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스키안전사고 원인
2. 안전수칙
3. 장비관리
4. 스키 부상의 종류
5. 응급 상황 대처방법
Ⅲ. 결론
Ⅱ. 본론
1. 스키안전사고 원인
2. 안전수칙
3. 장비관리
4. 스키 부상의 종류
5. 응급 상황 대처방법
Ⅲ. 결론
본문내용
은 압력이 걸려 회전성이 좋지 않지만 엣지의 제어력이 강하다. 따라서 스키의 바닥면을 평평하게 다듬거나 또는 바닥면을 평평하게 하되 가장자리를 0.01~0,02mm정도 더 깎아낸다.
▷ 엣지 날 세우기 -
엣지날이 무디면 경사가 심한 어려운 코스나 얼어붙은 눈 위에서 턴하기 어렵다. 날을 세우기 위해 바이스에 스키를 고정시켜두고 가는줄을 사용하여 엣지를 깎아낸 다음 줄에 페이퍼를 감아서 잘 다듬는다. 새로운 스키를 사용하기 전에는 스키 앞 부분의 엣지를 무디게 해준다. 이것은 턴 할 때 가해지는 힘 때문에 스키 앞 부분이 설면에 걸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스키의 뒷부분도 무디게 갈아줌으로서 모굴같은 곳에서 턴하는 동안 설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스키바닥면 닦기
스키를 계속 타거나 여러 차례 수리를 하면 스키 바닥에 왁스 찌꺼기가 남는데 이를 철제 주걱(Scraper)을 사용하여 긁어낸다. 주의할 점은 주걱을 자기 몸 쪽으로 잡아당기면서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입자번호 100과 180의 사포(Sanding Paper)를 이용해 각각 3~5회 바닥면을 다듬는다. 바닥면닦기 작업은 시즌 중 2~3회 실시한다.
▷ 왁싱
왁싱의 주요목적은 스키가 갖는 기능 중 활주기능을 좋게 하는 것이다. 그키의 바닥면에는 작은 구멍이 많이 있는데, 왁스는 이 구멍을 통해 흡수된다. 스키는 눈과 왁스사이에 인체의 압력으로 눈이 녹아 생긴 작은 물방울이 윤활제 역할을 함으로써 미끄러진다.
따라서 왁스의 상태에 따라 스키가 미끄러져 가는 속도가 달라진다. 왁싱을 너무 연하게 하면 윤활제 역할을 하는 물방울이 잘 형성되지 못한다. 반대로 왁싱을 너무 딱딱하게 하면 물방울이 잘 형성되어 잘 미끄러지기 때문에 조절하기 어렵다. 설질의 상태에 따라서 적절하게 왁싱을 하면 최적의 활주가 가능하다.
▷ 보관
왁싱이 끝나면 스키 끝 부분을 합성천이나 비닐에 넣어 스키바닥이 서로 닿도록 하여 묶어둔다. 스키를 잘 타지 않는 기간에 스키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습기가 없고 통풍이 잘 되며 그늘진 장소에 보관한다. 스키는 세워서 보관해야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다. 가까운 스키 가게나 스키장에 맡겨두고 보관하는 방법도 좋은 방법이다.
4. 스키 부상의 종류
여러 가지 종류의 스키 부상이 일어나지만 현재 가장 문제가 되는 부상은 \'경골 골절(정강이 뼈 tibia fracture)\'과 \'무릎 전방십자인대 파열(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이다. 각각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① 경골 골절
스킹 중 발생하는 경골 골절은 직접적으로 바인딩의 기능과 연관되어 있다. 바인딩은 스프링과 캠을 이용한 구조로서, 정상 스킹 중에는 스키판을 잡아주다가 한계 이상의 힘이 다리에 가해지면 스키화를 스키판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역할을 한다.
경골 골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앞뒤 바인딩의 창에 표시되어 있는 \'DIN\'이라고 불리는 \'이탈 계수(release value)\'를 신체 조건에 맞추어 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 수치를 정하는 표는 각 스키
▷ 엣지 날 세우기 -
엣지날이 무디면 경사가 심한 어려운 코스나 얼어붙은 눈 위에서 턴하기 어렵다. 날을 세우기 위해 바이스에 스키를 고정시켜두고 가는줄을 사용하여 엣지를 깎아낸 다음 줄에 페이퍼를 감아서 잘 다듬는다. 새로운 스키를 사용하기 전에는 스키 앞 부분의 엣지를 무디게 해준다. 이것은 턴 할 때 가해지는 힘 때문에 스키 앞 부분이 설면에 걸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스키의 뒷부분도 무디게 갈아줌으로서 모굴같은 곳에서 턴하는 동안 설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스키바닥면 닦기
스키를 계속 타거나 여러 차례 수리를 하면 스키 바닥에 왁스 찌꺼기가 남는데 이를 철제 주걱(Scraper)을 사용하여 긁어낸다. 주의할 점은 주걱을 자기 몸 쪽으로 잡아당기면서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입자번호 100과 180의 사포(Sanding Paper)를 이용해 각각 3~5회 바닥면을 다듬는다. 바닥면닦기 작업은 시즌 중 2~3회 실시한다.
▷ 왁싱
왁싱의 주요목적은 스키가 갖는 기능 중 활주기능을 좋게 하는 것이다. 그키의 바닥면에는 작은 구멍이 많이 있는데, 왁스는 이 구멍을 통해 흡수된다. 스키는 눈과 왁스사이에 인체의 압력으로 눈이 녹아 생긴 작은 물방울이 윤활제 역할을 함으로써 미끄러진다.
따라서 왁스의 상태에 따라 스키가 미끄러져 가는 속도가 달라진다. 왁싱을 너무 연하게 하면 윤활제 역할을 하는 물방울이 잘 형성되지 못한다. 반대로 왁싱을 너무 딱딱하게 하면 물방울이 잘 형성되어 잘 미끄러지기 때문에 조절하기 어렵다. 설질의 상태에 따라서 적절하게 왁싱을 하면 최적의 활주가 가능하다.
▷ 보관
왁싱이 끝나면 스키 끝 부분을 합성천이나 비닐에 넣어 스키바닥이 서로 닿도록 하여 묶어둔다. 스키를 잘 타지 않는 기간에 스키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습기가 없고 통풍이 잘 되며 그늘진 장소에 보관한다. 스키는 세워서 보관해야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다. 가까운 스키 가게나 스키장에 맡겨두고 보관하는 방법도 좋은 방법이다.
4. 스키 부상의 종류
여러 가지 종류의 스키 부상이 일어나지만 현재 가장 문제가 되는 부상은 \'경골 골절(정강이 뼈 tibia fracture)\'과 \'무릎 전방십자인대 파열(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이다. 각각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① 경골 골절
스킹 중 발생하는 경골 골절은 직접적으로 바인딩의 기능과 연관되어 있다. 바인딩은 스프링과 캠을 이용한 구조로서, 정상 스킹 중에는 스키판을 잡아주다가 한계 이상의 힘이 다리에 가해지면 스키화를 스키판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역할을 한다.
경골 골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앞뒤 바인딩의 창에 표시되어 있는 \'DIN\'이라고 불리는 \'이탈 계수(release value)\'를 신체 조건에 맞추어 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 수치를 정하는 표는 각 스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