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한국의 가족 구조 및 형태
1) 다양한 형태의 가족 구조의 등장
2) 시대별 분거가족의 양상
3) 한국의 분거가족의 현황
2. 분거가족의 형태 분석
1) 국내/해외 유학
2) 주말/월말 부부
3) 기러기 아빠
4) 맞벌이 부부
3. 분거가족의 원인 – 교육을 중심으로
1) 교육에 대한 가치관 변화
2) 학벌주의
3) 신자유주의 그리고 세계화
4. 분거가족의 문제점
1) 정서적 문제
2) 경제적 문제
3) 사회적 문제
5. 해결방향
1) 교육제도 및 환경의 개선
2) 가족적 가치에 대한 인식의 변화
Ⅲ. 결 론
Ⅱ. 본 론
1. 한국의 가족 구조 및 형태
1) 다양한 형태의 가족 구조의 등장
2) 시대별 분거가족의 양상
3) 한국의 분거가족의 현황
2. 분거가족의 형태 분석
1) 국내/해외 유학
2) 주말/월말 부부
3) 기러기 아빠
4) 맞벌이 부부
3. 분거가족의 원인 – 교육을 중심으로
1) 교육에 대한 가치관 변화
2) 학벌주의
3) 신자유주의 그리고 세계화
4. 분거가족의 문제점
1) 정서적 문제
2) 경제적 문제
3) 사회적 문제
5. 해결방향
1) 교육제도 및 환경의 개선
2) 가족적 가치에 대한 인식의 변화
Ⅲ. 결 론
본문내용
다. 그래야만 부모들이 자녀의 사교육을 위해서 분거가족 선택을 막을 수 있다.
높은 수준의 교육 환경을 지방과 수도권 골고루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균형적인 교육 환경이 제공되어야만, 사교육이 아니더라도 강남의 8학군을 찾아 주말 부부를 하진 않을 것이다. 또한 아이들의 적성과 흥미에 맞는 교육도 병행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결국 사교육을 찾을 수밖에 없고, 해외로 교육의 방향을 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각종 분거 가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도 중요하다. 앞선 자료에서 보았듯 분거 가족의 경우 가족에서의 만족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분거 가족에서의 자녀 교육의 효과가 얼마나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해 국가차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며, 그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그저 주말부부나 기러기아빠 생활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에서 매우 불확실한 정보나, 지인들에 의해서만 들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표본이 매우 한정적이고 편파적일 수 있다. 따라서 분거 가족을 선택했을 때 투자 대비 교육 효과에 대해서도 고찰이 있어야 할 것이다.
2) 가족적 가치에 대한 인식의 변화
이 글에서는 유학, 주말/월말부부, 기러기아빠, 맞벌이부부의 분거가족 형태를 관통하는 교육적 측면에 집중을 했다. 하지만 결국 자녀의 교육은 가정이 행복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사회가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아무리 자식을 위해서 부모가 희생을 했더라도, 자녀의 부모에 대한 고마움과 정서적인 유대감이 없다면 결국 부모가 얻을 수 있는 것은 없다. 또한 그렇게 자신의 학업에만 모든 것을 쏟아 붓는 모습을 보고 자랐다면, 결국 학업적 성과가 인생의 전부라는 가치관이 박힐 수 도 있다.
결국 자녀에 대한 교육에 몰입하는 것이 결코 좋은 결과만을 불러 올 수 없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과거에는 부모 중 하나가 없으면, 교육을 못 받았을 거라며 손가락질 하던 시기도 있었다. 물론 과학적 근거는 없지만, 유교적 사상에 근거한 한국 사회의 특징상 같이 살아야만 얻을 수 있는 긍정적 가치들은 분명히 존재한다. 어른에 대한 예절이나 효, 그리고 다양한 정서적인 가치들이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최근의 분거 가족은 오히려 자발적으로 이러한 교육보다는 계량적인 성과들만을 중시하고 있다. 생물학적 부모중 하나는 멀리 살아있지만 정서적인 교류와 그러한 교육들은 사라지고 있다. 더 이상 이런 극심한 경쟁 사회에서 보다 가족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가족적 가치가 우선이 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Ⅲ. 결 론
분거가족은 일종의 선택이다. 자신이 생각하는 기회비용에 따라 분거를 택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러한 정서적, 경제적 고통을 감내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미래의 불확실한 행복이 결코 지금의 행복을 결정지어줄 수는 없다. 또한 현재의 가족도 행복하지 않는데, 미래의 가족이라고 해서 행복할 수 있다는 보장은 없다.
지난 11월 한명의 기러기 아빠가 자살을 택했다. 전기 설비 기사로 일하는 이씨는 4년 전 아내와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다니는 두 아들과 아내를 함께 미국으로 유학을 보냈다. 이 씨는 경제적 여유가 없었기 때문에 기러기 아빠가 되고 난 후 단 한 번도 가족을 보러 갈 수 없었다. 보다 못한 그의 형제들이 미국행 비행기를 마련해주기도 했지만, 그것도 개인 사정으로 인해 갈 수 없었다. 그는 유서에서 “아빠는 몸 건강, 정신 건강 모두 다 잃었다. 가족들에게 미안하다.”고 적혀 있었다. 가족 간의 불화는 있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자녀의 행복을 위해 아버지의 행복을 포기한 결국 이 가족은 비극으로 끝을 맺었다. MBC뉴스 13.11.09 <50대 기러기 아빠 자살…4년 전 미국 간 가족 한번도 못봐>
http://imnews.imbc.com/replay/nwdesk/article/3365898_5780.html
어떤 식의 결과를 가져올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가족의 행복을 위해 일부 구성원의 희생만 요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분거 가족을 택할 수밖에 없는 개별적 상황들에 모두 같은 잣대를 들이밀 수는 없다. 하지만 적어도 교육의 이유 때문에 그러한 외로움과 가족과의 단절을 결심하려 한다면, 한 번 더 생각해 봐야할 것이다. 외로움과 정서적, 경제적 문제로 인해 일어나지 않았을 수도 있는 비극이 우리 사회에서 또 일어나지 않도록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이정규(2003) <한국사회의 학력 학벌주의 근원과 발달>
여성가족부(2010) <2010년 제2차 가족실태조사>
통계청(2010) <2010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2013) <2013 사회조사>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김주현, 송민경, 이현주 (2010) <기러기 아빠의 분거가족 결정과 유지경험에 관한 연구>
김희정, 최연실 (2012) <자녀 해외유학 ‘기러기 가족’의 가족구조 분석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최정혜 (2005) <주말부부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주말부부 남편과 아내의 비교>
황혜원 (2009)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역할갈등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윤철경, 송민경, 문경숙, 민선희 (2009) < 조기유학 청소년의 심리사회학 발달과 정책방안연구>
김원호 (2013) <와이프푸어, 기러기 아빠, 기러기 엄마>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인구주택총조사 http://census.go.kr/hcensus/index.jsp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egams/index.jsp
서울신문 13.06.03
뉴시스 12.01.30 <이슈진단 '무너지는 한국 교육'-학교폭력·교권추락 등 공교육 붕괴현상 심각>
MBC뉴스 13.11.09 <50대 기러기 아빠 자살…4년 전 미국 간 가족 한번도 못봐>
노컷뉴스 13.11.12 <광주, 수능 후 서울로 대규모 논술유학>
뉴센닷컴 13.10.03 <연예계 기러기 아빠 누구? 이성재 정명재 이상운 왜 화제인가?>
높은 수준의 교육 환경을 지방과 수도권 골고루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균형적인 교육 환경이 제공되어야만, 사교육이 아니더라도 강남의 8학군을 찾아 주말 부부를 하진 않을 것이다. 또한 아이들의 적성과 흥미에 맞는 교육도 병행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결국 사교육을 찾을 수밖에 없고, 해외로 교육의 방향을 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각종 분거 가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도 중요하다. 앞선 자료에서 보았듯 분거 가족의 경우 가족에서의 만족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분거 가족에서의 자녀 교육의 효과가 얼마나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해 국가차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며, 그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그저 주말부부나 기러기아빠 생활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에서 매우 불확실한 정보나, 지인들에 의해서만 들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표본이 매우 한정적이고 편파적일 수 있다. 따라서 분거 가족을 선택했을 때 투자 대비 교육 효과에 대해서도 고찰이 있어야 할 것이다.
2) 가족적 가치에 대한 인식의 변화
이 글에서는 유학, 주말/월말부부, 기러기아빠, 맞벌이부부의 분거가족 형태를 관통하는 교육적 측면에 집중을 했다. 하지만 결국 자녀의 교육은 가정이 행복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사회가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아무리 자식을 위해서 부모가 희생을 했더라도, 자녀의 부모에 대한 고마움과 정서적인 유대감이 없다면 결국 부모가 얻을 수 있는 것은 없다. 또한 그렇게 자신의 학업에만 모든 것을 쏟아 붓는 모습을 보고 자랐다면, 결국 학업적 성과가 인생의 전부라는 가치관이 박힐 수 도 있다.
결국 자녀에 대한 교육에 몰입하는 것이 결코 좋은 결과만을 불러 올 수 없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과거에는 부모 중 하나가 없으면, 교육을 못 받았을 거라며 손가락질 하던 시기도 있었다. 물론 과학적 근거는 없지만, 유교적 사상에 근거한 한국 사회의 특징상 같이 살아야만 얻을 수 있는 긍정적 가치들은 분명히 존재한다. 어른에 대한 예절이나 효, 그리고 다양한 정서적인 가치들이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최근의 분거 가족은 오히려 자발적으로 이러한 교육보다는 계량적인 성과들만을 중시하고 있다. 생물학적 부모중 하나는 멀리 살아있지만 정서적인 교류와 그러한 교육들은 사라지고 있다. 더 이상 이런 극심한 경쟁 사회에서 보다 가족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가족적 가치가 우선이 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Ⅲ. 결 론
분거가족은 일종의 선택이다. 자신이 생각하는 기회비용에 따라 분거를 택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러한 정서적, 경제적 고통을 감내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미래의 불확실한 행복이 결코 지금의 행복을 결정지어줄 수는 없다. 또한 현재의 가족도 행복하지 않는데, 미래의 가족이라고 해서 행복할 수 있다는 보장은 없다.
지난 11월 한명의 기러기 아빠가 자살을 택했다. 전기 설비 기사로 일하는 이씨는 4년 전 아내와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다니는 두 아들과 아내를 함께 미국으로 유학을 보냈다. 이 씨는 경제적 여유가 없었기 때문에 기러기 아빠가 되고 난 후 단 한 번도 가족을 보러 갈 수 없었다. 보다 못한 그의 형제들이 미국행 비행기를 마련해주기도 했지만, 그것도 개인 사정으로 인해 갈 수 없었다. 그는 유서에서 “아빠는 몸 건강, 정신 건강 모두 다 잃었다. 가족들에게 미안하다.”고 적혀 있었다. 가족 간의 불화는 있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자녀의 행복을 위해 아버지의 행복을 포기한 결국 이 가족은 비극으로 끝을 맺었다. MBC뉴스 13.11.09 <50대 기러기 아빠 자살…4년 전 미국 간 가족 한번도 못봐>
http://imnews.imbc.com/replay/nwdesk/article/3365898_5780.html
어떤 식의 결과를 가져올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가족의 행복을 위해 일부 구성원의 희생만 요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분거 가족을 택할 수밖에 없는 개별적 상황들에 모두 같은 잣대를 들이밀 수는 없다. 하지만 적어도 교육의 이유 때문에 그러한 외로움과 가족과의 단절을 결심하려 한다면, 한 번 더 생각해 봐야할 것이다. 외로움과 정서적, 경제적 문제로 인해 일어나지 않았을 수도 있는 비극이 우리 사회에서 또 일어나지 않도록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이정규(2003) <한국사회의 학력 학벌주의 근원과 발달>
여성가족부(2010) <2010년 제2차 가족실태조사>
통계청(2010) <2010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2013) <2013 사회조사>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김주현, 송민경, 이현주 (2010) <기러기 아빠의 분거가족 결정과 유지경험에 관한 연구>
김희정, 최연실 (2012) <자녀 해외유학 ‘기러기 가족’의 가족구조 분석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최정혜 (2005) <주말부부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주말부부 남편과 아내의 비교>
황혜원 (2009)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역할갈등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윤철경, 송민경, 문경숙, 민선희 (2009) < 조기유학 청소년의 심리사회학 발달과 정책방안연구>
김원호 (2013) <와이프푸어, 기러기 아빠, 기러기 엄마>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인구주택총조사 http://census.go.kr/hcensus/index.jsp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egams/index.jsp
서울신문 13.06.03
뉴시스 12.01.30 <이슈진단 '무너지는 한국 교육'-학교폭력·교권추락 등 공교육 붕괴현상 심각>
MBC뉴스 13.11.09 <50대 기러기 아빠 자살…4년 전 미국 간 가족 한번도 못봐>
노컷뉴스 13.11.12 <광주, 수능 후 서울로 대규모 논술유학>
뉴센닷컴 13.10.03 <연예계 기러기 아빠 누구? 이성재 정명재 이상운 왜 화제인가?>
추천자료
맞벌이가정과 가족복지
맞벌이 가족에 대한 분석
맞벌이 가족
맞벌이 가족의 특성과 문제점 및 대책
[보육]맞벌이 가족
맞벌이,다문화,한부모가족에서의 부모역할
맞벌이 가족의 이해
[가족스트레스, 가족생활주기]가족의 개념, 가족의 기능, 가족과 가족스트레스, 가족과 가족...
맞벌이 가족의 어려움과 해결방안에 대한 견해,
[가족생활교육] 맞벌이부부 - 맞벌이 부부의 장점과 단점(문제점) 및 해결 방안 - 맞벌이 부...
맞벌이 가족을 위한 복지 대책에는 어떠한 것들이 필요하며 그 이유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제시.
기러기 가족의 정의,기러기 가족의 원인,기러기 아빠의 유형,개인적 문제,가정적 문제,사회적...
자녀들의 조기 유학으로 기러기 가족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러기 가족의 실태와 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