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 <쌀> 쌀의 사회사 - 벼의 기원과 전래, 농경의 시작(우경과 농기구), 이앙법, 일제의 쌀수탈, 통일벼, FTA(쌀수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문화사] <쌀> 쌀의 사회사 - 벼의 기원과 전래, 농경의 시작(우경과 농기구), 이앙법, 일제의 쌀수탈, 통일벼, FTA(쌀수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벼의 기원과 전래
2. 농경의 시작
3. 우경과 농기구
4. 이앙법
5. 일제의 쌀 수탈
6. 통일벼
7. 왜 우리 조상들은 벼농사를 지어 왔는가
8. FTA - 쌀 수입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통일벼란?
우리나라는 1971년 세계 최초로 인디카품종과 자포니카품종간 원연 교잡에 의해 통일벼를 개발하였다. 통일벼는 그 생산량이 일반벼 품종보다 40% 가까이 많아 우리나라 단군 역사이래 최대 숙원이었던 식량자급을 달성, 보리고개에서 해방시켜 주었고 우리민족의 주린 배를 채워주었다. 최근에는 수량이 월등히 높은 \"안다(安多)벼\"가 개발되었는데 그 수량이 헥타(ha)당 7.3톤에 이른다.
(2) 통일벼의 장점
1960년대 우리나라 농업사정은 해방과 6.25전쟁을 겪으면서 1960년대 후반에 전국 평균 쌀 수량은 약 300kg/10a수준으로 전국 쌀 생산량은 360만톤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만성적인 식량부족에 굶어죽는 사람들도 많았을 뿐더러 2~3차 산업 발달에도 큰 지장을 주었다. 게다 부족한 쌀을 수입하려니 경제 사정마저 더욱 어려워져서 말 그대로 빈곤의 악순환이 계속 되었다. 이에 1971년 통일벼를 개발 하게 되었다. 다수확 품종인 통일벼의 출현으로 빈곤의 상징이던 보릿고개는 옛말이 됐다. 통일벼 덕분에 77년에는 쌀 생산량이 유사 이래 최고인 660만t을 기록했고, ha당 수확량이 4.94t으로 세계 최고기록을 세웠다. 누구나 세 끼 쌀밥을 먹을 수 있는 시대를 가능하게 한 녹색혁명이었다.
(3) 통일벼와 새마을 운동과의 관계
박정희대통령이 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통일벼를 보급에 힘썼다 이로인해 쌀의 생산량의 엄청난 증대가 이루어졌고 농가 소득은 증가 하기 시작 했다. 74년엔 농가 가구당 소득이 117만 8천원으로 도시 근로자 소득 101만 4천원을 앞지르는 이변을 보인다. 농촌의 현대화의 일원으로 78년엔 트렉트, 이앙기가 등장하는 바야흐로 농업 기계화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이해 10월 5일에는 자연보호현장 선포식도 있다. 이즈음 인도네시아에 쌀 7만톤을 수출하는 성과를 거두는 등 대풍의 쌀을 세계시장으로 돌리자는 보도가 나올 만큼 자신을 보였던 때이다.
7. 왜 우리 조상들은 벼농사를 지어 왔는가
우리나라는 한 해 평균 1300mm의 비가 여름 한철에 집중적으로 내리는 기후적 특성을 갖고 있다. 또 남한만 하더라도 75%는 산지이고 25%는 평야지로 내리는 비가 모두 평지로 흘러 들게 된다. 평지에 집중적으로 고이는 물 속에서 썩지 않고 뿌리를 내리는 유일한 곡류가 벼이다. 물속에서 이루어지는 벼농사는 몇가지 장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일반적으로 pH 5 정도로 강산성인 우리 토양은 여름철 고온기간에 물에 잠기면 산화철등이 자연으로 황원돼 토양의 산도는 pH 6.5 정도로 올라가기 때문에 논에는 산도교정을 목적으로 별다른 시비를 할 필요가 없다.
둘째. 여름철 논의 물은 고온으로 산소가 거의 없어 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이 번식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토양이 물에 잠긴 조건에서는 잡초가 잘 자랄 수 없어 잡초의 종류도 현저히 감소한다.
셋째. 종자당 생산량이 많다. 즉, 벼종자 1 kg으로 생산 할 수 있는 쌀은 137kg 에 달하지만 밀은 29kg, 옥수수는 70kg 감자는 25kg에 불과하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일본과 함께 1 ha 당 부양해야 할 인구수가 20명이 넘는 국가이고 벼농사가 아니라면 많은 양의 곡식을 생산할 수 없는 형편이므로 쌀 농사를 지어 안정적으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에 대한 국민적 이해가 요구된다.
8. FTA - 쌀 수입
(1) 농업과 FTA
1) UR
a. UR협상에서 농업분야는 각국이 가장 고민하는 분야
b. 가격 경재의 불리함과 농업보조 조차도 기대할 수 없기에 농민의 경쟁력은 하락
2) 농어촌 구조 개선 기금
a. 농어촌 구조 개선사업을 위해 투자된 국고 지방비를 통칭
3) FTA : WTO의 이념이 결국 모든 무역장벽을 철폐하여 자율적인 국제 무역을 이루자는 것
a. 한국은 수출지향적이고 대외 의존도가 높은 나라
b. FTA체제로 나간다는 전제하에서 국가 이익을 극대화하고 국가 내 손익을 적절히 분배하는 관점
c. 갈등구조를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사회내의 시스템적이고 효율적인 갈등해소 메카니즘을 마련
d. 농업자체도 소득이 나는 분야를 선택하고 집중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
e. 농업이라는 것이 결국 식량안보, 또는 사회 안정등 여러 문제와 관계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쉽게 문제를 해결하기는 힘들다.
참고문헌
공준원 저, 우리 쌀 오천년, 우인북스 2014
백명식 저, 위대한 쌀과 밥, 씽크스마트 2011
최해춘 저, 쌀을 알자, 신구문화사 1997
이춘녕 저, 쌀과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1991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7.01
  • 저작시기201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71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