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애착의 개념
2. 정서발달과 애착
1) 정서발달과 안정애착
2) 정서발달과 불안-회피 애착
3) 정서발달과 불안-저항 애착
3. 애착이 사회성에 끼치는 영향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애착의 개념
2. 정서발달과 애착
1) 정서발달과 안정애착
2) 정서발달과 불안-회피 애착
3) 정서발달과 불안-저항 애착
3. 애착이 사회성에 끼치는 영향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는 내적 실행 모델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또 타인과 새로운 관계를 맺을 때에도 이 내적 실행 모델을 바탕으로 신뢰롭고 지지적인 관계를 기대하게 될 것이다. 반면 양육자로부터 거부적이거나 비일관적인 양육 태도를 경험한 아동은 양육자에 대해 둔감하고 비일관적으로 표상되는 내적실행 모델을 발달시키고 자신에 대해서도 무가치한 존재로 인식하여 타인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할 때도 거부를 기대하거나 신뢰로운 관계에 대한 기대를 갖지 않게 된다. 또한 내적 실행 모델은 한번 조직되면 쉽게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생애 초기에 형성한 내적 실행 모델은 영아가 발달하면서 구체적인 애착 행동은 달리 표현할 수 있어도 기본적으로 애착이 일생을 통해 지속성을 갖게 하고, 자신이 부모가 되었을 때 자녀에게 나타내는 양육행동에도 영향을 주어 결과적으로 자녀와 형성하는 애착관계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발달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인 ‘애착발달’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Bowlby는 발달과정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발달경로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애착의 상호작용적 속성과 전생애 발달 개념을 더욱 강조하였다. 이러한 전생애적 발달개념을 토대로 내적 작동 모델의 개념을 설명하였으며, 이는 양육자와의 애착경험을 통해 개인의 내적 작동 모델을 형성한다고 말하고 있다. 내적 작동 모델은 애착 과정의 상호적 특성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생애 초기 양육자로부터 지지와 편안함을 받은 아동은 자신을 사랑받고 지지 받을 가치가 있으며, 타인 역시 믿을만하고 의지할 만 하다는 내적 작동 모델을 발전시키게 될 것이다. 반면 애착 표상 즉 양육자로부터 거부와 비일관성을 경험한 아동은 자신을 사랑받을 가치가 없고, 타인 역시 위협적이고 믿을 수 없고, 예측할 수 없다는 내적 작동 모델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적 작동 모델은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양육환경에 의해 계속적인 확인과정을 거침으로써, 점차 안정적이고 굳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생애 초기 양육자와의 관계를 기초로 하여 만들어진 내적 작동 모델은 일생동안 지속적으로 발달 및 변화하며 영유아부터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친다.
참고문헌
송명자(1995). 발달심리학. 학지사
Bowlby, John(2009). 애착. 나남.
반건호(2008). 애착 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 대한의사협회지.
Holmes,Jeremy(2007). 존 볼비와 애착이론. 학지사.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발달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인 ‘애착발달’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Bowlby는 발달과정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발달경로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애착의 상호작용적 속성과 전생애 발달 개념을 더욱 강조하였다. 이러한 전생애적 발달개념을 토대로 내적 작동 모델의 개념을 설명하였으며, 이는 양육자와의 애착경험을 통해 개인의 내적 작동 모델을 형성한다고 말하고 있다. 내적 작동 모델은 애착 과정의 상호적 특성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생애 초기 양육자로부터 지지와 편안함을 받은 아동은 자신을 사랑받고 지지 받을 가치가 있으며, 타인 역시 믿을만하고 의지할 만 하다는 내적 작동 모델을 발전시키게 될 것이다. 반면 애착 표상 즉 양육자로부터 거부와 비일관성을 경험한 아동은 자신을 사랑받을 가치가 없고, 타인 역시 위협적이고 믿을 수 없고, 예측할 수 없다는 내적 작동 모델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적 작동 모델은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양육환경에 의해 계속적인 확인과정을 거침으로써, 점차 안정적이고 굳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생애 초기 양육자와의 관계를 기초로 하여 만들어진 내적 작동 모델은 일생동안 지속적으로 발달 및 변화하며 영유아부터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친다.
참고문헌
송명자(1995). 발달심리학. 학지사
Bowlby, John(2009). 애착. 나남.
반건호(2008). 애착 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 대한의사협회지.
Holmes,Jeremy(2007). 존 볼비와 애착이론. 학지사.
추천자료
부모의 양육 태도에 따른 아동의 인지·정서 형성의 관계 재고찰
태권도 수련생의 정서에 관한 조사연구
보육현장에서 사회정서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영유아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기술
아동이 가진 문제를 상담으로 돕기 이전에 보육현장에서 사회정서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영유...
아동문학과 정서발달과의 관계를 생각해 보고 동생을 질투하는 첫 아이(만2~3세)의 마음이 어...
영아기 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정리
보육시설이 영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논하시오.
아론 백(아론 벡 /Aaron T.Beck)의 인지치료(엘리스 합리정서행동치료, 주요개념, 상담과정, ...
[아동발달론] 유아기 발달에 따른 과업과 문제점(신체적 발달,성장, 인지적 발달, 사회정서적...
[방통대] 유아기의 인지 발달의 특성을 설명하고 적절한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또한 유아...
영유아 사회정서 부적응 행동유형을 조사하고 각 부적응 행동지도방안에 대해 조사 [부적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