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도로 경관의 개념과 구성요소
1. 도로 경관의 개념과 유형
1) 경관의 개념
2) 도로 경관의 개념
3) 도로 경관의 유형
4) 도로 경관의 시각적 특성
5) 고속도로 경관의 특성
2. 도로 경관의 구성요소
1) 도로요소
2) 연도요소
3) 원경요소
3.도로경관 설계
1)기본원칙
2)노선계획
Ⅱ. 고속도로 비탈면의 경관형성적 특성
1. 도로 비탈면의 정의와 구분
1) 도로 비탈면의 정의
2) 도로 비탈면의 구분
2. 고속도로 비탈면의 형성기준
1) 땅깎기 비탈면의 설계순서
2) 땅깎기 비탈면의 표준기울기
3. 고속도로 비탈면의 경관형성 유형
1) 비탈면의 각도
2) 비탈면의 녹화
3) 비탈면의 구조물
4) 비탈면의 조형물
5) 도로시설물 디자인
1. 도로 경관의 개념과 유형
1) 경관의 개념
2) 도로 경관의 개념
3) 도로 경관의 유형
4) 도로 경관의 시각적 특성
5) 고속도로 경관의 특성
2. 도로 경관의 구성요소
1) 도로요소
2) 연도요소
3) 원경요소
3.도로경관 설계
1)기본원칙
2)노선계획
Ⅱ. 고속도로 비탈면의 경관형성적 특성
1. 도로 비탈면의 정의와 구분
1) 도로 비탈면의 정의
2) 도로 비탈면의 구분
2. 고속도로 비탈면의 형성기준
1) 땅깎기 비탈면의 설계순서
2) 땅깎기 비탈면의 표준기울기
3. 고속도로 비탈면의 경관형성 유형
1) 비탈면의 각도
2) 비탈면의 녹화
3) 비탈면의 구조물
4) 비탈면의 조형물
5) 도로시설물 디자인
본문내용
Vision) 그 위부는 주변시(Peripheral Vision)라고 부른다(이정은, 2009).
운전자는 주변시를 통해 노면이나 주위경관을 보면서 진행방향을 판단하게 되므로 비탈면을 보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시각시간보다 빠르게 물체를 지나쳐 버리게 되면 비탈면의 세부형태는 감지할 수 없고 단순한 모양만 인식하게 된다.
양안의 시계
고속도로에서는 시속 100km/h 이상의 고속주행의 경우가 많아서, 차량의 속도와 운전자의 주시점까지의 거리와 시각의 관계는 속도가 증가함에 주시점까지의 거리는 크게 되고 또 시각은 점점 협소해진다. 주행 시에 주시하게 되는 시야가 좁아지고 멀리 있는 것이 경관의 주대상이 되기 때문에 속도가 빨라지면 스케일이 큰 경관요소가 중요해지며 이는 비탈면의 경관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시선은 대상물과 수직인 상태에서 수평보다 약 10° 하향이며, 상향각은 0~27°, 하향각은 8~30°가 머리를 움직이지 않고 대상물을 볼수 있는 각도이다.
수평시각 및 수직시각에 따른 경관의 특징을 나타낸 것으로 비탈면은 수평시각과 수직시각의 복합적 요소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시설물을 보는 각도에 따른 경관의 특징
시 각
각 범위
특 징
수평시각
(θh)
0° < θh < 10°
시설물은 주위환경과 일체가 되고, 경관의 주체로서
대상에서 벗어난다.
10° < θh < 30°
시설물의 전체 형상을 인식할 수 있고 경관의 주체로서
적당하다.
30° < θh < 60°
시설물의 시계 중에 차지하는 비율은 크고, 강조된
경관을 얻는다.
θh > 60°
시설물 자체가 시야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고, 시설물에
대한 압박감을 느끼기 시작한다.
수직시각
(θv)
0° < θv < 15°
시설물이 경관의 주체가 되고, 쾌적한 경관으로 인식된다.
θv > 15°
시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켜져서 압박감을 느끼고
쾌적한 경관으로 인식되지 못한다.
자료출처 : 인간공학적 도로안전성 분석시스템 개발 (20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에서의 비탈면이 경관적으로 영향이 큰 것은 사면의 크기와 높이, 거대한 사면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이다. 특히 비탈면의 각도는 인간의 시야와 연계되어 개방감이나 위압감을 느끼게 하는 요인이므로 비탈면의 경관을 나타내는데 있어 중요한 지표라 할 수 있다.
비탈면은 인공적 요소가 강하고 자연경관과 어울리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자연지형에 비해 단순한 평면으로 형성되고 비탈면의 기울기가 급하여 두드러지게 인식되므로 주변과의 일체화를 도모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고속도로 경관설계매뉴얼(한국도로공사, 2009)에서는 절토부 횡단면에서의 개방감 확보를 위한 검토지점으로 조망이 좋은 외측 곡선부, 곡선반경이 작은 내측 곡선부, 산기슭 소규모 절토부 등을 선정하였으며, 비탈면 기울기 완화 및 기존지형 접점부의 그레이딩 기법 적용으로 개방감을 확보하도록 언급하였다.
2) 비탈면의 녹화
정부에서는 최근 비탈면 녹화에 대하여 기후나 토질, 지역 실정에 적합한 기준이 없고 업체 간의 가격 경쟁이 심화되어 외래초종 위주로 조기 녹화함으로써 녹화식물이 빠르게 쇠퇴하거나 주변경관과 조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로 비탈면에 생태계 복원, 생물종 다양성 확보 등 환경적인 요구를 증대시키고 다양한 녹화공법을 현장에 적용하도록 지침을 개정하여 발간하였다.
비탈면의 녹화는 사면보호기능 뿐만 아니라 경관계획을 만족시키야 하며, 지역 여건에 따라 고유한 자연환경과 자연경관을 보전하는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또한, 환경친화적이면서 비탈면의 안정성 유지, 토양유실방지, 경관복원, 자연식생천이 유도, 이산화탄소 저감에 유리한 식생구조를 조성하기 위해 자연환경, 토양환경, 지질 및 토질(암질)특성, 식생기반재 기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행한다.
일반적인 도로 깎기부의 비탈면 녹화 모형도는 지형지질이나, 기후조건 등을 고려하여 최적공법을 적용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인 깎기지역 비탈면녹화 모형도
자료출처 : 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 지침 (2009, 국토해양부)
비탈면 녹화공법 선정절차
자료출처 : 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 지침 (2009, 국토해양부)
깎기부 주요 녹화공법 개요 및 특징
구분
세부공법명
적용범위
개요 및 특징
종자분사
파종공법
Seed Spray
토사
리핑암
종자와 접착체, 비료, 색소 등을 물과 혼합 후
고압펌프를 사용하여 비탈면에 뿜어붙이는 공법
현장여건에 따른 초종선택 용이
Verd YOL
Seed spray
마사토
리핑암
유기녹화 공법으로 식물에서 추출한 유기물로 된
비탈면 침식방지제를 비탈면에 뿜어붙이는 공법
보온, 보습으로 식물의 조기발아 및 성장 촉진
거적덮기
론생공법
(씨앗부착
거적덮기)
토사
리핑암
식생용지에 종자와 비료를 접착시킨 후 볏짚을 입힌
기성제품으로 비탈면을 덮고 고정핀으로 고정
흡습, 보수력이 강하여 씨앗발아 및 생장에 유리
종자분사
파종공법
+
거적덮기
Seed spray
+
거적덮기
토사
리핑암
Seed spray 실시 후 그 위에 짚으로 짠 거적을
비탈면 전체에 균일하게 덮고 고정핀으로 고정
거적이 부식되어 잔디성장에 필요한 양분 공급
Coir mesh,
Jute mesh
토사
리핑암
Seed spray 실시 후 Net 및 Mat를 자연스럽게
비탈면 형태로 펼쳐 덮어주는 공법
우수에 의한 표토 유실 방지
식생
기반재
취부공법
COMAT공법
토사
리핑암
목질로 되어있는 코탄을 주재료로 종자, 시멘트,
톱밥, 비료, 물 등을 혼합하여 뿜어붙이기함
현장여건이나 토질에 따른 취부두께 조정 가능
CODRA공법
리핑암
경암
암반에 직접 식물을 정착시키는 방법으로 단기
식물보조제와 종자를 합하여 암반에 살포
다양한 초종 구성 가능
SF분사공법
(자연표토 복원)
토사
리핑암
유기물과 점토를 함유한 식양토, 종자, 물, 양생제
등을 혼합하여 뿜어붙이기하여 유기물 기반 조성
식물생육 최적의 토양구조 형성
택솔공법
토사
리핑암
화학 원사인 연속장섬유를 설치,고정한 후 모래,
부엽토, 보습제 등을 혼합하여 비탈면에 쏘아 붙임
법면의 요철 등에 구애받지 않음
종비토
뿜어
운전자는 주변시를 통해 노면이나 주위경관을 보면서 진행방향을 판단하게 되므로 비탈면을 보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시각시간보다 빠르게 물체를 지나쳐 버리게 되면 비탈면의 세부형태는 감지할 수 없고 단순한 모양만 인식하게 된다.
양안의 시계
고속도로에서는 시속 100km/h 이상의 고속주행의 경우가 많아서, 차량의 속도와 운전자의 주시점까지의 거리와 시각의 관계는 속도가 증가함에 주시점까지의 거리는 크게 되고 또 시각은 점점 협소해진다. 주행 시에 주시하게 되는 시야가 좁아지고 멀리 있는 것이 경관의 주대상이 되기 때문에 속도가 빨라지면 스케일이 큰 경관요소가 중요해지며 이는 비탈면의 경관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시선은 대상물과 수직인 상태에서 수평보다 약 10° 하향이며, 상향각은 0~27°, 하향각은 8~30°가 머리를 움직이지 않고 대상물을 볼수 있는 각도이다.
수평시각 및 수직시각에 따른 경관의 특징을 나타낸 것으로 비탈면은 수평시각과 수직시각의 복합적 요소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시설물을 보는 각도에 따른 경관의 특징
시 각
각 범위
특 징
수평시각
(θh)
0° < θh < 10°
시설물은 주위환경과 일체가 되고, 경관의 주체로서
대상에서 벗어난다.
10° < θh < 30°
시설물의 전체 형상을 인식할 수 있고 경관의 주체로서
적당하다.
30° < θh < 60°
시설물의 시계 중에 차지하는 비율은 크고, 강조된
경관을 얻는다.
θh > 60°
시설물 자체가 시야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고, 시설물에
대한 압박감을 느끼기 시작한다.
수직시각
(θv)
0° < θv < 15°
시설물이 경관의 주체가 되고, 쾌적한 경관으로 인식된다.
θv > 15°
시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켜져서 압박감을 느끼고
쾌적한 경관으로 인식되지 못한다.
자료출처 : 인간공학적 도로안전성 분석시스템 개발 (20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에서의 비탈면이 경관적으로 영향이 큰 것은 사면의 크기와 높이, 거대한 사면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이다. 특히 비탈면의 각도는 인간의 시야와 연계되어 개방감이나 위압감을 느끼게 하는 요인이므로 비탈면의 경관을 나타내는데 있어 중요한 지표라 할 수 있다.
비탈면은 인공적 요소가 강하고 자연경관과 어울리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자연지형에 비해 단순한 평면으로 형성되고 비탈면의 기울기가 급하여 두드러지게 인식되므로 주변과의 일체화를 도모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고속도로 경관설계매뉴얼(한국도로공사, 2009)에서는 절토부 횡단면에서의 개방감 확보를 위한 검토지점으로 조망이 좋은 외측 곡선부, 곡선반경이 작은 내측 곡선부, 산기슭 소규모 절토부 등을 선정하였으며, 비탈면 기울기 완화 및 기존지형 접점부의 그레이딩 기법 적용으로 개방감을 확보하도록 언급하였다.
2) 비탈면의 녹화
정부에서는 최근 비탈면 녹화에 대하여 기후나 토질, 지역 실정에 적합한 기준이 없고 업체 간의 가격 경쟁이 심화되어 외래초종 위주로 조기 녹화함으로써 녹화식물이 빠르게 쇠퇴하거나 주변경관과 조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로 비탈면에 생태계 복원, 생물종 다양성 확보 등 환경적인 요구를 증대시키고 다양한 녹화공법을 현장에 적용하도록 지침을 개정하여 발간하였다.
비탈면의 녹화는 사면보호기능 뿐만 아니라 경관계획을 만족시키야 하며, 지역 여건에 따라 고유한 자연환경과 자연경관을 보전하는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또한, 환경친화적이면서 비탈면의 안정성 유지, 토양유실방지, 경관복원, 자연식생천이 유도, 이산화탄소 저감에 유리한 식생구조를 조성하기 위해 자연환경, 토양환경, 지질 및 토질(암질)특성, 식생기반재 기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행한다.
일반적인 도로 깎기부의 비탈면 녹화 모형도는 지형지질이나, 기후조건 등을 고려하여 최적공법을 적용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인 깎기지역 비탈면녹화 모형도
자료출처 : 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 지침 (2009, 국토해양부)
비탈면 녹화공법 선정절차
자료출처 : 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 지침 (2009, 국토해양부)
깎기부 주요 녹화공법 개요 및 특징
구분
세부공법명
적용범위
개요 및 특징
종자분사
파종공법
Seed Spray
토사
리핑암
종자와 접착체, 비료, 색소 등을 물과 혼합 후
고압펌프를 사용하여 비탈면에 뿜어붙이는 공법
현장여건에 따른 초종선택 용이
Verd YOL
Seed spray
마사토
리핑암
유기녹화 공법으로 식물에서 추출한 유기물로 된
비탈면 침식방지제를 비탈면에 뿜어붙이는 공법
보온, 보습으로 식물의 조기발아 및 성장 촉진
거적덮기
론생공법
(씨앗부착
거적덮기)
토사
리핑암
식생용지에 종자와 비료를 접착시킨 후 볏짚을 입힌
기성제품으로 비탈면을 덮고 고정핀으로 고정
흡습, 보수력이 강하여 씨앗발아 및 생장에 유리
종자분사
파종공법
+
거적덮기
Seed spray
+
거적덮기
토사
리핑암
Seed spray 실시 후 그 위에 짚으로 짠 거적을
비탈면 전체에 균일하게 덮고 고정핀으로 고정
거적이 부식되어 잔디성장에 필요한 양분 공급
Coir mesh,
Jute mesh
토사
리핑암
Seed spray 실시 후 Net 및 Mat를 자연스럽게
비탈면 형태로 펼쳐 덮어주는 공법
우수에 의한 표토 유실 방지
식생
기반재
취부공법
COMAT공법
토사
리핑암
목질로 되어있는 코탄을 주재료로 종자, 시멘트,
톱밥, 비료, 물 등을 혼합하여 뿜어붙이기함
현장여건이나 토질에 따른 취부두께 조정 가능
CODRA공법
리핑암
경암
암반에 직접 식물을 정착시키는 방법으로 단기
식물보조제와 종자를 합하여 암반에 살포
다양한 초종 구성 가능
SF분사공법
(자연표토 복원)
토사
리핑암
유기물과 점토를 함유한 식양토, 종자, 물, 양생제
등을 혼합하여 뿜어붙이기하여 유기물 기반 조성
식물생육 최적의 토양구조 형성
택솔공법
토사
리핑암
화학 원사인 연속장섬유를 설치,고정한 후 모래,
부엽토, 보습제 등을 혼합하여 비탈면에 쏘아 붙임
법면의 요철 등에 구애받지 않음
종비토
뿜어
추천자료
도로하중과 철도하중의 차이비교
도로굴착 사업계획서
한국도로공사로 알아본 공기업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도로공사
한국도로공사의 BSC 시스템
대구시 도로망
도로명 주소 사업 행정 사례, 역할, 운영현황, 실적, 특징, 업무, 계획, 현황, 시사점, 문제...
자전거도로의효율성과 장 단점.
도로의 기능과 역할
도로시설물 관리 업무
친환경도로
도로명 주소 시행의 현재 (경찰, 소방관들의 혼란, 홍보에 비해 안내자료의 부족화 현상, 낯...
도로 포장 강성포장(CRCP) 설계 (설계조건, 설계조건 분석, 콘크리트 슬래브 두께 계산 , 철...
국제도로운송 및 철도운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