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 불닭볶음면 마케팅조사및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양 불닭볶음면 마케팅조사및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조사 목적
ⅰ. 현재 라면 시장 분석
ⅱ. 본 조사의 목적
ⅲ. 본 조사를 통한 해결하고자 하는 것

Ⅱ. 조사 방법
ⅰ. 설문지의 구성
ⅱ. 표본 추출의 방법
ⅲ. 분석 방법
ⅴ. 스케줄

Ⅲ. 분석 결과
ⅰ. 조사 목적에 대한 해답
1. 응답자들의 전체 라면 식품을 대상으로 선호도 파악
2. ‘불닭 볶음면’ 구입 경험 여부에 따른 인지도 및 수용성 파악
3. ‘불닭 볶음면’의 선호, 비선호 원인과 개선점 조사
ⅱ. 구체적 Marketing Plan 제시
1. Viral Marketing
2. 불닭볶음면 매운맛/순한맛 판매
3. 간식,야식과 연계된 광고메세지 전달
4. 좀 더 적극적인 TV광고의 필요성
5. 편의점을 중점으로 한 판매방향 확대

본문내용

9
9.5
9.5
95.5
비빔
4
2.0
2.0
97.5
기타
5
2.5
2.5
100.0
200
100.0
100.0
2. 간식 대용으로 선호하는 라면
빈도
퍼센트
올바른 퍼센트
누적 퍼센트
빨강국물
112
56.0
56.0
56.0
흰국물
12
6.0
6.0
62.0
짜장
30
15.0
15.0
77.0
비빔
38
19.0
19.0
96.0
기타
8
4.0
4.0
100.0
200
100.0
100.0
3. 혼자 먹을 때 선호하는 라면
빈도
퍼센트
올바른 퍼센트
누적 퍼센트
빨강국물
143
71.5
71.5
71.5
흰국물
12
6.0
6.0
77.5
짜장
19
9.5
9.5
87.0
비빔
19
9.5
9.5
96.5
기타
7
3.5
3.5
100.0
200
100.0
100.0
4. 가족,친구랑 있을 때 선호하는 라면
빈도
퍼센트
올바른 퍼센트
누적 퍼센트
빨강국물
170
85.0
85.0
85.0
흰국물
15
7.5
7.5
92.5
짜장
6
3.0
3.0
95.5
비빔
4
2.0
2.0
97.5
기타
5
2.5
2.5
100.0
200
100.0
100.0
-> 식사대용, 간식대용으로 먹을 때나 혼자 먹을 때, 가족 친구와 먹을 때에 관계없이 빨간국물라면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구체적 날씨별 라면 선호도
1. 비올 때 선호하는 라면
빈도
퍼센트
올바른 퍼센트
누적 퍼센트
유효함
빨강국물
143
71.5
72.2
72.2
흰국물
24
12.0
12.1
84.3
짜장
20
10.0
10.1
94.4
비빔
5
2.5
2.5
97.0
기타
6
3.0
3.0
100.0
총계
198
99.0
100.0
결측값
시스템
2
1.0
총계
200
100.0
2. 날씨추울 때 선호하는 라면
빈도
퍼센트
올바른 퍼센트
누적 퍼센트
유효함
빨강국물
161
80.5
80.9
80.9
흰국물
16
8.0
8.0
88.9
짜장
12
6.0
6.0
95.0
비빔
6
3.0
3.0
98.0
기타
4
2.0
2.0
100.0
총계
199
99.5
100.0
결측값
시스템
1
.5
총계
200
100.0
3. 날씨 좋을 때 선호하는 라면
빈도
퍼센트
올바른 퍼센트
누적 퍼센트
유효함
빨강국물
128
64.0
64.0
64.0
흰국물
15
7.5
7.5
71.5
짜장
22
11.0
11.0
82.5
비빔
24
12.0
12.0
94.5
기타
11
5.5
5.5
100.0
총계
200
100.0
100.0
: ‘빨간 국물 라면’이 상당수 차지
→ 구체적인 상황을 부여해 제품별 선호도를 조사해 본 결과, 위와 같이 상황별 제품별 선호도나 날씨별 제품별 선호도 등에서 역시 ‘빨간 국물 라면’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장 라면이나 비빔면 또는 볶음면 종류의 라면 제품은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낮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아직까지는 ‘불닭 볶음면’ 제품도 전체 라면 제품에서 선호도는 상대적으로 많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② ‘불닭 볶음면’ 구입 경험 여부에 따른 인지도 및 수용성 파악
- ‘불닭 볶음면’ 제품에 대한 인지 여부
불닭볶음면 인지 여부
빈도
퍼센트
올바른 퍼센트
누적 퍼센트
유효함

175
87.5
87.5
87.5
아니오
25
12.5
12.5
100.0
총계
200
100.0
100.0
: ‘불닭 볶음면’ 제품을 알고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조사해 본 결과,
200명 중 175명이 알고 있다고 응답 (87.5%)
25명이 모른다고 응답 (12.5%)
→ ‘불닭 볶음면’ 제품에 대한 인지도는 높은 편임을 추론할 수 있다.
- ‘불닭 볶음면’ 제품을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 (제품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173명)
불닭 볶음면을 알게 된 경로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TV광고
15
7.5
8.7
8.7
인터넷
27
13.5
15.6
24.3
매장진열
52
26.0
30.1
54.3
주변권유
62
31.0
35.8
90.2
기타
17
8.5
9.8
100.0
합계
173
86.5
100.0
결측
시스템결측값
27
13.5
합계
200
100.0
: ‘불닭 볶음면’을 ‘알고 있다’라고 응답한 173명을 대상으로 제품을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 조사해 본 결과, ‘주변 권유’를 통해 알게 되었다는 응답자가 대다수 차지 (35.8%)
‘주변 권유’, ‘매장 진열’ 통해 알게 되었다는 응답자가 대다수 차지 (35.8 + 30.1 = 65.9%)
→ 주변에서의 권유를 통해 가장 많이 ‘불닭 볶음면’을 알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라면 제품의 평가에서 주변의 평가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매장 진열’을 통해서도 많이 알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매장에서의 광고와 진열 상태가 제품 인지도에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최근 인터넷 상에서 개인 블로그나 카페에서 불닭 볶음면이 많이 소개 되어 ‘인터넷’을 통해 알게 되었다는 응답자도 15.6%를 차지했다.
그러므로 ‘주변의 권유’와 ‘매장 진열’ 비율이 높음을 착안하여, 향후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함을 알 수 있다.
- ‘불닭 볶음면’을 먹어 본 경험이 있는지
: ‘불닭 볶음면’을 먹어 본 경험 여부에 대해 조사해 본 결과,
전체적으로 ‘불닭 볶음면’ 제품을 134명인 67.0% 정도가 먹어 봤다고 응답
66명인 33.0%가 먹어보지 않았다고 응답(3의 값은 불닭볶음면을 몰랐던 경우)
→ ‘불닭 볶음면’ 제품을 먹어 본 응답자는 200명 중 134명으로 대다수가 먹어 본 것으로 조사되었다. 앞서 살펴봤듯이 제품의 인지도나 접해 본 응답자 비율을 종합해보면 ‘불닭 볶음면’이 소비자들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불닭 볶음면’ 상황별 수요
빈도
퍼센트
유효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밥대신
30
15.0
21.6
21.6
간식
59
29.5
42.4
64.0
야식
42
21.0
30.2
94.2
기타
8
4.0
5.8
100.0
합계
139
69.5
100.0
결측
시스템결측값
61
30.5
합계
200
100.0
빈도
퍼센트
올바른 퍼센트
누적 퍼센트
유효함
더울때
8
4.0
5.7
5.7
추울때
23
11.5
16.4
22.1
날씨좋을
  • 가격5,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4.05.27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98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