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선 혁명군의 창립
(2) 조선 혁명군의 투쟁내역
1) 영릉가성 전투
2) 흥경성 전투
3) 조선 혁명군의 해체
(3) 의의
참고문헌
(2) 조선 혁명군의 투쟁내역
1) 영릉가성 전투
2) 흥경성 전투
3) 조선 혁명군의 해체
(3) 의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위군측은 북문으로 돌입하였다. 이 ‘흥경성 전투’에서 중과부적으로 기진맥진하게 된 일본군과 만주군은 서남문으로 패주하였다. 흥경성 전투에서 승리한 조선혁명군은 태극기를, 중국 요녕민중자위군은 청천백일기를 게양하고 승전의 대축제를 벌였다.
3) 조선 혁명군의 해체
조선 혁명군이 이러한 항일무장투쟁의 성과를 내고 있는 중에 총사령관 양세봉이 1934년 9월 20일에 일제 간첩에 의해 암살당하는 불상사가 일어났다. 게다가 일본군의 토벌작전이 실시해 국민부 조선혁명군의 처지를 곤란하게 하였다. 그러나 조선혁명군은 조선혁명군정부를 수립하여 대응하였고 중국혁명운동과 협동전선을 강화하면서 실천하겠다고 선언 하였다. 그러나 1936년 일제의 토벌작전이 강화되자 조선혁명군은 두 부대로 나누어 피신하였다. 일제는 포위되어
3) 조선 혁명군의 해체
조선 혁명군이 이러한 항일무장투쟁의 성과를 내고 있는 중에 총사령관 양세봉이 1934년 9월 20일에 일제 간첩에 의해 암살당하는 불상사가 일어났다. 게다가 일본군의 토벌작전이 실시해 국민부 조선혁명군의 처지를 곤란하게 하였다. 그러나 조선혁명군은 조선혁명군정부를 수립하여 대응하였고 중국혁명운동과 협동전선을 강화하면서 실천하겠다고 선언 하였다. 그러나 1936년 일제의 토벌작전이 강화되자 조선혁명군은 두 부대로 나누어 피신하였다. 일제는 포위되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