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 쌀의 역사 - 쌀, 농사, 쌀의 원산지 및 전파경로, 쌀의 어원, 쌀농사의 시작, 철의 사용과 우경, 조선후기 이앙법과 조선사회의 변화, 일제의 쌀 수탈정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문화사] 쌀의 역사 - 쌀, 농사, 쌀의 원산지 및 전파경로, 쌀의 어원, 쌀농사의 시작, 철의 사용과 우경, 조선후기 이앙법과 조선사회의 변화, 일제의 쌀 수탈정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쌀의 원산지 및 전파경로
1) 인도 기원설
2) 동남아 기원설
3) 중국 기원설

2. 쌀의 어원

3. 쌀농사의 시작
1) 탄화벼
2) 소로리

4. 철의사용과 우경

5. 조선후기 이앙법과 조선사회의 변화
1) 직파법
2) 이앙법
3) 조선사회의 변화

6. 일제의 쌀 수탈정책
1) 토지조사사업
2) 산미증식계획
3) 강제공출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 이 계획의 무리한 강행은 조선에서는 화전민이 증가하고 소작농이 몰락하였다. 일본에서는 쌀 가격 폭락으로 일본 농촌경제가 악화되어 결국 1934년 중단되었다
3) 강제공출(황국신민화기 1937 ~ 1945)
중일전쟁의 도발로 본격적인 전시체제에 들어간 일제는 식량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전시식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식량증산정책과 식량통제를 실시하였다. 1939년 조선미곡통제령, 조선미곡배급조정령을 공포하여 조선 쌀의 통제를 제도화하고, 공출 및 배급 제도를 실시하였다. 1940년부터 식량증산을 위하여 '신조선미곡증식계획'을 실시하는 한편 식량배급조합을 설치하였으며, 임시미곡배급규칙을 실시하여 각 농가로부터 종자와 자가소비용을 제외한 쌀을 강제 수매하는 등 식량의 국가관리를 단행하였다.
공출에 대한 농민들의 반발이 커지자 총독부는 그 해의 공출량을 미리 할당하는 사전할당제, 할당량을 부락 연대책임하에 납부하게 하는 부락책임공출제 등을 시행하여 공출을 강행하였으며, 1944년에는 농업생산책임제를 실시하여 부락단위로 책임수량이 할당되었다. 1940∼1945년까지 전생산량의 40∼60%가 강제 공출되었고, 농민들은 하루 쌀 1홉과 잡곡 1∼1.3홉으로 연명해야 했다. 그 결과 농민은 최소한의 식량마저 빼앗겨 농촌은 더욱 궁핍해졌으며, 일제의 비호를 받는 극소수의 대지주를 제외한 대다수 농민들은 완전히 몰락하였다.
참고 자료
공준원 저, 우리 쌀 오천년, 우인북스 2014
백명식 저, 위대한 쌀과 밥, 씽크스마트 2011
최해춘 저, 쌀을 알자, 신구문화사 1997
이춘녕 저, 쌀과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1991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6.27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63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