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심리 상담사 강의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술심리 상담사 강의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미술치료, 미술심리상담, 사례

본문내용

하면서 현재 자신의 모습을 탐색할 수 있으며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탐색해 볼 수 있다.
학습정리 :
- 자화상의 형식 중에 하나는 ‘타인에게 나를 소개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탐색이 시작될 수 있다.
- 자신을 어떻게 소개하는지 장점을 부각시키는지 단점을 강조하는 지 등을 보며 일상생활에서 관계를 맺어나가는
패턴을 살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을 바라보는 시각이 어떠한지 점검할 수 있다.
M E M O
[ 38강. 자기 인식을 돕는 기법 3 ]
< 동영상 강의 참조 >
1. 자화상 그리기
◆ 거울보고 그리기
- 거울을 보면서 자기의 얼굴이나 반신 또는 전신의 모습을 그린다.
※ 주의 : 화상병동, 소아암병동의 내담자
→ 자기인식을 돕는 과정은 필요하지만, 위의 경우 다른 방법을 사용
◆ 2- 3분 안에 빠르게 그리기
- 위의 기법이 자세히 생각을 하며 그려나가는 것이라면 이 기법은 순간적으로 빠르게 그린다.
※ 대표적인 감정을 읽을 수 있음.
◆ OHP 필름 이용하여 그리기
- OHP 필름에 얼굴을 대고 치료사 또는 파트너가 유성 사인펜으로 윤곽을 그려준 후 자신의 모습을 유성 사인펜,
아크릴 물감이나 잡지 또는 색종이, 여러 가지 오브제를 이용하여 그린다.
◆ 사람 사진 붙이기
- 잡지를 보면서 자기가 마음에 들거나 자기와 비슷하다고 느껴지는 사람들의 모습이 있으면 붙여본다.
※ 그림 그리기 어려워하는 청소년들에게 좋음 (영화배우, 연예인 사진이 가득한 잡지)
※ 조심해야 할 것은 내담자가 잡지 내용에 심취하는 경우도 있음.
◆ 전신사이즈 그리기
- 큰 종이 위에 내담자가 원하는 포즈를 잡고 눕도록 한 뒤 치료사가 윤곽을 그려준 후 내담자가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고 색칠하도록 한다.
※ 주의 : 내담자에게 누가 그림을 그려줬으면 좋겠는지 선택하게끔 하며, 거부하는 내담자에게는 틀의 모양을
제시하며 선택할 수 있도록 제안
2. 전신상으로 자기 인식하기
윤곽을 그려준 후 자신의 모습을 유성 사인펜, 아크릴 물감
3. 전신상을 직접 그려보기
4. 사진과 만들기 재료를 활용한 자화상 만들기
5. 자화상 그리기
[ 39강. 가족 관계 탐색을 위한 미술치료 기법 1 ]
학습목표 : 저항 없이 가족의 역동을 살피고 가족 안에서 자신의 모습을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법과
기법을 이해한다.
1. 가족 미술 평가관계 탐색
1) 퀴아트코스카의 가족미술평가
퀴아트코스카는 주로 심각한 심리적 문제로 입원한 청소년 혹은 성인 가족 구성원이 있는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 미술치료를 했고 이 검사 역시 그러한 가족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방법이다.
재료 : 모서리가 각진 파스텔
소요시간 : 1시간 30분 ~ 2시간
<과제1> 자유화 “생각나는 대로 그림을 그려보세요.”
<과제2> 가족화 “ 당신 자신을 포함해서 가족 개개인을 그려보세요. 사진 같은 그림을 그릴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최선을 다하면 됩니다. 사람을 그릴 때는 부분만 그리지 말고 전체 인물을 모두 그려주십시오.”
<과제3> 추상적 가족화
- (팔운동 - 위아래, 수평방향으로 앞뒤, 원을 그리며 …긴장완화의 목적)
<과제4> 개인난화 : “눈을 감고 그리세요.”
<과제5> 공동난화
<과제6> 자유화
2) 루빈의 가족 미술평가
재료 : 연필, 크레용, 파스텔, 마커, 펜을 제공하고 가족 구성원들이 각자 선택하도록 한다.
<과제1> 개인난화
<과제2> 가족 초상화
<과제3> 공동벽화
학습정리 :
가족미술평가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체크하는 것은 가족 안에서의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보는 것이며 이것에
따라 반응하는 가족 개인의 긴장도와 감정을 주되게 보는 것이다.
M E M O
[ 40강. 가족 관계 탐색을 위한 미술치료 기법 2 ]
1.가족 관계 탐색
내담자의 연령과 문제영역을 넘어 가족 안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은 누구에게나 있게 마련이다. 이 부분을 어떻게 받아드리고 어떻게 수정해 나가느냐가 우리가 가져야 하는 삶의 태도이고 내담자를 바라보는 자세가 되어야 한다.
< 동영상 강의 참조 >
◆ 사례 1 (만8세, 초등학교 2학년 남아)
주 호소 : 감정기복이 심해서 학교생활에서 집단생활에 어려움을 호소, 아동이 엄마와 만나는 순간마다 짜증과
긴장이 반복되는 것을 보고 이 부분을 탐색하고자 가정생활을 그려보도록 함.
그림에서 나타난 자신의 가족안의 어려움을 치료사에게 투사하였고 그 그림을 치료실에 남기고 가면서
마음의 불편감을 털어냄
◆ 사례 2 (유아 때부터 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 11세 남아의 가족 내 스트레스 그리기)
그림 속에서 엄마가 도화지의 중간에 배치되어있는 점, 가장 크게 그려진 점, 자신이라고 그려진 인물에게
공격적인 행동을 하고 있는 점을 보아 엄마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보이지만 한편으로는 가족 안에
서 유일하게 소통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엄마의 폭력적인 행동에 대해 치료사가 반응을 보이는 것 보
다는 아동이 유일하게 소통하고 있는 대상과의 관계의 질적인 측면을 탐색해 보는 것이 중요하며 더불어 가족 안에
서 어려움 상황 속에서도 자신에게 관심을 돌리지 않고 있는 나머지 가족을 향한 감정을 탐색하는 것도 꼭 다루어야
할 문제이다.
◆ 사례 3 (갑작스런 아버지의 사망으로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 11세 남아)
가족 안에서 유일하게 따뜻한 관계를 맺고 있었던 아동이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의기소침해지고 두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신의 모습을 박스에 비유해 만들어 봄
아빠는 좋은 이야기를 해줬고 엄마는 불편한 이야기를 했는데 좋은 이야기를 들려주었던 아빠가 돌아가신 것이
유일한 자신의 지지자가 없어진 것으로 생각함.
자아상이 외부의 이야기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어떻게 의미를 부여하느냐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는 의미로
상자의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모습으로 빗대어 꾸며봄.
◆ 사례 4 (가족과 소통이 단절되어 모든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만13세 청소년)
항상 자신을 무시하는 아버지를 향해 억압해 놓았던 분노를 미술작업 안에서 해소하고 이후에 아버지와 화해하는
작업을 시도함.
M E M O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100
  • 페이지수77페이지
  • 등록일2014.05.29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06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