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도(Electrocardiogram) EKG(중환자간호) 정의, 원리, 심전도 기록, 심전도 리듬의 분석, 심전도 판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전도(Electrocardiogram) EKG(중환자간호) 정의, 원리, 심전도 기록, 심전도 리듬의 분석, 심전도 판독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심전도(Electrocardiogram)

1. 정의

2. 원리

3. 심전도 기록
 1) 기록 원리
 2) 심전도 기록지
 3) 유도체계
 4) 심전도의 기본 파형과 간격

4. 심전도 리듬의 분석 ★

5. 심전도 판독 ★★★
 1) 정상 동성 리듬
 2) 동방결절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3) 심방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4) 방실접합부(AV junction)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5) 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6) 각블록(Bundle branch block, BBB) : 심실전도장애

<참고문헌>

본문내용

00~180회/분
- P파 : 방실접합부리듬과 동일한 특성을 가짐
- QRS파 : 방실접합부 이후의 전도는 정상이므로 QRS파는 정상
- 전도 : 방실접합부리듬과 동일하나, 단지 심박수만 빨라짐
- 리듬 : 규칙적
원인
방실접합부의 국소빈혈, digitalis 중독증 등
(4) 방실결절 전도장애(=방실블록, AV block)
- 동방결절에서 시작한 심장수축자극이 방실결절에 도달한 후 His 속으로 전도가 지연되거나 차단되는 것
① 1도 방실블록(1° AV block)
정의
전도폐쇄가 아닌 전도 지연으로 동방결절에서 시작된 심박조절 자극이 정상적으로 방실결절에 도달하나, 방실결절 내에서 His 속으로의 전도가 비정상적으로 지연됨. 그 외에는 모두 정상 동성리듬의 특징을 보임
심전도 상
특징
-심박동수 : 60~100회/분
-P파 : 정상/ QRS 파: 정상
-전도: P-R간격이 정상(0.20초)보다 지연
-리듬 : 규칙적
원인
우측 관상동맥폐색으로 인한 방실결절성 허혈, 저칼륨형증, 고칼륨혈증,
digitalis, 차단제, 칼슘통로차단제 복용 시
② 2도 방실블록(2° AV block)
정의
동방결절에서 온 전기적 자극이 방실결절에서 심실로 전달되지 않고 때때로 차단되는 것. 맥박이 한 번씩 건너뜀을 느낌
-종류 : MobitzⅠ형(Wenckebath 현상), MobitzⅡ형 이 있음
심전도상
특징
A. MobitzⅠ형(Wenckebath 현상) : 주로 일시적이고 가역적임
- 심박동수: 심방수축(정상) > 심실수축
- P파 : 정상
- QRS파 : 파형은 정상, P-R간격이 점차 지연되다 P파 후 QRS파 한번씩 누락되는 주기가 반복
- 전도 : P-R간격이 점차 지연되다 주기적으로 수축자극이 심실로 전달되지 않고 방실결절에서 차단됨
- 리듬: 불규칙적
B. MobitzⅡ형
- 심박동수: MobitzⅠ형과 특징이 유사
- P파 : 정상, P-R간격 정상
- QRS파 : bundle branch의 한쪽 가지는 계속 차단되어 있어 QRS파는 보통 넓어지거나 정상일 수 있음, 이때 다른 쪽 가지가 간헐적으로 차단되면 양쪽 bundle branch가 모두 막히므로 QRS파가 누락될 수 있음
원인
A. MobitzⅠ형(Wenckebath 현상)
- 1도 방실블럭과 같음
B. MobitzⅡ형
- 전중격 심근경색, 류마티스성 심장질환, 전도체계의 퇴행성 질환과 관련
③ 3도 방실블록(3° AV block)
정의
=완전 심장 블록(complete heart block)이라고도 함
동방결절에서 오는 모든 자극을 방실결절이 완전히 차단하여 심방과 심실이 이 각기 독립적으로 수축
**Adams-Stokes 증후군 발현 → 응급조치 필요
(Adams-Stokes 증후군: 3도 방실블록 있을 대 나타나는 한 현상으로, 뇌혈류량이 감소되어 심한 현기증, 실신, 경련을 일으키는 발작상태)
심전도상
특징
-심방수축수 : 60~100회/분 , 심실수축수 : 20~40회/분
-P파 : 정상, 규칙적임
-QRS파 : P파와 상관없이 느린 속도로 규칙적, 정상보다 넓어짐
원인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증, 전도체계의 퇴행성 질환, 저산소증, 칼슘침착에 의한 대동맥판막 협착, 울혈성 심부전, 약물 부작용, 전해질 불균형, 심장수술 등
5) 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 심실 성 부정맥은 심실조기수축심실빈맥심실세동심정지 등이 있으며, 직접적인 심박출 장애 발생으로 생명을 위협하므로 응급조치 필요함
(1) 조기심실수축(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PVC)
정의
동방결절에서 정상적 수축을 내보내기 전 심실 내의 흥분된 세포가 심실을 직접 수축시킴으로써 발생
부정맥 중 가장 흔히 발생하며, 건강한 사람에게서도 볼 수 있음
심전도상
특징
-심박동수 : 60~100회/분
-P파 : 보이지 않음
-QRS파 : 파형이 넓어지고(0.12초 이상) 변형된 모양
-전도 : 심실에서 시작된 수축이 심방까지 도달하지 못하므로 동방결절은 그 자체의 리듬 유지, 심실 조기수축 후에는 보상휴지기를 가짐
-리듬 : 조기수축의 박동을 제외하면 규칙적
원인
-심근경색(가장 흔한 원인), 울혈성 심부전, 만성 저산소증
-digitalis, 카테콜아민, 교감신경자극제 등의 약물 복용
-흡연, 음주, 카페인 등 심장 자극물질 섭취 시
-전해질 불균형, 빈혈, 감염, 외상, 수술, 심한 빈맥이나 서맥 시
위험한 PVC
(심실세동 예고)
-1분에 5회 이상의 PVC가 있는 경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
-3개 이상 연이어 발생하는 경우
(2) 심실성 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VT)
정의
=“V-tach\"이라고도 하며, 불안정한 심실 기외수축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
-심장의 자동성이 증가하거나 재진입(reentry) 기전에 의해 나타남
-심실 기외수축이 3회 또는 그 이상 나타나는 것
-심실세동으로 진행되며, 심장질환자에게는 극히 위험 → 응급조치 필요
심전도상
특징
-심박동수 : 140~250회/분, 리금 규칙적
-P파 : QRS파에 묻혀서 보이지 않음
-QRS파 : 넓어짐(0.12초 이상)
-전도 : 심실의 한 세포가 흥분해 빠르게 반복하여 심실이 수축
원인
허헐성 심질환, 심근경색증, 저칼륨혈증, 심근증, 저마그네슘혈증, 판막질환, 심부전, 약물부작용, 저혈압, 심실동맥류 등
(3)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VF)
정의
- 심실이 빠르고 비효과적으로 떨리는 상태
- 심실근육세포가 빠르고 불규칙하게 흥분해 심실이 효과적으로 수축하지 못하여 심박출을 전혀 못하게 됨
심전도상
특징
파형을 구분할 수 없으며, 극도로 불규칙적이고 모호한 곡선 보임
원인
- 급성 신근경색증 시 흔히 나타남
-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출혈, 항부정맥제제 사용, 심실상부 빈맥,
쇼크, 수술, 외상
(4) 심정지(Cardiac arrest)
정의
심장의 박동이 멈춘 상태
심전도 상
특징
일직선으로 나타남
(심장의 전기적 활동 없고 심박조절세포들의 불능상태)
원인
심근경색증, 외상, 익사, 전기적 충격, 약물과용, 과민반응 등
→심부정맥을 유발하게 되며 적절한 치료
  • 가격2,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4.06.11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28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