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술의 시작
① 술의어원
② 술의 기원
1) “신은 물을 만들고, 인간은 술을 만들었다”
2) 원숭이 일화
3) 건국담
2. 우리나라 술의 역사
① 막걸리
② 청주
③ 소주
④ 맥주
⑤ 양주
3. 누룩
① 누룩이란?
② 종류
4. 주막
① 주막역사
② 조선시대의 다양해진 주점형태
5. 금주령
① 금주령의 목적
② 금주령의 처벌
① 술의어원
② 술의 기원
1) “신은 물을 만들고, 인간은 술을 만들었다”
2) 원숭이 일화
3) 건국담
2. 우리나라 술의 역사
① 막걸리
② 청주
③ 소주
④ 맥주
⑤ 양주
3. 누룩
① 누룩이란?
② 종류
4. 주막
① 주막역사
② 조선시대의 다양해진 주점형태
5. 금주령
① 금주령의 목적
② 금주령의 처벌
본문내용
술의 시작과 우리나라 술의 역사
목차
1. 술의 시작
① 술의어원
② 술의 기원
1) “신은 물을 만들고, 인간은 술을 만들었다”
2) 원숭이 일화
3) 건국담
2. 우리나라 술의 역사
① 막걸리
② 청주
③ 소주
④ 맥주
⑤ 양주
3. 누룩
① 누룩이란?
② 종류
4. 주막
① 주막역사
② 조선시대의 다양해진 주점형태
5. 금주령
① 금주령의 목적
② 금주령의 처벌
1. 술의 시작
① 술의어원 <양조학> 노완섭지음
술을 뜻하는 한자 酒(주)는 酉(유)라는 글자에서 비롯된 것이다. 酉는 밑이 뾰족하고 목이 긴 항아리의 겉모양에서 따온 상형문자이며 이 항아리에 물을 뜻하는 삼 수(水)변이 붙어 오늘의 酒자를 이루게 되었으니 술을 담는 항아리라는 뜻과 연결하여 생각해 보면 그럴싸하다고 여겨진다.
반면 술의 본래의 고유한 우리말은 ‘수블/수불’ 이었다. 고려시대의「계림유사(鷄林類事)」에는 화자(酉禾子),「조선관역어(朝鮮館譯語)에는 ‘수본(數本)’으로 되어 있고 조선시대 문헌에는 ‘수울’ 또는 ‘수을’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로 미루어 ‘수블’이 ‘수울’을 거쳐서 ‘술’로 변한 것으로 짐작된다.
② 술의 기원
술은 인류 역사와 함께 탄생했다. 인류가 목축과 농경을 영위하기 이전인 수렵, 채취시대에는 과실주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과실이나 벌꿀과 같은 당분을 함유하는 액체에 공기 중의 효모가 들어가면 자연적으로 발효하여 알코올을 함유하는 액체가 된다. 원시시대의 술은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모두 그러한 형태의 술이었을 것이다.
농경시대에 들어와 곡물로 만든 술이 탄생하면서 동서양에서 술은 농경신과 깊은 관계를 가지게 된다. 술의 원료가 되는 곡물은 그 땅의 주식이며 농경에 의해서 얻어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술의 역사는 정확하게 추정하기가 어렵고, 어떤 방법으로 술이 처음제조 되었는지 그 기원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의 문화가중국의 문화권에서 파생 전래되어 왔음을 상기하고, 술의 유래도 중국에서 연유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1) “신은 물을 만들고, 인간은 술을 만들었다”
문자가 탄생하기 훨씬 이전부터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중국 은대의 유적에서 술빚는 항아리가 발견된 사실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2) 원숭이 일화
원숭이들이 바위나 나무 둥치의 오목한 곳에 잘 익은 산포도나 머루를 달 밝은 밤에 넣어 두고 다음 달 보른 밤에 찾아와서 술을 마셨다는 이야기는 여러 나라에 전해 오고 있다.
3) 건국담
술 이야기가 최초로 등장하는 문헌은 <제왕운기>라 할수있다. 동명성왕 건국담에 얽힌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고삼국사>에서 인용되었다. 하백의 세 딸 유화, 선화, 위화가 더위를 피해 청하(지금의 압록강)의 웅심연(연못)에서 놀고 있었다. 이때 천제의 아들 해모수가 세 처녀를 보고 그 아름다움에 도취되어 신하를 시켜 가까이 하려고 하였으나 그들은 응하지 않았다. 그 뒤 해모수가 신하의 말을 듣고 새로 웅장한 궁실을 지어 그들을 초청하였는데, 초대에 응한 세 처녀가 술대접 을 받고 만취한 후 돌아가려 하였다. 그러자 해모수는 앞을 가로막고 하소연하였으나 세 처녀는 달아났다. 그들의 뒤를
목차
1. 술의 시작
① 술의어원
② 술의 기원
1) “신은 물을 만들고, 인간은 술을 만들었다”
2) 원숭이 일화
3) 건국담
2. 우리나라 술의 역사
① 막걸리
② 청주
③ 소주
④ 맥주
⑤ 양주
3. 누룩
① 누룩이란?
② 종류
4. 주막
① 주막역사
② 조선시대의 다양해진 주점형태
5. 금주령
① 금주령의 목적
② 금주령의 처벌
1. 술의 시작
① 술의어원 <양조학> 노완섭지음
술을 뜻하는 한자 酒(주)는 酉(유)라는 글자에서 비롯된 것이다. 酉는 밑이 뾰족하고 목이 긴 항아리의 겉모양에서 따온 상형문자이며 이 항아리에 물을 뜻하는 삼 수(水)변이 붙어 오늘의 酒자를 이루게 되었으니 술을 담는 항아리라는 뜻과 연결하여 생각해 보면 그럴싸하다고 여겨진다.
반면 술의 본래의 고유한 우리말은 ‘수블/수불’ 이었다. 고려시대의「계림유사(鷄林類事)」에는 화자(酉禾子),「조선관역어(朝鮮館譯語)에는 ‘수본(數本)’으로 되어 있고 조선시대 문헌에는 ‘수울’ 또는 ‘수을’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로 미루어 ‘수블’이 ‘수울’을 거쳐서 ‘술’로 변한 것으로 짐작된다.
② 술의 기원
술은 인류 역사와 함께 탄생했다. 인류가 목축과 농경을 영위하기 이전인 수렵, 채취시대에는 과실주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과실이나 벌꿀과 같은 당분을 함유하는 액체에 공기 중의 효모가 들어가면 자연적으로 발효하여 알코올을 함유하는 액체가 된다. 원시시대의 술은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모두 그러한 형태의 술이었을 것이다.
농경시대에 들어와 곡물로 만든 술이 탄생하면서 동서양에서 술은 농경신과 깊은 관계를 가지게 된다. 술의 원료가 되는 곡물은 그 땅의 주식이며 농경에 의해서 얻어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술의 역사는 정확하게 추정하기가 어렵고, 어떤 방법으로 술이 처음제조 되었는지 그 기원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의 문화가중국의 문화권에서 파생 전래되어 왔음을 상기하고, 술의 유래도 중국에서 연유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1) “신은 물을 만들고, 인간은 술을 만들었다”
문자가 탄생하기 훨씬 이전부터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중국 은대의 유적에서 술빚는 항아리가 발견된 사실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2) 원숭이 일화
원숭이들이 바위나 나무 둥치의 오목한 곳에 잘 익은 산포도나 머루를 달 밝은 밤에 넣어 두고 다음 달 보른 밤에 찾아와서 술을 마셨다는 이야기는 여러 나라에 전해 오고 있다.
3) 건국담
술 이야기가 최초로 등장하는 문헌은 <제왕운기>라 할수있다. 동명성왕 건국담에 얽힌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고삼국사>에서 인용되었다. 하백의 세 딸 유화, 선화, 위화가 더위를 피해 청하(지금의 압록강)의 웅심연(연못)에서 놀고 있었다. 이때 천제의 아들 해모수가 세 처녀를 보고 그 아름다움에 도취되어 신하를 시켜 가까이 하려고 하였으나 그들은 응하지 않았다. 그 뒤 해모수가 신하의 말을 듣고 새로 웅장한 궁실을 지어 그들을 초청하였는데, 초대에 응한 세 처녀가 술대접 을 받고 만취한 후 돌아가려 하였다. 그러자 해모수는 앞을 가로막고 하소연하였으나 세 처녀는 달아났다. 그들의 뒤를
추천자료
술의 종류, 성분, 어원, 생리, 민속, 역사
일본술의 기원과 음주문화
술의어원과 문화,변천사,예절에 대한분석
술의 어원과 기원
오씨유 칵테일과 술문화 술의 어원
와인의 세계 (술의 기원, 와인의 기원과 역사, 종류, 효능, 예절, 용어).PPT자료
[일상생활사] 술의 역사 - 술의 기원, 누룩의 역사, 우리나라 술의 역사, 주막, 금주령의 역사
술의 기원과 어원 및 유래, 술의 정의와 역사 및 한국 술의 역사, 우리의 술 문화, 금주령, ...
[한국문화의 이해] 술의 기원, 한국 술의 역사_고대시대부터 해방 후까지, 식민지 시대의 주...
한국문화의 이해_술의 기원, 술의 어원, 전통시대의 술(원시시대의 술, 삼국시대의 술, 고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