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간호술기
Ⅲ. 용어:정의
Ⅲ. 용어:정의
본문내용
어 있는 분비물을 제거함.
5. 오염된 테이프와 끈을 제거.
6. 환자가 비강 삽관일 경우 식염수로 적신 면봉을 사용하여 튜브 주위를 닦음.
7. 환자가 구강 삽관일 경우 airway 제거
8. 구강 세척제로 구강간호를 시행
→구강 위생을 유지함으로써 부비동염이나 중이염의 발생을 낮춤.
9. 구강내 튜브의 고정 위치를 바꾸고 다시 airway 삽입하여 고정.
→튜브의 위치를 바꿔 구강 내에 압력, 구강상처를 최소화 함.
10. 튜브의 적절한 커프 팽창을 확인.
→흡인의 위험을 감소시킴
기관절개술
-절개부위: 피부는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 시킨다.
: 하루에 3번 혹은 필요시마다 시행한다.
-흡인: 분비물이 있을 때만 시행한다.
: 흡인 전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며 흡인을 10초 이상 시행하지 않는다.
-같은 크기나 작은 크기의 절개관을 침상에 준비하여 응급 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대비한다.
7
Chest tube
목적
-흉막강 내 체액, 혈액 또는 공기등을 제거해 늑막내압(음압)을 유지시켜 종격동변위와 폐의 허탈을 방지하며 폐의 원활한 팽창을 도모하기 위함.
관리방법
-합병증을 예방하기위해 매시간 심호흡과 기침을 격려한다.
-배액병은 항상 환자의 흉곽보다 70~90cm 아래에 둔다.
-배액관이 눌리거나 꼬이지 않도록 하고 체위를 자주 변경시킨다.
-배액량, 색깔, 농도등을 관찰 후 기록한다.
(배액량이 시간당 100ml이상 시 의사에게 보고)
-대상자가 호흡시 흉곽이 대칭적으로 팽창하는지 관찰하고 정상호흡음이 들리는지 관찰한다.
-환자 곁에 켈리를 비치해 응급 시에 사용한다.
8
Ventilator
유형
-Time-cycled ventilator (시간 설정 호흡기): 미리 지정해 놓은 시간 동안 지정해 놓은 환기량이 기도내에 전달되면 흡기가 완료되는 형태
▶단점 : 대상자 기도의 신전성(compliance)에 따라 가스 전달에 필요한 압력과
Tidal Volume이 호흡 때마다 다름
-Volume-limited ventilator (용량 제한 호흡기): 미리 지정해놓은 환기량이 기도에 전달되면 흡기가 완료되는 형태
▶단점 : 폐 탄력성이 낮거나 기도저항이 높은 환자에게서 일정한 환기량을 전달 할 수 없음
-Pressure-limited ventilator (압력 제한 호흡기): 미리 지정해 놓은 압력이 기도에 전달되면 흡기가 완료되는 형태
▶단점 : 여러 가지 저항에 의해 공급되는 가스 유량이 영향을 받아 Tidal Volume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Acute Bronchospasm 환자나 수술 후 폐 저항에 변화가
온 환자에게는 유용하지 않음
적응증
-Apnea- 신경근육, 심.폐기능의 허탈
-급성환기부전
-심한 저산소혈증(PaO2가 50mmHg이하)
-호흡근의 피로-쇠약, 만성폐질환 등
사용모드 및 기타 Setting기준
*사용모드
-CMV: 환자의 자발호흡과 상관없이 호흡수, 1회호흡량, 분시환기량(MV)이 정해진 인위적인 호흡
-PRVC(pressure regulated volume control)
환자의 자발호흡이 없을
5. 오염된 테이프와 끈을 제거.
6. 환자가 비강 삽관일 경우 식염수로 적신 면봉을 사용하여 튜브 주위를 닦음.
7. 환자가 구강 삽관일 경우 airway 제거
8. 구강 세척제로 구강간호를 시행
→구강 위생을 유지함으로써 부비동염이나 중이염의 발생을 낮춤.
9. 구강내 튜브의 고정 위치를 바꾸고 다시 airway 삽입하여 고정.
→튜브의 위치를 바꿔 구강 내에 압력, 구강상처를 최소화 함.
10. 튜브의 적절한 커프 팽창을 확인.
→흡인의 위험을 감소시킴
기관절개술
-절개부위: 피부는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 시킨다.
: 하루에 3번 혹은 필요시마다 시행한다.
-흡인: 분비물이 있을 때만 시행한다.
: 흡인 전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며 흡인을 10초 이상 시행하지 않는다.
-같은 크기나 작은 크기의 절개관을 침상에 준비하여 응급 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대비한다.
7
Chest tube
목적
-흉막강 내 체액, 혈액 또는 공기등을 제거해 늑막내압(음압)을 유지시켜 종격동변위와 폐의 허탈을 방지하며 폐의 원활한 팽창을 도모하기 위함.
관리방법
-합병증을 예방하기위해 매시간 심호흡과 기침을 격려한다.
-배액병은 항상 환자의 흉곽보다 70~90cm 아래에 둔다.
-배액관이 눌리거나 꼬이지 않도록 하고 체위를 자주 변경시킨다.
-배액량, 색깔, 농도등을 관찰 후 기록한다.
(배액량이 시간당 100ml이상 시 의사에게 보고)
-대상자가 호흡시 흉곽이 대칭적으로 팽창하는지 관찰하고 정상호흡음이 들리는지 관찰한다.
-환자 곁에 켈리를 비치해 응급 시에 사용한다.
8
Ventilator
유형
-Time-cycled ventilator (시간 설정 호흡기): 미리 지정해 놓은 시간 동안 지정해 놓은 환기량이 기도내에 전달되면 흡기가 완료되는 형태
▶단점 : 대상자 기도의 신전성(compliance)에 따라 가스 전달에 필요한 압력과
Tidal Volume이 호흡 때마다 다름
-Volume-limited ventilator (용량 제한 호흡기): 미리 지정해놓은 환기량이 기도에 전달되면 흡기가 완료되는 형태
▶단점 : 폐 탄력성이 낮거나 기도저항이 높은 환자에게서 일정한 환기량을 전달 할 수 없음
-Pressure-limited ventilator (압력 제한 호흡기): 미리 지정해 놓은 압력이 기도에 전달되면 흡기가 완료되는 형태
▶단점 : 여러 가지 저항에 의해 공급되는 가스 유량이 영향을 받아 Tidal Volume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Acute Bronchospasm 환자나 수술 후 폐 저항에 변화가
온 환자에게는 유용하지 않음
적응증
-Apnea- 신경근육, 심.폐기능의 허탈
-급성환기부전
-심한 저산소혈증(PaO2가 50mmHg이하)
-호흡근의 피로-쇠약, 만성폐질환 등
사용모드 및 기타 Setting기준
*사용모드
-CMV: 환자의 자발호흡과 상관없이 호흡수, 1회호흡량, 분시환기량(MV)이 정해진 인위적인 호흡
-PRVC(pressure regulated volume control)
환자의 자발호흡이 없을
추천자료
[스키너 행동주의 학습이론][파블로프 행동주의 학습이론][손다이크 행동주의 학습이론]스키...
단계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학습)의 의미와 본질, 단계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학습)의 단계와...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학습)의 의미와 가치,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운영지침...
실과(실과교육) 홈프로젝트학습, 실과(실과교육) ICT(정보통신기술)활용학습, 실과(실과교육)...
체육과교육 표현활동수업(표현활동학습) 정의와 요소, 체육과교육 표현활동수업(표현활동학습...
국어과(국어교육) 총체적언어학습과 언어지식학습, 국어과(국어교육) 독서토론학습과 감상중...
[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학습이론]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학습이론) 기본전제, 구성주의이론(...
미술과교육 수업자료(교수학습자료), 미술과교육 감상수업자료(교수학습자료), 미술과교육 미...
[TBL]과제중심학습(TBL, 과업중심학습)의 개념과 성격, 과제중심학습(TBL, 과업중심학습)의 ...
STAD(모둠성취분담모형)협동학습모형의 정의와 이론, STAD(모둠성취분담모형)협동학습모형의 ...
국어과(교육) 발음학습지도, 소집단토의학습지도, 국어과(교육) 갈등학습지도, 역할놀이학습...
수학수업(수학교육, 학습) 조건, 수학수업(수학교육, 학습) 설계, 수학수업(수학교육, 학습) ...
과학과(과학교육, 과학학습)의 목표, 과학과(과학교육, 과학학습)의 학습유형, 과학과(과학교...
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ICT) 교수학습의 계획과 진행, 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ICT) 교수학습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