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여는 글
Ⅱ. 고대 건축
1. 그리스 건축
2. 로마 건축
Ⅲ. 중세 건축
1.초기 그리스도교 건축
2. 비잔틴 건축
3. 로마네스크 양식
4. 고딕양식
Ⅳ. 근세 건축
1. 르네상스 시대의 양식
2. 바로크 양식
3. 로코코 양식
Ⅴ. 근세 과도기 건축
1. 신고전주의(Neo-Classicism) 건축 : 그리스와 로마의 건축양식
2.낭만주의(Romanticism) 건축
3. 절충주의(Eclecticism) 건축
Ⅵ. 근대 건축
Ⅶ. 현대 건축
Ⅱ. 고대 건축
1. 그리스 건축
2. 로마 건축
Ⅲ. 중세 건축
1.초기 그리스도교 건축
2. 비잔틴 건축
3. 로마네스크 양식
4. 고딕양식
Ⅳ. 근세 건축
1. 르네상스 시대의 양식
2. 바로크 양식
3. 로코코 양식
Ⅴ. 근세 과도기 건축
1. 신고전주의(Neo-Classicism) 건축 : 그리스와 로마의 건축양식
2.낭만주의(Romanticism) 건축
3. 절충주의(Eclecticism) 건축
Ⅵ. 근대 건축
Ⅶ. 현대 건축
본문내용
오는 조소적(嘲笑的)인 의미는 불식되고, 독자적인 형식감정과 이에 부응하는 창조적이며 자율적인 가치를 가진 미술양식으로 평가되기에 이르렀다. 로코코 양식은 곡선이나 곡면을 이용하여 여성적인 우아한 표현을 의도하였던 양식이며 외관에는 그다지 특징이 없고, 주로 인테리어에 힘을 기울였다. 바로크가 지녔던 충만한 생동감이나 장중한 위압감 따위가 로코코에서는 세련미나 화려한 유희적 정조로 바뀌었는데, 다시 말하면 바로크가 남성적 의지적(意志的)임에 비하여 로코코는 여성적 감각적이라고 할 수 있다. 로코코는 바로크가 매우 둔중한 인상을 주는 데 비해서 세련된 아름다운 곡선으로 표현되었고, 여성적인 인상을 주었으며, 화려한 것이 특징이었기 때문에, 프랑스 궁전의 싸롱에서 애용되었는데, 귀족계급 부인들의 장식품 등 기호 ·취미에 영합되어 성행하였다. 로코코 양식은 프랑스를 중심으로 독일과 오스트리아에도 퍼져나갔다.
(1) 건축 양식의 특징 : 종교와 절대왕권을 배경으로 공적 생활위주로 전개된 바로크 양식과는 대조적으로 로코코 양식은 개인의 사적 생활을 위주로 전개되었다. 섬세하고 우아하며 개인생활에 쾌락을 주는 개인위주의 소규모 공간창조에 열중하였으며, 실내를 곡선과 곡면을 이용하여 우아하고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주범은 장식에 의해 자유로운 수정이 가해졌으며 모든 돌출부의 몰딩은 가늘고 약하며 조각은 엷고 평탄하였다. 로코코의 특색은 그 말의 어원인 로카유가 조개껍데기 세공(細工)이나 모양을 가리키고 있음에서 알 수 있듯이 장식미술, 특히 실내장식이나 가구류에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다. 실내의 각 부분 또는 가구의 형태 등에 조개 모양이나 아칸서스무늬가 도입되고 혹은 그것들의 조합이라고 할 만한 곡선무늬가 뒤얽혀 물결친다. 건축가들은 당시의 살롱 문화를 배경삼아 이런 곡선을 활용하여 실내 공간 자체를 원형적(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멋으로 처리하고 벽과 천장의 연결부분 또는 벽과 벽의 연결부분에도 분절이 드러나 보이지 않는 구조를 고안했다. 직선 직각을 가능한 한 배제하여 부드러운 곡선이 자유롭게 교차하도록 만들고 벽이나 천장의 색채도 담백하고 우아한 색조, 예컨대 흰 바탕에 금색으로 곡선무늬를 안배하는 것 같은 배색을 즐겨 사용하였다. 이런 것은 바로크가 지닌 중후성이나 오만성과는 다른, 경쾌하고 화려한 취향이며 로코코의 특색은 어디까지나 회화적이고 평면적인 데에 있다.
(2) 대표적 작품
① 오뗄 드 수비스 호텔 : 파리, 1735~1740년
② 오뗄 드 마티뇽 호텔 : 파리, 1721년
③ 산수시 궁 : 독일 포츠담, 1745~1747년
④ 아마리엔부르그 : 독일 뮌헨
Ⅴ. 근세 과도기 건축
1. 신고전주의(Neo-Classicism) 건축 : 그리스와 로마의 건축양식
신고전주의란 바로크에 반발하여 그리스 고전양식을 모방하여 고전성에 복귀하고자 하는 양상을 말하는데, 프랑스에 있어서는 루이 15세의 최후 20년간과, 루이 16세 및 나폴레옹 통치기간에 행하여졌다. 영국은 18세기 후반 유럽 최강국이 되어 강대한 자본국가로 번영하였다. 이러한 사회정세 아래서 존스, C.렌에 의하여 신고전주의는 발전하게 되었다. 낭만주의는 자유주의 사상에 의한 사회변혁 때문에 생긴 건축적 표현으로서, 고딕과 같은 중세로의 복귀적인 양상이었다. 18세기 전반기에는 고대유적에 대한 발굴과 고고학적 연구가 활발하여 고전건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독일의 요한 빙켈만이 1764년 고대예술을 객관적으로 연구한 고대예술사를 저술하여 고전부흥운동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1) 건축 양식의 특징 : 시대를 초월하는 절대적 미는 그리스와 로마의 건축이라고 믿고 그리스와 로마양식을 모방하였으며 그리스와 로마 건축양식의 정확한 복원과 모방에 열중하였으며 특히 주범 중시하였다. 르네상스 건축을 로마건축을 규범으로 하여 창조적으로 이용한 반면, 신고전주의 건축은 그리스와 로마의 건축을 정확하게 복원하는데 주력하였으며 블레, 르듀, 길리 등의 신고전주의 건축가들은 고대건축과 같은 장대한 규모와 순수 기하학적 입방체를 결합한 단순 거대한 건축을 추구하였다.
(2) 대표적 작품
① 성 쥬느비에 교회 : 파리, 1758~1789년 일명 판테온이라고도 하며 로마의 판테온을 모방한 작품이다.
② 콩코르드 광장 : 파리, 1749∼1753년, 가브리엘
③ 대영박물관 : 런던, 1823~1847년 그리스 양식을 재현한 영국 신고전주의 건축의 대표작품이다.
2.낭만주의(Romanticism) 건축
자유주의 사상에 의한 사회변혁 때문에 생긴 건축적 표현으로서, 고딕과 같은 중세로의 복귀적인 양상이었다. 고전복원의 신고전주의 건축이 자신들과 시간, 거리상으로 먼 이국적 양식을 도입하고 건물외관의 피상적 형태를 추구하는데 반발하였으며 고대보다는 당시와 시간적으로 가까우며 자기 국가와 민족의 기원으로 삼고 있던 중세의 고딕양식에 주목하였다. 자기 민족국가를 중심으로 그 특수성을 파악하여 정열적인 자유를 존중하는 것으로 낭만주의의 이상은 중세건축에 있으며 특히 고딕양식을 재현, 답습하였다. 낭만주의 건축은 영국에서 시작되어 유럽에 확산되었다.
(1) 건축 양식의 특징
고전주의 건축이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건축에 열중한 반면 낭만주의 건축은 중세의 고딕건축에 관심을 두었으며 자신들의 국가와 민족의 기원이 중세에 있는 것을 보고 중세를 낭만주의의 이상으로 삼았다. 구조와 재료의 정직한 표현이라는 진실성이 반영된 고딕건축이 양식과 방법을 그대로 유지하려고 시도하였다.
1) 영국의 낭만주의 건축 : 낭만주의 건축의 발상지로서 유럽에 전파되었으며 후에 19세기말의 현대건축운동인 미술공예운동을 유발하였다.
2) 프랑스의 낭만주의 건축 : 신고전주의 건축이 활발했으므로 낭만주의 건축은 상대적으로 저조하였다.
3) 독일의 낭만주의 건축 : 고딕양식이야 말로 진정한 게르만적 양식이라고 생각되어 쾰른 성당, 울름성당 등 중세성당들을 중수하였다.
(2) 대표적 작품
① 영국 국회의사당 : 런던, 1835~1860년, 찰스 베리경. 고딕양식을 재현한 건물
② 보티브성당 : 비인, 1853~1879년, 에르스텔.
③ 피에르퐁 성 : 1858년, 비올레 르
(1) 건축 양식의 특징 : 종교와 절대왕권을 배경으로 공적 생활위주로 전개된 바로크 양식과는 대조적으로 로코코 양식은 개인의 사적 생활을 위주로 전개되었다. 섬세하고 우아하며 개인생활에 쾌락을 주는 개인위주의 소규모 공간창조에 열중하였으며, 실내를 곡선과 곡면을 이용하여 우아하고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주범은 장식에 의해 자유로운 수정이 가해졌으며 모든 돌출부의 몰딩은 가늘고 약하며 조각은 엷고 평탄하였다. 로코코의 특색은 그 말의 어원인 로카유가 조개껍데기 세공(細工)이나 모양을 가리키고 있음에서 알 수 있듯이 장식미술, 특히 실내장식이나 가구류에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다. 실내의 각 부분 또는 가구의 형태 등에 조개 모양이나 아칸서스무늬가 도입되고 혹은 그것들의 조합이라고 할 만한 곡선무늬가 뒤얽혀 물결친다. 건축가들은 당시의 살롱 문화를 배경삼아 이런 곡선을 활용하여 실내 공간 자체를 원형적(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멋으로 처리하고 벽과 천장의 연결부분 또는 벽과 벽의 연결부분에도 분절이 드러나 보이지 않는 구조를 고안했다. 직선 직각을 가능한 한 배제하여 부드러운 곡선이 자유롭게 교차하도록 만들고 벽이나 천장의 색채도 담백하고 우아한 색조, 예컨대 흰 바탕에 금색으로 곡선무늬를 안배하는 것 같은 배색을 즐겨 사용하였다. 이런 것은 바로크가 지닌 중후성이나 오만성과는 다른, 경쾌하고 화려한 취향이며 로코코의 특색은 어디까지나 회화적이고 평면적인 데에 있다.
(2) 대표적 작품
① 오뗄 드 수비스 호텔 : 파리, 1735~1740년
② 오뗄 드 마티뇽 호텔 : 파리, 1721년
③ 산수시 궁 : 독일 포츠담, 1745~1747년
④ 아마리엔부르그 : 독일 뮌헨
Ⅴ. 근세 과도기 건축
1. 신고전주의(Neo-Classicism) 건축 : 그리스와 로마의 건축양식
신고전주의란 바로크에 반발하여 그리스 고전양식을 모방하여 고전성에 복귀하고자 하는 양상을 말하는데, 프랑스에 있어서는 루이 15세의 최후 20년간과, 루이 16세 및 나폴레옹 통치기간에 행하여졌다. 영국은 18세기 후반 유럽 최강국이 되어 강대한 자본국가로 번영하였다. 이러한 사회정세 아래서 존스, C.렌에 의하여 신고전주의는 발전하게 되었다. 낭만주의는 자유주의 사상에 의한 사회변혁 때문에 생긴 건축적 표현으로서, 고딕과 같은 중세로의 복귀적인 양상이었다. 18세기 전반기에는 고대유적에 대한 발굴과 고고학적 연구가 활발하여 고전건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독일의 요한 빙켈만이 1764년 고대예술을 객관적으로 연구한 고대예술사를 저술하여 고전부흥운동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1) 건축 양식의 특징 : 시대를 초월하는 절대적 미는 그리스와 로마의 건축이라고 믿고 그리스와 로마양식을 모방하였으며 그리스와 로마 건축양식의 정확한 복원과 모방에 열중하였으며 특히 주범 중시하였다. 르네상스 건축을 로마건축을 규범으로 하여 창조적으로 이용한 반면, 신고전주의 건축은 그리스와 로마의 건축을 정확하게 복원하는데 주력하였으며 블레, 르듀, 길리 등의 신고전주의 건축가들은 고대건축과 같은 장대한 규모와 순수 기하학적 입방체를 결합한 단순 거대한 건축을 추구하였다.
(2) 대표적 작품
① 성 쥬느비에 교회 : 파리, 1758~1789년 일명 판테온이라고도 하며 로마의 판테온을 모방한 작품이다.
② 콩코르드 광장 : 파리, 1749∼1753년, 가브리엘
③ 대영박물관 : 런던, 1823~1847년 그리스 양식을 재현한 영국 신고전주의 건축의 대표작품이다.
2.낭만주의(Romanticism) 건축
자유주의 사상에 의한 사회변혁 때문에 생긴 건축적 표현으로서, 고딕과 같은 중세로의 복귀적인 양상이었다. 고전복원의 신고전주의 건축이 자신들과 시간, 거리상으로 먼 이국적 양식을 도입하고 건물외관의 피상적 형태를 추구하는데 반발하였으며 고대보다는 당시와 시간적으로 가까우며 자기 국가와 민족의 기원으로 삼고 있던 중세의 고딕양식에 주목하였다. 자기 민족국가를 중심으로 그 특수성을 파악하여 정열적인 자유를 존중하는 것으로 낭만주의의 이상은 중세건축에 있으며 특히 고딕양식을 재현, 답습하였다. 낭만주의 건축은 영국에서 시작되어 유럽에 확산되었다.
(1) 건축 양식의 특징
고전주의 건축이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건축에 열중한 반면 낭만주의 건축은 중세의 고딕건축에 관심을 두었으며 자신들의 국가와 민족의 기원이 중세에 있는 것을 보고 중세를 낭만주의의 이상으로 삼았다. 구조와 재료의 정직한 표현이라는 진실성이 반영된 고딕건축이 양식과 방법을 그대로 유지하려고 시도하였다.
1) 영국의 낭만주의 건축 : 낭만주의 건축의 발상지로서 유럽에 전파되었으며 후에 19세기말의 현대건축운동인 미술공예운동을 유발하였다.
2) 프랑스의 낭만주의 건축 : 신고전주의 건축이 활발했으므로 낭만주의 건축은 상대적으로 저조하였다.
3) 독일의 낭만주의 건축 : 고딕양식이야 말로 진정한 게르만적 양식이라고 생각되어 쾰른 성당, 울름성당 등 중세성당들을 중수하였다.
(2) 대표적 작품
① 영국 국회의사당 : 런던, 1835~1860년, 찰스 베리경. 고딕양식을 재현한 건물
② 보티브성당 : 비인, 1853~1879년, 에르스텔.
③ 피에르퐁 성 : 1858년, 비올레 르
추천자료
현대 건축의 잘못된 점
한국 현대시와 건축
유럽의 건축문화
현대 건축론
현대 건축에 대한 작가 및 작품분석
현대 건축의 새로운 개념의 건축가 렘 쿨하스
한국 전통 건축 양식
『현대 건축과 뉴 휴머니즘』에 대하여
Eero Saarinen과 근현대 건축
생태 건축과 현대 건축의 양립, 킬-하세 생태주거단지와 안동 하회마을의 건축적 공통점
현대 건축의 10가지 key-word
현대 건축가 알바로 시저(Alvaro Siza) 조사
[현대 건축가] 천재 건축가 프랭크게리 조사
[건축학] 전통건축의 현대적 재조명 - 한국목조건축의 공포 결구체계를 응용한 현대 철골조 D...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