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로 진전되는 고혈압을
유발한다.
- 과식을 피하고 소량씩 자주 식사하도록 격려한다.
- 근거 : 과식할 경우 혈액이 주로 소화기계 쪽으로 몰려 심장 근육에 필요한
혈류가 부족하여 심장의 부담이 증가하게 됨
- 4~6주 동안은 성생활을 삼간다.
- 다음의 증상이 있으면 의사에게 보고한다.
: 성교 후 15분 이상 호흡곤란, 맥박증가, 극심한 피로, 흉통, 성교 후 불면
- 팔로 장시간 몸을 지탱하는 체위는 피한다.
- 성교 전에 휴식을 취하고 필요시 NTG를 설하 투여한다.
- 성교 전 과식이나 음주를 피한다.
5. 성생활에 대해 교육하였다.
6. 통증이 충분히 이완된 후 이완요법에 대한 교육을 했다.
- 전환 : 1. 시각적 전환 : 독서, TV시청, 심상요법
2. 청각적 전환 : 음악 청취
3. 촉각적 전환 : 느린, 규칙적 호흡, 가벼운 마사지
4. 지적 전환 : 카드놀이, 퍼즐게임, 낱말 채우기 등
간호평가
1. 대상자는 불안에 대해 말로 표현 하였지만, 심한 통증에는 안절부절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2. 대상자는 심근경색에 대해 제공한 정보에 대한 질문에 정확하게 대답하였다.
3. 편안하고 조용한 환경으로 대상자는 안정을 찾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
4. 대상자는 재발위험 요인에 대해 숙지하였지만 여전히 재발에 대한 두려움은
있다고 말했다.
5. 대상자는 적절한 성생활 방법에 대해 이해했다고 말했다.
6. 대상자는 통증이 충분히 이완된 후 전환요법을 위해 느린 음악듣기, 퍼즐게임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간호진단
4. 생활습관변화와 관련된 변비
간호
사정
Subjective
data
“입원하고 나서 똥을 한 번도 못 눴어”
“배가 빵빵한 느낌이야”
“화장실에 계속 앉아있어도 나오지도 않아”
Objective
data
시진 결과 복부팽만이 관찰됨
간호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입원 전 배변 상태(일주일에 5-6회)로 회복될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안에 대변을 볼 것이다.
간호
계획
1. 환자의 배변양상을 사정하고 기록한다.
2. 대상자의 복부팽만감을 줄여준다.
3. 수분섭취를 증가시킨다.
4. 변비에 도움이 되는 식이를 섭취한다.
5. 배변활동 촉진을 위한 운동을 격려한다.
6. 장운동을 도울 수 있는 마사지를 시행한다.
7. 필요하다면 약물을 복용한다.
간호진단
5.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출혈위험성
간호사정
Subjective
data
“이거 피가 많이 나는 건가요?“
Objective
data
PTCA 시술을 시행(침습적 시술)
Aspirin 복용 중 -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
Heparin 투여함 -혈전증의 응고예방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출혈이 없을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시술 후 1일 이내에 출혈이 없을 것이다.
간호계획
1. 시술 후 출혈의 증상을 사정하고 기록한다.
- Special vital을 측정한다.
- 출혈이 있을 경우 : 맥박 상승, 호흡 상승, 체온 저하
- 요골맥박체크, 혈액순환상태 사정
2. 지혈을 위해 시술 부위에 압박을 해준다.
- sand bag 이나 지혈대 적용한다.
3. 시술부위를 관찰한다.
- PTCA시술을 하였다면, CCU에서 1일 정도 mornitor 후 병동으로 나온다.
- 출혈, 종창, 감염, 혈전의 증상을 관찰한다.
4. 출혈 유무와 관련된 임상수치를 확인한다.
검사
정상치
PT
11~15초
PTT
40~100초
5. 시술한 부위를 가능한 한 움직이지 않도록 교육한다.
6. 출혈 증상에 대해 교육한 후, 출혈 시 간호사에게 말하도록 한다.
- 출혈 증상 : 흐르는 느낌이 나는지 사정
7. 출혈 예방을 위한 교육을 실시한다.
- 시술 후 3일 간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한다.
-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도록 한다.
- 상처를 입지 않도록 주의 시킨다.
간호진단
6. 입원으로 인한 환경 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사정
Subjective
data
- “밤에 잠을 거의 못자고 자다가 깨고 그래.”
- “한번 깨면 다시 잠들기가 너무 힘들어.”
- “집에선 6시간이상은 꼭 잤는데 여기선 3시간도 편히 못자.”
- “병원 오고부터 잠도 잘못자고 작은 소리에도 잠이 깨.“
- “아침이나 낮에 겨우 잠이 들면 또 혈압 잰다고 그래서
또 깨고 잠이 들질 않아서 그냥 누워 있어.”
Objective
data
- 5인실 사용으로 인해 불편해 하는 것을 볼 수 있음
- 텔레비전이 하루 종일 켜져 있음
- 낮에는 지인들의 방문이 잦음
- 낮에 누워서 그냥 눈만 뜨고 있는 모습관찰
- 눈이 퀭하고 피곤한 모습을 관찰
간호목표
장기목표
입원 기간 동안 정상적인 수면양상을 보일 것이다.
단기목표
9월 29일 이내에 대상자는 병실에서 하루에 최소 6시간 이상 숙면을 취한다.
간호계획
1. 대상자의 수면 양상을 매일 체크한다.
2. 수면박탈의 악화요인을 자주 사정한다.
3. 수면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권한다.
4. 자기 전에 따뜻한 물이나 차를 마시도록 격려한다.
5. 주위를 산만하게 하는 환경적 요소를 감소시킨다.
- 밤엔 커튼을 친다.
- 조명을 조절한다.
- 문을 닫는다.
- 병실에 자주 들러 텔레비전 소리를 줄인다.
- 병실 사람들에게 자기 전 취침등을 꼭 끄고 자도록 한다.
6. 취침 전 배뇨할 것을 조언한다.
7. 방문객의 수를 제한하도록 조언한다.
8. 대상자의 활동양상을 사정한다.
간호수행
1. 대상자의 수면 양상을 매일 체크하였다.
-> 매일 수면시간을 사정함.
9/26
- 총 수면시간 : 3시간
- data : “밤에 사람들 문 닫는 소리, 움직이는 소리 때문에 깨고 난 뒤 잠이 안 들어서 잠도 못자고...“
9/27
- 총 수면시간 : 3시간
- data : “그래도 낮에 조금 잤는데, 혈압 재러 와서 또 깼어..“
9/28
- 총 수면시간 : 5시간
- data : “오늘은 낮에는 안 잤는데 밤에 좀 잘 잤어, 다섯시간
정도 잔 것 같아, 몸이 덜 피곤해.”
9/29
- 총 수면시간 : 6~7시간
- data : “간만에 푹 잤어, 이제 좀 사는 것 같네.“
9/30
- 총 수면시간 : 6시간
- data : “이젠 잠도 잘 자고 환경에 적응이
유발한다.
- 과식을 피하고 소량씩 자주 식사하도록 격려한다.
- 근거 : 과식할 경우 혈액이 주로 소화기계 쪽으로 몰려 심장 근육에 필요한
혈류가 부족하여 심장의 부담이 증가하게 됨
- 4~6주 동안은 성생활을 삼간다.
- 다음의 증상이 있으면 의사에게 보고한다.
: 성교 후 15분 이상 호흡곤란, 맥박증가, 극심한 피로, 흉통, 성교 후 불면
- 팔로 장시간 몸을 지탱하는 체위는 피한다.
- 성교 전에 휴식을 취하고 필요시 NTG를 설하 투여한다.
- 성교 전 과식이나 음주를 피한다.
5. 성생활에 대해 교육하였다.
6. 통증이 충분히 이완된 후 이완요법에 대한 교육을 했다.
- 전환 : 1. 시각적 전환 : 독서, TV시청, 심상요법
2. 청각적 전환 : 음악 청취
3. 촉각적 전환 : 느린, 규칙적 호흡, 가벼운 마사지
4. 지적 전환 : 카드놀이, 퍼즐게임, 낱말 채우기 등
간호평가
1. 대상자는 불안에 대해 말로 표현 하였지만, 심한 통증에는 안절부절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2. 대상자는 심근경색에 대해 제공한 정보에 대한 질문에 정확하게 대답하였다.
3. 편안하고 조용한 환경으로 대상자는 안정을 찾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
4. 대상자는 재발위험 요인에 대해 숙지하였지만 여전히 재발에 대한 두려움은
있다고 말했다.
5. 대상자는 적절한 성생활 방법에 대해 이해했다고 말했다.
6. 대상자는 통증이 충분히 이완된 후 전환요법을 위해 느린 음악듣기, 퍼즐게임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간호진단
4. 생활습관변화와 관련된 변비
간호
사정
Subjective
data
“입원하고 나서 똥을 한 번도 못 눴어”
“배가 빵빵한 느낌이야”
“화장실에 계속 앉아있어도 나오지도 않아”
Objective
data
시진 결과 복부팽만이 관찰됨
간호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입원 전 배변 상태(일주일에 5-6회)로 회복될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안에 대변을 볼 것이다.
간호
계획
1. 환자의 배변양상을 사정하고 기록한다.
2. 대상자의 복부팽만감을 줄여준다.
3. 수분섭취를 증가시킨다.
4. 변비에 도움이 되는 식이를 섭취한다.
5. 배변활동 촉진을 위한 운동을 격려한다.
6. 장운동을 도울 수 있는 마사지를 시행한다.
7. 필요하다면 약물을 복용한다.
간호진단
5.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출혈위험성
간호사정
Subjective
data
“이거 피가 많이 나는 건가요?“
Objective
data
PTCA 시술을 시행(침습적 시술)
Aspirin 복용 중 -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
Heparin 투여함 -혈전증의 응고예방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출혈이 없을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시술 후 1일 이내에 출혈이 없을 것이다.
간호계획
1. 시술 후 출혈의 증상을 사정하고 기록한다.
- Special vital을 측정한다.
- 출혈이 있을 경우 : 맥박 상승, 호흡 상승, 체온 저하
- 요골맥박체크, 혈액순환상태 사정
2. 지혈을 위해 시술 부위에 압박을 해준다.
- sand bag 이나 지혈대 적용한다.
3. 시술부위를 관찰한다.
- PTCA시술을 하였다면, CCU에서 1일 정도 mornitor 후 병동으로 나온다.
- 출혈, 종창, 감염, 혈전의 증상을 관찰한다.
4. 출혈 유무와 관련된 임상수치를 확인한다.
검사
정상치
PT
11~15초
PTT
40~100초
5. 시술한 부위를 가능한 한 움직이지 않도록 교육한다.
6. 출혈 증상에 대해 교육한 후, 출혈 시 간호사에게 말하도록 한다.
- 출혈 증상 : 흐르는 느낌이 나는지 사정
7. 출혈 예방을 위한 교육을 실시한다.
- 시술 후 3일 간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한다.
-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도록 한다.
- 상처를 입지 않도록 주의 시킨다.
간호진단
6. 입원으로 인한 환경 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사정
Subjective
data
- “밤에 잠을 거의 못자고 자다가 깨고 그래.”
- “한번 깨면 다시 잠들기가 너무 힘들어.”
- “집에선 6시간이상은 꼭 잤는데 여기선 3시간도 편히 못자.”
- “병원 오고부터 잠도 잘못자고 작은 소리에도 잠이 깨.“
- “아침이나 낮에 겨우 잠이 들면 또 혈압 잰다고 그래서
또 깨고 잠이 들질 않아서 그냥 누워 있어.”
Objective
data
- 5인실 사용으로 인해 불편해 하는 것을 볼 수 있음
- 텔레비전이 하루 종일 켜져 있음
- 낮에는 지인들의 방문이 잦음
- 낮에 누워서 그냥 눈만 뜨고 있는 모습관찰
- 눈이 퀭하고 피곤한 모습을 관찰
간호목표
장기목표
입원 기간 동안 정상적인 수면양상을 보일 것이다.
단기목표
9월 29일 이내에 대상자는 병실에서 하루에 최소 6시간 이상 숙면을 취한다.
간호계획
1. 대상자의 수면 양상을 매일 체크한다.
2. 수면박탈의 악화요인을 자주 사정한다.
3. 수면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권한다.
4. 자기 전에 따뜻한 물이나 차를 마시도록 격려한다.
5. 주위를 산만하게 하는 환경적 요소를 감소시킨다.
- 밤엔 커튼을 친다.
- 조명을 조절한다.
- 문을 닫는다.
- 병실에 자주 들러 텔레비전 소리를 줄인다.
- 병실 사람들에게 자기 전 취침등을 꼭 끄고 자도록 한다.
6. 취침 전 배뇨할 것을 조언한다.
7. 방문객의 수를 제한하도록 조언한다.
8. 대상자의 활동양상을 사정한다.
간호수행
1. 대상자의 수면 양상을 매일 체크하였다.
-> 매일 수면시간을 사정함.
9/26
- 총 수면시간 : 3시간
- data : “밤에 사람들 문 닫는 소리, 움직이는 소리 때문에 깨고 난 뒤 잠이 안 들어서 잠도 못자고...“
9/27
- 총 수면시간 : 3시간
- data : “그래도 낮에 조금 잤는데, 혈압 재러 와서 또 깼어..“
9/28
- 총 수면시간 : 5시간
- data : “오늘은 낮에는 안 잤는데 밤에 좀 잘 잤어, 다섯시간
정도 잔 것 같아, 몸이 덜 피곤해.”
9/29
- 총 수면시간 : 6~7시간
- data : “간만에 푹 잤어, 이제 좀 사는 것 같네.“
9/30
- 총 수면시간 : 6시간
- data : “이젠 잠도 잘 자고 환경에 적응이
추천자료
뇌졸중 (stroke)과 심근경색증 (myocardial infarction)
[관상동맥질환]협심증과 심근경색질환
돌연사의 정의와 실태 심근경색
[간호학]뇌졸증, 천식, 심근경색, 당뇨병, 폐렴 문헌고찰 및 진단검사 조사
[응급처치] 심근경색및협심증
SICU case study(Acute Myocardial Infarction_급성심근경색)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실습 폐렴, 심근경색증 우선순위 간호진단
[논문] [관상동맥질환]협심증과 심근경색질환
(스포츠의학, 운동처방관련학과) 허혈성 심장질환과 운동 - 협심증 & 심근경색.pdf
심혈관계질환(임상영양학,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울혈성신부전, 심근경색, 뇌졸중) PPT
[성인간호학][협심증][Angina Pectoris][심근경색] 문헌고찰
성인간호 case study - STEMI ST분절상승 심근경색
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성인간호실습] 급성심근경색 cas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