블리딩 3% 이하
시험시간 3시간에서의 팽창율 5~10%
소요의 압축강도
숏크리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시공면에 뿜어 붙이는 특수한 시공방법
장점
조기에 강도 발현
거푸집 불필요 및 급속 시공
소규모 및 운반 가능한 기계설비로 시공
임의 방향으로 시공가능
협소한 장소, 급경사면 등 나쁜 작업조건 하에서도 시공 가능
단점
리바운드 등의 재료손실 및 분진인 많음
마무리 면에 거칠다
누수면에서의 부착 곤란
시공조건, 시공인의 기술에 의해 시공성, 품질 등의 변동 발생
수밀성 결여
숏크리트 공법
건식법
(콘크리트)
시멘트와 골재를 건비빔시켜 노즐까지 보내어 여기에 물과 합류시켜 압축 공기로 뿜어 붙임
습식법
(모르타르)
재료를 믹서로 비벼 노즐까지 보낸 후 압축공기를 공급해 뿜에 붙임
해양콘크리트 육상이나 해상의 공기중에서 시공하는 항만, 해안, 해양의 콘크리트 구조물
동결융해, 염분에 의한 화학적 침식, 파랑의 의한 물리적 마모, 콘크리트 내부 보강 철근의 부식 고려
일반적 파괴 = 바닷물의 염분이 콘크리트로 침투하여 철근 부식
시멘트
해주 작용에 대해 내구적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내황산염 시멘트 ⇒ 내해수성, 장기강도↑, 수화열↓,,,초기강도↓(초기습윤양생에 주의) 시멘트 속 의 양이 적절히 제어 되었을 때 탁월한 내구성
골재
내구적인 골재 샤용
알칼리에 대해 비반응성의 골재
강재
철근부식에 내구적일 것 (내염성)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최소 덮개
해수에 직접 닿는 부분
75mm (대부분)
이외의 부분
50mm
경량골재콘크리트 건조비중 2.0 이하의 콘크리트
경재적인 구고재료이나 비강도가 큰 것이 단점
기포콘크리트 기포발생으로 저중량화 시킨 콘크리트
잔골재를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 속에 많은 기포를 발생시켜 중량을 가볍게 한 콘크리트
절건비중이 0.4~1.0 정도 이고, 구조재인 경우압축강도 4MPa 이상, 비중 0.8~0.9정도가 요구됨
중성, 건습에 따른 체적변화가 적고 균열이 잘 발생하지 않음, 단열성 우수
흡습성↑, 건조수축↑
다공성콘크리트 배수, 음료수의 여과 경량화 및 열전도율 등을 작게 할 목적으로 만든 콘크리트
굵은 골재와 시멘트풀로 제조, 압축강도 7Mpa 이상을 표준, 400 이상의 투수성 요구
중량콘크리트 비중이 큰 골재를 사용하여 만든 콘크리트
자중에 의해 외력에 견디는 구조물 (댐, 옹벽 등)
방사선 차폐용 : X선, 선 및 중성자 선
단위용적중량 3~5정도의 범위
필요사항 : 재료분리, 블리딩 및 수축률↓, 진동기 사용시 과도한 진동은 무리
기타콘크리트
고강도콘크리트
- 비강도를 높이기 위해 선진국에서 적극활용 (고강도화, 무게절감
유동화콘크리트
단위수량이 적은 콘크리트에 유동화제를 혼입하여 유동성을 일시적으로 증대시킨 콘크리트
된반죽 콘크리트 펌프에 사용 가능
시공성 개선 목적
타서르 다짐이 매우 용이
단위수량 감소로 단위시멘트량 감소
고강도, 고내구성, 고수밀성 콘크리트 제조
압축강도는 유동화제 첨가 전과 동일
워커빌리티는 높으나 운반, 타설 등을 고려
건조수축이 8~15%정도 감소 ⇒ 균열 저감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의 치수가 커서 시멘트의 수화열에 의한 온도의 상승을 고려하여 시공
일반적으로 단면 두께 1m 이상
이어치기시 시공이음(콜드조인트) 및 양생 등에 주의
수화열 : 시멘트량 10당 1℃ 증감
펌프콘크리트
- 현장에서 부어 넣을 장소에 콘크리트를 펌프로 수송하는 공법
공간이 제한된 곳
섬유보강
콘크리트
불연속 단섬유를 콘크리트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인장, 휨, 전단 및 내충격성 개선
임장, 휨, 피로강도 크게 개선
내동해성 및 내진성 개선
섬유의 형상, 치수, 혼입율, 배향 및 분산에 영향
기능성 콘크리트
식생콘크리트
기존의 재료와 동일하게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발휘하고 지구환경과 생태계와의 조화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생활함에 쾌적함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
대부분 다공성 콘크리트에 식물을 배양한 형태
방오콘크리트
대기중 : 화학물질의 부착 등으로 인한 변화나 노화를 방지
다습환경 : 박테리아나 곰팡이 등의 부착 및 번식을 방지 (향균콘크리트)
해수 중 : 해양생물들의 부착 및 서식을 방지
방오제를 콘크리트에 혼합
방오제의 용출속도를 조절하여 성능 유지
폴리머 등을 활용하여 용출 속도 제어
전기전도성 콘크리트
콘크리트에 탄소계통의 재료를 첨가하여 전기저항 감소
전기전도성 이용 : 접지저항 저감재, 전자파 차폐재료, 정전기 방지재료, 내구성 진단재료
전기저항 이용 : 발열콘크리트, 시멘트 저항체
고인성 콘크리트
콘크리트의 취성 거동을 연성 거동으로 유도하고 인장저항력을 증대시키며 매트릭스의 국부적인 균열의 생성 및 성장을 억제
장수명 콘크리트
오래 지속되는 성능을 가진 콘크리트
내투수성↑, 동결저항성↑, 내부식성↑
콘크리트-폴리머 복합체
시멘트의 단점 보안 (느린 경화시간, 작은 인장 강도, 큰 건조수축, 낮은 내약품성 등)
1.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2. 폴리머 함침 콘크리트 3. 폴리머 콘크리트
물의 의한 시멘트 유실
수중 콘크리트의 배합규정
- 물-결합재비 50% 이하
단위시멘트량
치기 및 양생
정수 중 치는 것을 원칙 (완전한 물막이 곤란시 유속 5이하
느린 속도로 치기, 수중 낙하 금물
치기 중 콘크리트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주의
소정의 높이 또는 수면 위로 나올 때까지 연속 타설
약 2℃ 이하의 수중에서는 콘크리트 치기 금물
충분한 강도를 얻을 때까지 정지된 물에서 양생 및 0℃이하 대기 접촉 금물
수중붕분리성 콘크리트 - 증점효과가 탁월한 수중불분리성 혼화제를 사용한 콘크리트
(수중 불분리성 환화제 : 증점효과에 의해 콘크리트가 수중에서 분리되지 않고 경화하기 전까지 시공할 수 있을 정 도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특수한 혼화제)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특정 입도의 굵은 골재를 거푸집 속에 넣고, 그 공극에 특수 모르타르를 적당한 압력으로 주입하여 만든 콘크리트
(특수한 모르타르 유동성↑, 재료분리↓, 적당한 팽창성, 플라이애쉬 등을 OPC와 모래에 혼합)
주입
모르타르의 조건
유하시간 16~20초의 유동성
시험시간 3시간에서의 블리딩 3% 이하
시험시간 3시간에서의 팽창율 5~10%
소요의 압축강도
숏크리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시공면에 뿜어 붙이는 특수한 시공방법
장점
조기에 강도 발현
거푸집 불필요 및 급속 시공
소규모 및 운반 가능한 기계설비로 시공
임의 방향으로 시공가능
협소한 장소, 급경사면 등 나쁜 작업조건 하에서도 시공 가능
단점
리바운드 등의 재료손실 및 분진인 많음
마무리 면에 거칠다
누수면에서의 부착 곤란
시공조건, 시공인의 기술에 의해 시공성, 품질 등의 변동 발생
수밀성 결여
숏크리트 공법
건식법
(콘크리트)
시멘트와 골재를 건비빔시켜 노즐까지 보내어 여기에 물과 합류시켜 압축 공기로 뿜어 붙임
습식법
(모르타르)
재료를 믹서로 비벼 노즐까지 보낸 후 압축공기를 공급해 뿜에 붙임
해양콘크리트 육상이나 해상의 공기중에서 시공하는 항만, 해안, 해양의 콘크리트 구조물
동결융해, 염분에 의한 화학적 침식, 파랑의 의한 물리적 마모, 콘크리트 내부 보강 철근의 부식 고려
일반적 파괴 = 바닷물의 염분이 콘크리트로 침투하여 철근 부식
시멘트
해주 작용에 대해 내구적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내황산염 시멘트 ⇒ 내해수성, 장기강도↑, 수화열↓,,,초기강도↓(초기습윤양생에 주의) 시멘트 속 의 양이 적절히 제어 되었을 때 탁월한 내구성
골재
내구적인 골재 샤용
알칼리에 대해 비반응성의 골재
강재
철근부식에 내구적일 것 (내염성)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최소 덮개
해수에 직접 닿는 부분
75mm (대부분)
이외의 부분
50mm
경량골재콘크리트 건조비중 2.0 이하의 콘크리트
경재적인 구고재료이나 비강도가 큰 것이 단점
기포콘크리트 기포발생으로 저중량화 시킨 콘크리트
잔골재를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 속에 많은 기포를 발생시켜 중량을 가볍게 한 콘크리트
절건비중이 0.4~1.0 정도 이고, 구조재인 경우압축강도 4MPa 이상, 비중 0.8~0.9정도가 요구됨
중성, 건습에 따른 체적변화가 적고 균열이 잘 발생하지 않음, 단열성 우수
흡습성↑, 건조수축↑
다공성콘크리트 배수, 음료수의 여과 경량화 및 열전도율 등을 작게 할 목적으로 만든 콘크리트
굵은 골재와 시멘트풀로 제조, 압축강도 7Mpa 이상을 표준, 400 이상의 투수성 요구
중량콘크리트 비중이 큰 골재를 사용하여 만든 콘크리트
자중에 의해 외력에 견디는 구조물 (댐, 옹벽 등)
방사선 차폐용 : X선, 선 및 중성자 선
단위용적중량 3~5정도의 범위
필요사항 : 재료분리, 블리딩 및 수축률↓, 진동기 사용시 과도한 진동은 무리
기타콘크리트
고강도콘크리트
- 비강도를 높이기 위해 선진국에서 적극활용 (고강도화, 무게절감
유동화콘크리트
단위수량이 적은 콘크리트에 유동화제를 혼입하여 유동성을 일시적으로 증대시킨 콘크리트
된반죽 콘크리트 펌프에 사용 가능
시공성 개선 목적
타서르 다짐이 매우 용이
단위수량 감소로 단위시멘트량 감소
고강도, 고내구성, 고수밀성 콘크리트 제조
압축강도는 유동화제 첨가 전과 동일
워커빌리티는 높으나 운반, 타설 등을 고려
건조수축이 8~15%정도 감소 ⇒ 균열 저감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의 치수가 커서 시멘트의 수화열에 의한 온도의 상승을 고려하여 시공
일반적으로 단면 두께 1m 이상
이어치기시 시공이음(콜드조인트) 및 양생 등에 주의
수화열 : 시멘트량 10당 1℃ 증감
펌프콘크리트
- 현장에서 부어 넣을 장소에 콘크리트를 펌프로 수송하는 공법
공간이 제한된 곳
섬유보강
콘크리트
불연속 단섬유를 콘크리트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인장, 휨, 전단 및 내충격성 개선
임장, 휨, 피로강도 크게 개선
내동해성 및 내진성 개선
섬유의 형상, 치수, 혼입율, 배향 및 분산에 영향
기능성 콘크리트
식생콘크리트
기존의 재료와 동일하게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발휘하고 지구환경과 생태계와의 조화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생활함에 쾌적함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
대부분 다공성 콘크리트에 식물을 배양한 형태
방오콘크리트
대기중 : 화학물질의 부착 등으로 인한 변화나 노화를 방지
다습환경 : 박테리아나 곰팡이 등의 부착 및 번식을 방지 (향균콘크리트)
해수 중 : 해양생물들의 부착 및 서식을 방지
방오제를 콘크리트에 혼합
방오제의 용출속도를 조절하여 성능 유지
폴리머 등을 활용하여 용출 속도 제어
전기전도성 콘크리트
콘크리트에 탄소계통의 재료를 첨가하여 전기저항 감소
전기전도성 이용 : 접지저항 저감재, 전자파 차폐재료, 정전기 방지재료, 내구성 진단재료
전기저항 이용 : 발열콘크리트, 시멘트 저항체
고인성 콘크리트
콘크리트의 취성 거동을 연성 거동으로 유도하고 인장저항력을 증대시키며 매트릭스의 국부적인 균열의 생성 및 성장을 억제
장수명 콘크리트
오래 지속되는 성능을 가진 콘크리트
내투수성↑, 동결저항성↑, 내부식성↑
콘크리트-폴리머 복합체
시멘트의 단점 보안 (느린 경화시간, 작은 인장 강도, 큰 건조수축, 낮은 내약품성 등)
1.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2. 폴리머 함침 콘크리트 3. 폴리머 콘크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