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루소의 생애와 업적
2. 교육사상의 지위
3. 교육사상
Ⅲ. 마치며 - 그의 교육관을 비판하며
Ⅱ. 본론
1. 루소의 생애와 업적
2. 교육사상의 지위
3. 교육사상
Ⅲ. 마치며 - 그의 교육관을 비판하며
본문내용
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겨울에 어린이들이 유리창을 깼다면 그 결과 대단히 추웠다고 어린이 스스로가 깨닫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교육방법이라 했다. 그는 어린이들에게 이유를 설명하는 것은 옳지 못하고, 그들에게는 자연의 힘으로써 깨닫게 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주장했다. 또 신체를 강장하게 함과 동시에 감각을 충분히 발휘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최초의 지성 교육은 어린이가 스스로의 감각을 움직여 얻은 경험에 한정시켜야 하며, 처음부터 책을 주어 독서의 능력을 양성하려 함을 틀린 일이라고 했다. 자연만이 에밀에게는 가장 좋은 서적인 것이다.
나는 어린이들의 모든 과업을 쫓아버림과 동시에 어린이들을 가장 불행하게 하는 첫째 도구인 책을 어린이로부터 쫓아버렸다. 독서는 유년시대의 주문이다. 여러분들이 어린이들에게 할 유일한 일은 어린이들로 하여금 독서로부터 해방시키는 일이다. 에밀에게는 12세가 될 때까지 책이 어떤 것인가를 일러 주지 않았다로 루소는 기술했다. 그리하여 에밀은 지능의 발달이 얼핏 보기에 늦어지는 것 같았으나, 뒷날 현저하게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겼던 것이다.
루소의 지육에 관한 의견은 12세부터 15세까지의 에밀의 교육에 관한 논술 가운데 잘 나타나 있다. 이 시기는 인간의 성장 가운데 - 특히 체력의 발달이 비교적 현저하게 나타나는 시기이다. 이 시기야말로 노동의 시기이며, 교훈의 시기이며, 연구의 시기인 것이다. 그러나 이 시기에 있어서도 책을 통해서가 아니라, 자연과 사실에 따라 언제나 감각을 길잡이로 하여 점차적으로 이성을 계발시켜야 할 뿐 비약을 꾀해서는 안된다는 것
나는 어린이들의 모든 과업을 쫓아버림과 동시에 어린이들을 가장 불행하게 하는 첫째 도구인 책을 어린이로부터 쫓아버렸다. 독서는 유년시대의 주문이다. 여러분들이 어린이들에게 할 유일한 일은 어린이들로 하여금 독서로부터 해방시키는 일이다. 에밀에게는 12세가 될 때까지 책이 어떤 것인가를 일러 주지 않았다로 루소는 기술했다. 그리하여 에밀은 지능의 발달이 얼핏 보기에 늦어지는 것 같았으나, 뒷날 현저하게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겼던 것이다.
루소의 지육에 관한 의견은 12세부터 15세까지의 에밀의 교육에 관한 논술 가운데 잘 나타나 있다. 이 시기는 인간의 성장 가운데 - 특히 체력의 발달이 비교적 현저하게 나타나는 시기이다. 이 시기야말로 노동의 시기이며, 교훈의 시기이며, 연구의 시기인 것이다. 그러나 이 시기에 있어서도 책을 통해서가 아니라, 자연과 사실에 따라 언제나 감각을 길잡이로 하여 점차적으로 이성을 계발시켜야 할 뿐 비약을 꾀해서는 안된다는 것
추천자료
성리학 교육철학(교육사상) 이이, 실학 교육철학(교육사상) 유형원, 실학 교육철학(교육사상)...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근대교육]근대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 근...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권근과 이황,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이이, 조선 ...
몬테소리의 교육철학(교육사상), 엘렌케이의 교육철학(교육사상), 듀이 교육철학(교육사상), ...
[실학주의 교육사상][실학주의][교육사상가]실학주의 교육사상의 발달배경, 실학주의 교육사...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노자와 공자,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묵자와 맹자, 중국 ...
[교육사상][철학]엘렌케이의 교육철학(교육사상), 듀이의 교육철학(교육사상), 니일의 교육철...
[코메니우스교육사상][교육철학]코메니우스의 약력, 코메니우스 교육철학(교육사상)의 실제, ...
노자의 교육철학(교육사상), 공자의 교육철학(교육사상), 묵자의 교육철학(교육사상), 맹자의...
교육철학(교육사상) 성격, 교육철학(교육사상) 기능, 교육철학(교육사상) 대표적 학자, 본질...
교육철학(교육사상) 도입과 발달, 교육철학(교육사상) 의의와 성격, 교육철학(교육사상) 분류...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가치와 관심영역, 관념주의 교육철학(교육사상), 실용주의 교육철학(교...
[정약용 교육사상] 다산 정약용의 생애, 교육사상, 정약용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의- 다산 정...
[안창호 교육사상] 도산 안창호(島山 安昌浩) 교육사상 개요, 안창호 교육사상의 현대적 시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