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레포트, 한국 가족의 변화] KBS 드라마 ‘엄마가 뿔났다’를 통해 살펴본 한국 가족의 변화 영향, 특징, 해결방안과 전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수레포트, 한국 가족의 변화] KBS 드라마 ‘엄마가 뿔났다’를 통해 살펴본 한국 가족의 변화 영향, 특징, 해결방안과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엄마가 뿔났다’ 드라마의 가족에 대한 이해
 1) 출연진
 2) 가족 관계도
 3) 가족 생활주기로 알아보는 가족에 대한 이해

2. 한국의 가족변화
 1) 한국 가족의 기능 변화
 2) 가족 행동의 변화

3. 가족생활주기와 여성의 역할
 1) 제1단계 결혼전기(여성발달에 대한 시각)
 2) 가족형성기
 3) 가족확대기
 4) 확대완료기
 5) 가족축소기와 축소완료기
 6) 해체기

4. 이 드라마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노력을 한다. 하지만 종원의 딸 소라는 나영 수를 좋아하지 않는다. 그래서 영수와 소라사이에 갈등을 겪는다. 소라는 영수의 질문에 별로 대답도 하지 않는다. 영수는 소라의 이중적인 태도로 아이답지 않게 굴어 밉고 불 쾌하다는고 말하게 되면서 종원과 갈등을 겪기도 한다.
㉡ 이전 부모에 대한 그리움
→ 아이들의 경우에는 계속해서 언젠가는 계부모가 떠나고, 그 자리에 이전 부모가 되돌아 오기를 기대한다. 소라 역시 이혼하기 전처럼 이전 부모가 되돌아오기를 바란다. 소라의 생일날 종원과 영수는 케익을 사서 축하해주지만 소라는 종원에게 패밀리레스토랑에 가 자고 한다. 영수를 집에 두고 패밀리레스토랑으로 간 그 곳에는 전처가 있어 종원은 당 황했지만 알고 보니 소라가 원했던 것이었다.
㉢ 자녀의 계부모에 대한 인지, 인정
→ 소라는 친엄마가 있기 때문에 영수에게 쉽게 마음을 주지 않지만 시간약속을 지키지 않 아서 택시를 타고 집에 돌아오게 하는 일, 자신을 두고 밤중에 없어지는 일을 하는 친엄 마와는 달리 자신에게 신경을 써주는 영수에게 조금씩 마음을 열어가게 된다.
2. 한국의 가족변화
1) 한국 가족의 기능 변화
근대 이후 한국 가족의 변화는 직계가족의 감소와 핵가족의 증가, 1세대 가족의 증가, 가족 형태의 다양화를 들 수 있다. 또한 결혼에 대한 가치관도 변화하여 첫 결혼의 연령이 증가되었고, 비혼과 이혼, 재혼의 증가는 결혼이 필수가 아닌 선택사항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가족양상의 변화는 산업화 도시화 여성의 경제활동의 확대로 다양한 사회적 변화와 동시에 일어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가족 기능
가족기능의 변화
경제공동체기능
생산기능 상실 약화, 소비기능 강화
성행위와 출산통제기능
성과 출산통제기능 약화
부부간의 성생활기능 강화
사회화 기능 왜곡, 성차별적 사회화
자녀양육 및 사회화 기능
자녀양육기능 강화, 국가와 공유
정서적 유대 및 여가기능
정서적 유대 및 여가기능 강화
사회보장기능
기능왜곡(핵가족 책임론)
사회보장기능 국가와 공유
지위계승(계급 재생산)기능
지위계승기능 강화
가사노동
가사노동의 사회화 상품화 기계화
2) 한국 가족 변화의 사회적 의미
(1) 가족의 변화
① 형태의 단순화와 다양화
유교적 전통주의의 관점에서 그 자체의 변화를 거부하면서도 사회의 변화에 의해 상당히 퇴조되어 핵가족화가 되면서 가족이념의 변화, 결혼관의 변화, 가족 크기의 축소, 가족 형태의 다양성, 가족 관계의 남녀평등성, 가족기능의 약화를 가져왔다. 가족의 변화 사항을 고려해 볼 때 가족형태의 다양화는 가족성원의 라이프스타일의 다원화에 의해 피할 수 없는 시대적 운명이다.
표 1 가구당 평균가구원수의 변화 (단위: 천가구, %)
연 도
총가구수
가구원수
평균가구원수
1970
5,576
29,235
5.24
1975
6,647
33,504
5.04
1980
7,969
36,843
4.62
1985
9,751
39,121
4.09
1990
11,354
42,101
3.71
1995
12,958
43,308
3.34
2000
14,312
44,653
3.12
자료: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2001.
② 확대가족 감소와 1인가구의 증가
가족이 집단으로서의 측면보다는 오히려 각각의 개인이 주체적으로 선택하는 라이프스타일과 자기 스토리 가족에로 변화되면서 가족에 접근하는 새로운 틀의 전개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과거 35년간의(1966~2000년) 세대구성의 변화를 보면, 단독가구의 증가와 대가족 가구의 감소현상이 두르러지게 나타난다. 단독가구구성비는 13.2%p 증가하였는데 이는 취업 취학으로 인한 이동, 만혼화 현상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995년 혼자 사는 1인가구는 1,642천 가구로, 90년에 비해 대학 이상의 고학력 1인 가구와 70세 이상 노인 1인가구가 크게 증가하였다. 전형적인 대가족 가구인 3세대 가구의 구성비는 23.3%에서 8.2%로 15.1%p 감소하여 핵가구화(핵가족화)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노인가구주 가구의 비율도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표 2 세대구성의 변화 (단위: 명, %)
1966년
1980년
1995년
2000년

5,057,030
7,969,201
12,958,181
14,312,354
1세대
5.5
8.3
12.7
14.2
2세대
65.6
68.5
63.3
60.8
3세대
23.3
16.5
9.8
8.2
4세대이상
2.5
0.5
0.2
0.2
단독가구
2.3
4.8
12.7
15.5
비혈연가구
0.7
1.5
1.4
1.1
자료: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2001.
가구주의 연령은 평균(중위연령) 43세로 90년의 42.2세보다 0.8세 높아 진 것으로 나타난다. 전체 가구주중 남자는 81.5%, 여자는 18.5%로 나타났다. 가구당 배우자는 평균 0.7명, 자녀는 1.3명, 부모는 0.1명으로 가구당 평균 직계가족원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특히 가구당 평균자녀수가 1980년에 2.2명에서 2000년 1.47명으로 인구감소가 우려되는 수준이다.
③ 가족형태별 가구 구성의 변화
가족형태별 가구구성을 보면 부부+미혼자녀가구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부부가구, 편부모+미혼자녀가구의 순이다. 2000년 인구 주택총조사 결과 1995년에 비해 핵가족은 2.8%p 증가하였으며 부모를 모시고 사는 직계가족은 1.2%p 줄어들었다. 구성비변동은 1995년에 비해 핵가족의 부부가구가 2.2%p, 편부모+미혼자녀가 0.8%p 높아졌고 그 외의 가구들은 전부 낮아져서 가족형태는 지속적인 핵가족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표 3 가족형태별 가구의 변화 (단위: 천가구, %)
1990
1995
2000
전국가구수
11,355
12,958
14,312
핵가족
부부
9.3
12.6
14.8
부부+미혼자녀
58.0
58.6
57.8
편부모+미혼자녀
8.7
8.6
9.4
직계가족
부부+양(편)친
0.9
1.1
1.1
부부+양(편)친+자녀
9.4
8.0
6.8
기타가족
13.8
11.2
10.1
자료: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2003.
또한 가족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출산율도 한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4.05.26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93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