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쌀
1) 쌀의 어원
2) 쌀의 모양
3) 재배 벼의 발생지와 전파
2. 쌀농사의 시작
1) 철의 사용
2) 철기시대 야철지
3) 우경의 보급
3. 이앙법
1) 이앙법이란?
2) 이앙법을 하는 세가지 이유 <임원경제지>
3) 이앙법의 금지 이유
4) 이앙법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 <농업><상업><사회>
4. 일제의 쌀 수탈 정책
1) 무단 통치기 (토지 조사 사업의 실시)
2) 문화 통치기 (산미 증식 계획)
3) 민족말살통치 (병참 기지화)
4) 해방 이후
참고문헌
1) 쌀의 어원
2) 쌀의 모양
3) 재배 벼의 발생지와 전파
2. 쌀농사의 시작
1) 철의 사용
2) 철기시대 야철지
3) 우경의 보급
3. 이앙법
1) 이앙법이란?
2) 이앙법을 하는 세가지 이유 <임원경제지>
3) 이앙법의 금지 이유
4) 이앙법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 <농업><상업><사회>
4. 일제의 쌀 수탈 정책
1) 무단 통치기 (토지 조사 사업의 실시)
2) 문화 통치기 (산미 증식 계획)
3) 민족말살통치 (병참 기지화)
4) 해방 이후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런 정책에 순응하여 친일적 성향을 띤 결과였다.
2) 문화 통치기 : 산미 증식 계획의 실시 (1920년대)
일본의 산업화 정책으로 이촌 향도 현상의 확산되면서 식량 부족 사태를 초래하게 되었다. 그로인해 쌀 값 급등으로 폭동이 발생하면서 부족한 쌀을 한국에서 수탈하게 되었다. 1920년부터 15년 계획으로 개간과 간척 사업 등으로 920만 석 증산을 목표로 하였다. 1925년 수정 비료 공급확대, 종자 개량, 경작 방법의 개선 및 수리 시설개선으로 증산을 독려 하였다. 그 결과 증산은 계획보다 부진하였으나 수탈량은 계획대로 추진되었다. 그리하여 조선 내 식량 부족 사태로 곡물 가격이 폭등되었다. 그래서 만주에서 조, 수수 등을 수입하여 공급을 하였으나 식량은 여전히 부족하였다. 농민들은 생활이 극도로 악화되어 농민들은 화전민이 되거나 만주, 일본 등지로 떠나 이주민이 증가하였다. 최태경 역음,
구분
연도
조선 내 소비량
인구 총수
(4월말 현재)
1인당 연 소비량
(A)
쌀 소비량 불변시
예상 소비량
(A)의 지수
1914~1919
11,777,210석
16,657,835인
0.7071 석
11,778,755 석
100
1920~1924
11,185,987석
17,581,922인
0.6379 석
12,432,177 석
90
1925~1929
9,726,557석
18,987,184인
0.5124 석
13,425,877 석
72
1930~1933
9,072,556석
20,234,303인
0.4486 석
14,307,675 석
60
산미 증식 계획 이전 5개년 평균 1인당 한 해 쌀 소비량은 0.7071 석이었다. 1인당 소비량이 그대로 유지 된다면 인구가 늘어난 만큼 예상 소비량 (인구 X 0.7071)이 늘어났을 것이다. 그만큼 수출량이 줄 수밖에 없었지만 수출량은 오히려 계속 늘어다. 결국 늘어난 수출량 만큼 (A)의 지수에서 보듯이 1인당 쌀 소비량이 30% 가량 줄어들었다.
3) 민족말살통치 : 병참 기지화 (1930년40년대)
남면북양정책으로 산미 증식 계획은 잠시 중단되었다가 중일전쟁(1937)을 계기로 계획 재개되었다. 일본인은 소비규제를 목적으로 식량배급제도를 만들었다. 일본은 이뿐만 아니라 미곡 공출제도를 시행하여 농가 당 공출량을 할당하여 강제 수탈, 1940년부터는 잡곡까지도 포함하여 전체 생산량의 절반 정도를 공출로 수탈해 갔다.
4) 해방 이후
‘해방’이란 일제에게 빼앗긴 쌀을 되찾아 오는 것을 뜻했다. 그러나 1945년 ‘해방’된 뒤에도 식량 사정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나라 밖 곳곳에서 동포가 돌아와 사람 수가 늘고, 식량은 모자랐다. 쌀값은 나날이 오르고 미군정이 쌀 정책을 잘못 펴면서 지주와 모리배들의 배만 불리게 되었다. 일반영세농은 시세보다 싼값으로 강제 공출 당하고, 쌀값은 오히려 크게 올랐다.
참고문헌
공준원 저, 우리 쌀 오천년, 우인북스 2014
백명식 저, 위대한 쌀과 밥, 씽크스마트 2011
최해춘 저, 쌀을 알자, 신구문화사 1997
이춘녕 저, 쌀과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1991
2) 문화 통치기 : 산미 증식 계획의 실시 (1920년대)
일본의 산업화 정책으로 이촌 향도 현상의 확산되면서 식량 부족 사태를 초래하게 되었다. 그로인해 쌀 값 급등으로 폭동이 발생하면서 부족한 쌀을 한국에서 수탈하게 되었다. 1920년부터 15년 계획으로 개간과 간척 사업 등으로 920만 석 증산을 목표로 하였다. 1925년 수정 비료 공급확대, 종자 개량, 경작 방법의 개선 및 수리 시설개선으로 증산을 독려 하였다. 그 결과 증산은 계획보다 부진하였으나 수탈량은 계획대로 추진되었다. 그리하여 조선 내 식량 부족 사태로 곡물 가격이 폭등되었다. 그래서 만주에서 조, 수수 등을 수입하여 공급을 하였으나 식량은 여전히 부족하였다. 농민들은 생활이 극도로 악화되어 농민들은 화전민이 되거나 만주, 일본 등지로 떠나 이주민이 증가하였다. 최태경 역음,
구분
연도
조선 내 소비량
인구 총수
(4월말 현재)
1인당 연 소비량
(A)
쌀 소비량 불변시
예상 소비량
(A)의 지수
1914~1919
11,777,210석
16,657,835인
0.7071 석
11,778,755 석
100
1920~1924
11,185,987석
17,581,922인
0.6379 석
12,432,177 석
90
1925~1929
9,726,557석
18,987,184인
0.5124 석
13,425,877 석
72
1930~1933
9,072,556석
20,234,303인
0.4486 석
14,307,675 석
60
산미 증식 계획 이전 5개년 평균 1인당 한 해 쌀 소비량은 0.7071 석이었다. 1인당 소비량이 그대로 유지 된다면 인구가 늘어난 만큼 예상 소비량 (인구 X 0.7071)이 늘어났을 것이다. 그만큼 수출량이 줄 수밖에 없었지만 수출량은 오히려 계속 늘어다. 결국 늘어난 수출량 만큼 (A)의 지수에서 보듯이 1인당 쌀 소비량이 30% 가량 줄어들었다.
3) 민족말살통치 : 병참 기지화 (1930년40년대)
남면북양정책으로 산미 증식 계획은 잠시 중단되었다가 중일전쟁(1937)을 계기로 계획 재개되었다. 일본인은 소비규제를 목적으로 식량배급제도를 만들었다. 일본은 이뿐만 아니라 미곡 공출제도를 시행하여 농가 당 공출량을 할당하여 강제 수탈, 1940년부터는 잡곡까지도 포함하여 전체 생산량의 절반 정도를 공출로 수탈해 갔다.
4) 해방 이후
‘해방’이란 일제에게 빼앗긴 쌀을 되찾아 오는 것을 뜻했다. 그러나 1945년 ‘해방’된 뒤에도 식량 사정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나라 밖 곳곳에서 동포가 돌아와 사람 수가 늘고, 식량은 모자랐다. 쌀값은 나날이 오르고 미군정이 쌀 정책을 잘못 펴면서 지주와 모리배들의 배만 불리게 되었다. 일반영세농은 시세보다 싼값으로 강제 공출 당하고, 쌀값은 오히려 크게 올랐다.
참고문헌
공준원 저, 우리 쌀 오천년, 우인북스 2014
백명식 저, 위대한 쌀과 밥, 씽크스마트 2011
최해춘 저, 쌀을 알자, 신구문화사 1997
이춘녕 저, 쌀과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1991
추천자료
- 일제시대 전남의 사회와 경제
- 일제 식민지하에서의 해방운동
- 일제시대 하 경제발전의 당위성과 문제점에 관한 논의
- 일제시대의 농민운동과 노동운동
- 식민지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과 종합 정리
- 식민지 근대화론
- [3 1운동][3 1운동 배경][3 1운동 전개][3 1운동 진전][각계의 3 1운동 참여][3 1운동과 일제...
- [3 1 운동][3 1 운동 전개과정][3 1 운동 전국적 확산][일제][독립운동]3 1 운동의 전개과정,...
- 통일 후 북한지역에 적용할 지적제도 모형 연구
- 일제강점기부터 임시 정부 수립 미 해방 이후 까지--한국근대사의 이해 및 분석
- 식민지근대화론 - 식민지 근대화론 등장배경, 내재적발전론 비교, 의의 및 한계
- 한국 사회의 사회 불평등, 불평등 구조, 한국 노동자 계급, 한국 자본가 계급, 중간 계급, 중...
- 일제 식민통치
- [식민지시대, 일제강점기]식민지시대(일제강점기, 일제시기, 일제시대)의 성격규정, 조선시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