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면 블랙 마케팅 분석]신라면 블랙이 실패한 원인 분석,농심이 나아가야할 방향,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라면 블랙 마케팅 분석]신라면 블랙이 실패한 원인 분석,농심이 나아가야할 방향,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회사 개요
2. 사례연구 개요

Ⅱ. 본론
1. 산업 현황 분석
1) 5Force

2. 신라면 블랙의 마케팅 전략과 그 의도
1) swot 분석
2) stp 분석
3) 4p 분석

3. 신라면 블랙이 실패한 원인 분석
1) 마케팅전략의 모순
2) 고물가 상황에서의 높은 가격
3) 강력한 경쟁제품의 등장
4) 과장광고에 따른 공정거래위원회 조사이후 여론의 악화

4. 마케팅 투자와 그 실패에 따른 기업의 재무적 성과 변화
1)매출액
2)당기 순이익
3)주가
4)시장 점유율
5. 신라면 블랙의 실패가 기업과 사회에 미친 영향

Ⅲ. 결론

1. 실패사례를 연구하면서 느낀 점
2. 앞으로 농심이 나아가야할 방향

본문내용

대상 수상
1982년 너구리, 육개장 사발면 개발
1985년 국내라면시장 점유율 1위 달성
1986년 신라면 개발
1995년 볼빅, 웰치주스, 코코넛주스, 덴마크햄 수입판매
1996년 상해공장 준공
1999년 대한민국 제조업 100대 우수 공장 선정
2005년 LA공장 준공
2010년 지식경제부 선정 ‘세계일류상품’
농심의 사업현황 :
농심은 2011년 상반기 기준 라면시장의 71.1%, 스낵시장의 32.8%의 시장점유율로 업계의 독보적인 위치에 있다. 또한 제주 삼다수, 카프리썬 등의 음료시장과 켈로그, 네슬레와의 전략적 제휴로 씨리얼, 행 시작 등에서 사업을 벌이고 있다. 농심은 2010년 매출액 1조 8,952억 원, 당기순이익 1,243억 원의 성과를 보였으며 라면과 스낵 전 세계 80여개 국가에 수출하고 있으며 중국의 상해공장, 미국의 LA공장 등 해외진출에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①대표상품:
면류 : 신라면, 안성탕면, 너구리 짜파게티 등 - 2010년 기준매출 62.2%
스낵류: 새우깡, 양파링, 포스틱 등 - 2010년 기준 매출 12.2%
음료류: 삼다수, 카프리썬, 웰치스 등 -2010년 기준 매출 11.4%
기타: 켈로그, 츄파춥스, 덴마크햄 등 -2010년 기준 매출 13.8%
②매출추이 :
2009년 매출액 - 1조 6,758억 원 당기순이익 - 1,051억원
2010년 매출액 - 1조 8,952억 원 당기순이익 - 1,243억원
2011년(상반기)매출액 - 1조 582억원 당기순이익 - +644억원
③해외진출 :
라면과 스낵 전 세계 80여개 국가에 수출, 장기적인 안목으로 주변국의 식문화를 연구하여 우리의 맛을 해외에 접목시키는 현지화 전략추진
중국 - 상해, 청도, 심양 공장
일본 - 주요 거점도시에 판매 거점 확보
북미 - 토론토, LA, 뉴욕에 지사 및 사무소
2.사례 연구 개요
신라면 블랙 마케팅 사례 연구한것에 대해 개요작성
Ⅱ. 본론
1.신라면 블랙의 마케팅 전략과 그 의도
신라면 블랙은 기존 라면이 갖는 값싼 패스트푸드 이미지에서 벗어나 웰빙 이미지와 함께 라면의 고급화 전략을 시작하여 새로운 라면의 시장을 개척한다.
2.산업현황 분석
1. 라면산업의 5Force 분석
1) 산업 내 경쟁
현재 라면시장은 농심, 삼양, 오뚜기, 한국야쿠르트 등 많은 경쟁회사가 존재하고 있다. 그 중에서 상위 3개사가 90%이상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고 최상위 업체인 농심이 전체 70%이상의 시장점유를 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로 인해 최상위 업체의 자리를 고수 하고 있는 농심이 라면시장을 주도 하고 있고 가격정책에서도 절대적인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소비자들의 입맛의 다각화와 웰빙 열풍으로 제품에 있어 차별화를 두고 있지만 라면산업이 성숙기로 들어서면서 성장성은 낮다. 즉, 급격한 소비량의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초기 투자비용과 퇴거장벽이 높기 때문에 쉽게 라면산업에 진출하거나 빠져 나가지 못한다.
2) 잠재적 진입자의 경쟁
저 부가가치 산업인 라면산업은 대량생산과 대량판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해야 하고 이러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위한 초기 투자비용이 높다. 또한 기존의 사업자들은 경험이 누적될수록 비용이 감소되는 경험효과를 얻게 됨으로써 신규 기업에 비해 절대적인 비용 우위에 놓이게 되어 신규 진출기업에게는 높은 장벽이 된다. 라면 산업의 주요 경쟁력은 브랜드 인지도라고 할 수 있는 만큼 소지자들에 대한 그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신규기업에 의해 출시되는 신규제품의 유통채널을 확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3) 대체재와의 경쟁
사회가 급변하면서 사회가 바빠지고 끼니를 간단하게 해결하려는 현대사회의 식사패턴이 점차 증가 하였다. 이로 인해 단시간에 손쉽게 조리할 수 있고 저장이나 보관도 용이하며 수송, 휴대가 편리한 식품을 찾는 사람이 많아졌고 그 만큼 라면의 대체재가 많이 존재하게 되었다. 햄버거 등의 패스트푸드, 수프, 죽, 샌드위치, 삼각 김밥 등이 라면의 대체재 가 될 수 있고 대체재의 종류의 다양성과 대체재만의 각기 다른 제품특성을 가지고 있어 라면의 소비자들이 대체재로 옮겨 갈 수 있다.
4) 구매자의 교섭력
라면의 맛과 가격이 다양해졌고 소비자의 기호도 다양해진 만큼 소비자의 구매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으며 라면이 저 관여 제품이기 때문에 소비자의 충성도가 그리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기호에 따른 다른 제품으로의 변경 가능성이 크며 구매 경로 또한 다양하여 구매자의 교섭력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5) 공급자의 교섭력
라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밀가루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라면생산의 필수 재료인 밀가루는 제품에 대한 차별성이 크지 않으며 국내 밀가루 공급업체는 대표적으로 4곳이 있지만 이외에도 많은 밀가루 공급업체들이 있기 때문에 라면 제조사 입장에서 경쟁을 유발시키기에 충분하다. 라면 제조사는 높은 자본력을 가지고 있으며 밀가루 생산에는 고기술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후방통합이 가능하다. 하지만 공급자인 밀가루 공급업체는 투자비용, 기술, 유통, 마케팅측면에서 어렵기 때문에 전방통합을 시도하기가 힘들다. 밀가루를 비롯하여 스프에 들어가는 재료들도 공급업체 수가 다양하고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공급자의 교섭력은 약하다고 할 수 있다.
2. 신라면 블랙의 마케팅 전략과 그 의도
1)swot 분석
*Strength
1.품질의 차별화 (고품질) 우골설렁탕 : 붉은 고추와 소고기가 잘 조화된 얼큰하고 매운 국물, 우골이 함유된 스프, 고급 소맥분을 사용한 매끄럽고 쫄깃한 면발, 독특한 향과 맛을 지닌 표고버섯, 건파 등의 별첨스프. 라면은 싸고 영양가도 별로 없는 식품이지 않나 하는 기존의 고정관념을 완전히 뒤집는 작품으로 인기를 끌었다. 또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비율이 60:13:27로 완전식품에 가까운 성분비이고 우골의 양질은 콜라겐과 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원기회복에 좋은 영양식이다. 그리고 신라면 블랙에는 마늘성분이 많아 우골의 흡수를 도와준다.
2.차별화된 컨셉 : 신라면이 출시되고 많은 인기를 끈 만큼 후속작인 블랙에 많은 연구와 비용이 들어갓다. 4년간의 많은 연구와 노력으로 블랙이 출시
  • 가격3,3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14.06.18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43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