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신학] (요약) 간추린 신약신학 - 제12장 약속의 백성과 & 제13장 하나님의 약속의 성취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약신학] (요약) 간추린 신약신학 - 제12장 약속의 백성과 & 제13장 하나님의 약속의 성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간추린 신약신학

제 12장 약속의 백성

제 13장 하나님의 약속의 성취
(1) 재림
(2) 심판
(3) 상급
(4) 목회적 숙고

본문내용

심 이라고 정의한다. 그의 강림하심은 심판의 날이다. 그 안에 거하지 않는 자들은 부끄러운 심판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예수님의 재림은 신자들의 소망이었음이 분명하다. 특히 요한계시록은 그의 재림이 가까움을 강조하며 그날은 예수님께 속한 자들에게 예수님이 상급을 주시고 악한 자들은 벌하시는 날이 될 것이라는 것을 약속한다.
바울서신에서 예수님의 미래 강림은 심판과 상급과 관련된다. 그리스도의 부활은 신자들의 육체적 부활과 시간적 간격이 있다. 그러므로 신자들의 부활은 예수님이 다시 오실때에만 일어날 것이다. 예수님의 재림을 묘사하게 위해 바울은 세 가지 다른 용어, 즉 그의 오심, 나타나심, 보이심을 사용한다. 만일 예수님의 재림에 대한 소망이 교회의 근원적 소망이었다고 말할수 있다면 분명한 것은 이 소망이 바울 신학에 편재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을 우리는 \"우리 주여, 오시옵소서\"라고 번역되는 아람어 마라나타를 사용하는것에서 분명히 볼수 있다. 바울은 신약의 다른 곳에서 우리가 보았던 것을 되풀이 한다. 예수님의 미래 재림은 성도들에게 위로와 안심을 주며 불경건한 자들에 대한 심판을 예고할 것이다. 따라서 신자들은 그들이 직면하고 있는 반대는 길지 않을 것임을 알고 고난과 박해를 견디라는 격려를 받는다.
히브리서에서 예수님의 재림은 심판과 상급르오부터 분리되어서는 안된다. 베드로전서에서 예수님의 재림은 서신의 상황에 의해 해석해야 한다. 독자들은 고난을 당하고 이었고 베드로는 자주 미래의 유업을 상기키신다. 베드로는 이와 동시에 지속적인 믿음을 갖지 않는 자들에게 임할 심판에 대해서 경고한다. 야고보서는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6.17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39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