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수술실 실습과제> 수술 전 간호, 수술 중 간호, 수술 후 간호(회복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수술실 실습과제> 수술 전 간호, 수술 중 간호, 수술 후 간호(회복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술 전 간호
2. 수술 중 간호
3. 수술 후 간호 (회복실 간호)

본문내용

산하기 위하여 사용한 세척 용액 계산
⑧ 외과의가 사용한 에피네프린 용액과 국소마취제의 양 보고
⑨ 새로운 수술실 간호사 교육
(2) Circulating nurse
① 수술의 해부와 생리, 수술 과정에 대하여 점검
② 수술계획표에 따라 수술방과 수술 장비 준비, 모든 장비가 안전하고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
③ 소독간호사와 외과 집도의의 gowning 돕기
④ 수술상에 멸균 물품 공급
⑤ 수술 전 과정 동안 대상자의 신체적정신적 상태를 사정하고 대상자 안심
⑥ 적절한 수술 체위를 취하도록 도와주며, 마취 유도기 동안 대상자 관찰
⑦ 수술 중 간호 계획, 조정, 기록
⑧ 수술 과정 동안 무균술이 잘 지켜지는지 감독하고 필요한 물품과 기구 공급
⑩ 수술 팀과 다른 사람들과의 연락
⑪ 소독간호사와 함께 3회 이상 거즈 수를 확인하고, 바늘과 기구의 수 확인
⑫ 상실하는 혈액과 체액 측정
⑬ 수술이 끝난 대상자를 편안하고 안전하게 회복실로 옮기기
⑭ 회복실 간호사에게 필요한 정보 인계
⑮ 대상자의 상태나 사용 물품 등 필요사항 기록
검사나 배양을 위한 검사물 관리
3) 마취 간호사
<일반적인 준비사항>
① 각 수술실에 있는 마취기 setting을 한다. 이때 마취기가 이상이 있는지, 마취 가스는 충분한지, 각 모니터의 작동은 제대로 되는지 점검
② 필요한 장비를 점검
③ 각 수술실에 기본적으로 갖추어져 있는 물품 및 비품들이 제대로 준비되어 있는지 확인
④ 수술에 따라 마취방법이 달라지므로 그에 맞는 마취상을 준비
<전신마취>
-수술 전 간호
① 환자가 도착하면 환자를 확인함과 동시에 환자에게 혈액형과 치아의 상태를 확인
② 환자의 IV line를 확인하고, 마취과 의사를 도와 환자에게 감시 장치를 부착
③ 마취과 의사와 함께 마취를 시작. 보통의 경우 정맥마취 유도제를 주사하고, 환자의 감시 장치를 살피면서 근육 이완제를 주사. 이 때 환자가 불안해하지 않도록 심리적인 지지와 함께 설명을 하면서 시행
④ 마취과 의사에게 후두경을 주고, 기관내 튜브를 준다. 환자의 감시 장치를 관찰
⑤ 마취과 의사가 기관내 튜브를 삽입하고 나서 마취기와 연결하고 나면 의사가 환자의 흉곽을 청진할 수 있도록 튜브를 잡아주면서 동시에 기관내 튜브의 cuff를 팽창시켜 튜브의 삽입이 완전하도록 한다.
⑥ 의사의 청진이 끝나면 튜브가 환자의 입속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튜브를 환자의 입주위로 고정
⑦ 환자의 상태와 수술에 따라 마취과 의사의 시술을 돕거나 정맥로를 확보한다. A-line insertion,CVP catheter insertion, Swan ganz catheter insertion 등
⑧ 수술에 다라 환자의 체위를 취하고, 환자의 마취과 완전히 끝나 수술 팀들이 다음 일을 진행시키면 환자에게 사용한 소모품들을 기록
-수술 중 간호
① 수술이 진행 중일 때 필요한 물품, 약품들을 공급해 주고, 필요에 따라 ABGA를 시행
② 수술 중 출혈이 많이 되거나 해서 ABGA 결과가 정상치보다 낮으면 마취과 의사를 도와 환자에게 수혈을 할 수 있도록 준비
③ 수술 중에는 환자의 상태를 잘 관찰하여 응급상황에 대비
④ 다음 수술에 대비한 마취준비
-수술 후 간호
① 마취과 의사가 환자를 마취로부터 회복되도록 하여 환자가 완전히 마취에서 회복되어 회복실로 나가면 환자가 사용한 모든 것들을 제거하고 다음 환자를 위해 새로운 준비
② 방금 끝나고 난 환자의 마취상을 정리하면서 사용한 약품들을 확인
③ 다음 환자를 위한 마취상을 준비하고 다음 환자가 도착하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마취를 시작
<국소마취>
-수술 전 간호
① 환자가 수술실에 도착하면 전신마취와 같은 방법으로 환자를 확인
② 마취과 의사를 도와 환자에게 감시 장치를 부착하고 환자에게 시행할 마취방법에 따라 소독 set를 준비
③ 마취방법에 따른 환자의 체위를 취하도록 하고, 마취를 하는 동안 환자의 감시 장치를 통해 환자의 활력징후를 사정
④ 마취가 끝난 후, 수술 팀들이 수술을 위한 준비를 하면 환자에게 사용한 소모품을 입력
-수술 중 간호
자주 순회하여 필요한 물품이나 약품 등을 공급
-수술 후 간호
끝날 때는 전신마취와 같은 방법으로 마취기 준비를 다시 하고 다음 환자를 위한 마취상을 준비
3) 수술실 환경
(1) 구역
① 비제한 구역 : 외부 복장 허용 구역. 수술환자 대기실이나 직원 탈의실 등
② 준제한 구역 : 수술복, 모자 착용. 물품 공급실과 복도 등
③ 제한 구역 : 수술복, 모자, 마스크 착용. 수술방, 수술실 복도와 스크럽 장소 등
(2) 수술실 설계 시에는 효율성과 안전성, 감염조절을 고려한다. 온도는 20-24℃, 습도는 최소한 50%로 유지한다. 또한 수술실 내 공기를 여과시키고 환기와 냉난방 시설을 완벽하게 하여 세균 감염의 우려를 감소시켜야 한다. 수술실의 가구는 청소하기 쉽고 움직이기 쉬우며,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수술실의 위치는 통행하는 사람이 비교적 적고, 중환자실과 가까우며, 비상시 대상자 이동 등을 고려하여 고층을 피한다. 수술실 내에서는 비인화성, 비폭발성 물질을 사용하고 절대 금연이다. 수술실 복장은 면직물을 사용하여 정전기 발생을 막고, 수술실 바로 옆에는 소독물품을 충분하게 갖추고 공급하는 방을 두어 응급시에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4) 수술실 기구
(1) 수술대 : 높낮이와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상지부목, 대퇴부 벨트, 어깨 부위 패드 등을 부착할 수 있는 수술 대상자용 침대.
(2) Mayo대 : 멸균포를 덮어서 그 위에 수술에 필요한 소독 기구와 물품을 펼쳐놓는 대.
(3) 원형대 : 멸균포를 깐 위에 소독대야를 얹는 대.
(4) 무영등 : 그림자가 생기지 않고 열이 발생하지 않는 집중 조명등.
5) 수술실 복장 : 멸균하지 않은 깨끗한 모자, 수술복, 덧신, 마스크 등이 있다. 수술복위에 깨끗한 덧 가운을 입고 나갈 수는 있으나 다시 수술실내에 들어올 때에는 새 수술실 복장으로 갈아입어야 한다.
6) 외과적 손 소독 : scrub 시간은 2-6분이 소요된다. 손 소독제(베타딘, 히비탄 첨가 용액)를 사용하여 가볍게 비비면서 빠짐없이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07.23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00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