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석기 시대
2. 신석기 시대
- 움집(수혈주거)의 시대
3. 청동기 시대
4. 초기 철기 시대
5. 삼국시대
1) 고구려의 주택
2) 백제의 주택
3) 신라의 주택
6. 고려시대
참고문헌
2. 신석기 시대
- 움집(수혈주거)의 시대
3. 청동기 시대
4. 초기 철기 시대
5. 삼국시대
1) 고구려의 주택
2) 백제의 주택
3) 신라의 주택
6. 고려시대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으로는 당시 귀족 주택은 침실, 부엌, 기타 부속사들이 모두 각기 독립된 건물로 지어져 있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삼국시대 주거에서 현재로서 가장 주목되는 점은 바닥구조의 “온돌과 마루”의 존재이다. 온돌과 마루는 이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더욱 확대 발전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주거의 고유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이 시대까지는 아직 모양이 갖추어지지는 않았지만 부경(이 시대 창고시설)과 가형토기를 통해 존재사실을 추정할 수 있다.
6. 고려시대
- 12세기초 송나라의 서긍에 의해 쓰여진 고려도경에는 개성의 집들에 대해 ‘마치 벌집이나 개미구멍 같고, 부잣집은 기와지붕이었지만 소수
- 서민주거 → 수혈주거는 사라지고 짚으로 지붕을 이은 지상주거가 많았음.
- 이 시대에는 우리나라 고유의 난방시설인 온돌이 거의 일반화됨.
- 일부 상류계층이나 귀족들의 집에서는 온돌 대신 침상 사용, 또한 그들의 생활도 중국사람들의 생활을 많이 본받은 것으로 보인다.
- 당시의 건물배치는 고려 태조 때 도선의 음양오행설에 따라 산악이 많은 한반도에서 고층건물을 세우는 것은 지기가 쇠퇴한다고 믿고서 불사나 궁전 건축을 제외하고는 중층 이상의 높은 건물은 세우지 않았다. 특히 주택에서는 거의 평옥이었으며 이러한 전통을 근대까지 전해 내려 온다.
- 고려시대에는 풍수 사상이 유행하여 수도와 왕릉을 결정하는 국가적 사업이나 개인의 집터와 건물의 형태를 결정하는 데에 영향을 주었다. 풍수 사상에 의한 좋은 집터는 배산임수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고 했다.
참고문헌
한국건축의 역사 김동욱 2000년 기문당
6. 고려시대
- 12세기초 송나라의 서긍에 의해 쓰여진 고려도경에는 개성의 집들에 대해 ‘마치 벌집이나 개미구멍 같고, 부잣집은 기와지붕이었지만 소수
- 서민주거 → 수혈주거는 사라지고 짚으로 지붕을 이은 지상주거가 많았음.
- 이 시대에는 우리나라 고유의 난방시설인 온돌이 거의 일반화됨.
- 일부 상류계층이나 귀족들의 집에서는 온돌 대신 침상 사용, 또한 그들의 생활도 중국사람들의 생활을 많이 본받은 것으로 보인다.
- 당시의 건물배치는 고려 태조 때 도선의 음양오행설에 따라 산악이 많은 한반도에서 고층건물을 세우는 것은 지기가 쇠퇴한다고 믿고서 불사나 궁전 건축을 제외하고는 중층 이상의 높은 건물은 세우지 않았다. 특히 주택에서는 거의 평옥이었으며 이러한 전통을 근대까지 전해 내려 온다.
- 고려시대에는 풍수 사상이 유행하여 수도와 왕릉을 결정하는 국가적 사업이나 개인의 집터와 건물의 형태를 결정하는 데에 영향을 주었다. 풍수 사상에 의한 좋은 집터는 배산임수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고 했다.
참고문헌
한국건축의 역사 김동욱 2000년 기문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