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 수학사
1. 한국 수학의 특징
2. 고구려의 수학
3. 백제의 수학
4. 고(古)신라의 수학
5. 삼국 및 통일신라의 건축계획에 나타난 수리
6. 척도
7. 산학제도
8. 고려의 수학
9. 고려의 산학제도
10. 조선 전· 중기의 수학
11. 조선 전기의 산학 교과서, 『산학계몽』
12. 조선 후기의 수학(근대 수학의 시작)
13. 전근대의 수 표기⦁계산기
14. 개화기의 수학
1. 한국 수학의 특징
2. 고구려의 수학
3. 백제의 수학
4. 고(古)신라의 수학
5. 삼국 및 통일신라의 건축계획에 나타난 수리
6. 척도
7. 산학제도
8. 고려의 수학
9. 고려의 산학제도
10. 조선 전· 중기의 수학
11. 조선 전기의 산학 교과서, 『산학계몽』
12. 조선 후기의 수학(근대 수학의 시작)
13. 전근대의 수 표기⦁계산기
14. 개화기의 수학
본문내용
수도였을 뿐만 아니라 한반도 전통사회에서 그나마 상업이 가장 활발했던 도시였다. 『송도 부기(松都簿記)』또는 ‘사개송도치부법(四介松都治簿法)’라 불리는 부기법은 고려시대부터 시작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지만 현재 남아 있는 형태의 기록이 시작된 것은 조선 후기부터 였다. 조선 후기의 부기에는 ‘호산(胡算)’이라고 불리는 다음과 같은 숫자가 쓰였다. 개성 상인이 인삼 등의 무역을 통해 중국 상인들이 사용한 이 표기법을 익힌 것이라고 생각된다.
개성은 다른 어떤 도시보다도 상업 자본과 화폐 자본이 밀착한, 즉 상인이 은행가를 겸할 만큼 대규모의 고리대금업이 성행하고 있었다. 따라서 기록의 중요성이 계산 그 자체보다 훨씬 컸다. 더욱이 개성의 화폐 자본가 사이에서는 끊임없이 지출수입되는 대규모의 복잡한 수치를 빠짐없이 기록하기 위한 기장법이 무엇보다도 절실했을 것이다.
③ 서민들의 셈과 수의 표기
(1) 결승(結繩) : 줄, 새끼를 묶는다.
글을 사용할 줄 모르는 영세 농민 사회에서 소량인 곡물의 대차 관계를 기록하는 일시적인 방편으로, 얼마 전까지도 수를 기록하기 위해서 상당히 폭넓게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2) 각기 : 나무토막에 칼로 금을 긋는다.
서민의 경제생활에서 사실 각기 이상의 표기법은 필요 없었다. 시골 아낙네를 상대로 하는 일용품 소매상인이 물건을 사는 농가의 기둥에 낫이나 칼 따위로 금을 긋고 외상 액수를 표시하는 것도 일종의 각기라고 볼 수 있다.
(3) 죽산
전남 완도군 소재의 소안도 부락에서는 약 100년 전까지도 죽산이라고 부르는 표기법이 마을 전체의 합의 아래 공통적으로 쓰였다고 한다.
연필 정도의 두께에 길이 약 10센티미터 정도인 가느다란 대나무 끝을 집집마다 갖추고, 특별히 마련한 선반 위에 두승의 자리를 정하고 빌린 곡물의 양을 나타내는 수만큼 놓아둔다. 10진법을 사용하는 셈이지만 두와 승의 위치를 구별하고 있을 뿐 그 외에는 산가지와 같은 배열법은 따로 정해져 있지 않다.
(4) 맘보
맘보는 일종의 할부(割符)이다. 노무자가 화물의 출하 지점에서 감독으로부터 화물 한 뭉치당 맘보 한 개씩을 받고, 도착지의 감독에게 짐과 맘보를 인계하는 것이다. 화물의 운반이 모두 끝났을 때 출발지와 도착지의 감독이 소지하고 있는 맘보의 개수를 서로 대조해서 일치 여부를 알아보는 것이다. 부두나 상점에서 쓰이는 맘보는 일본에서 건너온 것이라고 전해진다.
14. 개화기의 수학
- 개화기 전기에는 전통 수학과 유럽 수학의 병행 양립이라기보다는 극히 일부의 신식 학교 교육 속에서 후자에 관한 입문적인 지식이 소개될 정도일 뿐, 여전히 전통 수학이 활개 치던 시대였다.
- 개화기 말의 대표적인 수학책들에는 계산의 사칙 정수의 성질분수소수를 기초편으로 하여 기하삼각법측량까지 다루고 있다. 하지만 책의 제목부터가 ‘수학’이 아니라 ‘산학’이며, 서술 형식에서도 숫자만을 가로쓰기로 나타냈을 뿐 나머지는 모두 세로쓰기이다. 즉 전통적인 수학관이 여전히 남겨있었다.
- 개화기의 수학 및 수학 교육은 한결같이 유럽 수학을 지향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표면적으로는 전통적인 산학이 갑자기 사라진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신체제로 바뀌었을망정 정부 관서 내의 회계 사무에서는 구식 산법이 계속 사용되었다. 즉, 외래의 신지식에 대한 반응은 서양의 이기에 대한 호기심에서 비롯된 것이며, 다분히 피상적이었다. 당시의 수학은 본질적으로 전통의 틀 안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 개화기 후 몰아닥친 한일병합과 식민지화라는 민족의 극한 상황은 한국인을 편안하게 수학 따위와 시름이나 하도록 내버려두지 않았다. 엘리트들의 관심은 다시 정치로 향하게 되었다.
개성은 다른 어떤 도시보다도 상업 자본과 화폐 자본이 밀착한, 즉 상인이 은행가를 겸할 만큼 대규모의 고리대금업이 성행하고 있었다. 따라서 기록의 중요성이 계산 그 자체보다 훨씬 컸다. 더욱이 개성의 화폐 자본가 사이에서는 끊임없이 지출수입되는 대규모의 복잡한 수치를 빠짐없이 기록하기 위한 기장법이 무엇보다도 절실했을 것이다.
③ 서민들의 셈과 수의 표기
(1) 결승(結繩) : 줄, 새끼를 묶는다.
글을 사용할 줄 모르는 영세 농민 사회에서 소량인 곡물의 대차 관계를 기록하는 일시적인 방편으로, 얼마 전까지도 수를 기록하기 위해서 상당히 폭넓게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2) 각기 : 나무토막에 칼로 금을 긋는다.
서민의 경제생활에서 사실 각기 이상의 표기법은 필요 없었다. 시골 아낙네를 상대로 하는 일용품 소매상인이 물건을 사는 농가의 기둥에 낫이나 칼 따위로 금을 긋고 외상 액수를 표시하는 것도 일종의 각기라고 볼 수 있다.
(3) 죽산
전남 완도군 소재의 소안도 부락에서는 약 100년 전까지도 죽산이라고 부르는 표기법이 마을 전체의 합의 아래 공통적으로 쓰였다고 한다.
연필 정도의 두께에 길이 약 10센티미터 정도인 가느다란 대나무 끝을 집집마다 갖추고, 특별히 마련한 선반 위에 두승의 자리를 정하고 빌린 곡물의 양을 나타내는 수만큼 놓아둔다. 10진법을 사용하는 셈이지만 두와 승의 위치를 구별하고 있을 뿐 그 외에는 산가지와 같은 배열법은 따로 정해져 있지 않다.
(4) 맘보
맘보는 일종의 할부(割符)이다. 노무자가 화물의 출하 지점에서 감독으로부터 화물 한 뭉치당 맘보 한 개씩을 받고, 도착지의 감독에게 짐과 맘보를 인계하는 것이다. 화물의 운반이 모두 끝났을 때 출발지와 도착지의 감독이 소지하고 있는 맘보의 개수를 서로 대조해서 일치 여부를 알아보는 것이다. 부두나 상점에서 쓰이는 맘보는 일본에서 건너온 것이라고 전해진다.
14. 개화기의 수학
- 개화기 전기에는 전통 수학과 유럽 수학의 병행 양립이라기보다는 극히 일부의 신식 학교 교육 속에서 후자에 관한 입문적인 지식이 소개될 정도일 뿐, 여전히 전통 수학이 활개 치던 시대였다.
- 개화기 말의 대표적인 수학책들에는 계산의 사칙 정수의 성질분수소수를 기초편으로 하여 기하삼각법측량까지 다루고 있다. 하지만 책의 제목부터가 ‘수학’이 아니라 ‘산학’이며, 서술 형식에서도 숫자만을 가로쓰기로 나타냈을 뿐 나머지는 모두 세로쓰기이다. 즉 전통적인 수학관이 여전히 남겨있었다.
- 개화기의 수학 및 수학 교육은 한결같이 유럽 수학을 지향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표면적으로는 전통적인 산학이 갑자기 사라진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신체제로 바뀌었을망정 정부 관서 내의 회계 사무에서는 구식 산법이 계속 사용되었다. 즉, 외래의 신지식에 대한 반응은 서양의 이기에 대한 호기심에서 비롯된 것이며, 다분히 피상적이었다. 당시의 수학은 본질적으로 전통의 틀 안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 개화기 후 몰아닥친 한일병합과 식민지화라는 민족의 극한 상황은 한국인을 편안하게 수학 따위와 시름이나 하도록 내버려두지 않았다. 엘리트들의 관심은 다시 정치로 향하게 되었다.
추천자료
- [인터넷 실명제][인터넷 실명제 반대 의견][인터넷][기본권][실명확인]인터넷 실명제 반대 의...
- [한국 근대사]한국 근대사 심층 고찰(근대 사회 전개, 한국 근대사회 사상사, 개항 전후 정세...
- 한국교육사 - 개화기,일제시대, 미국정기시대, 대한민국 정부수립시대, 현대까지의 한국교육 ...
- [한국근대사]한국근대사 분석 고찰(개항 이후 민란, 개항 이후 화적, 농민군도소의 조직, 근...
- [행정][한국행정][행정개혁][행정개혁기구][행정혁신][행정환경]21세기 한국행정 변화의 동인...
- [한국사요약, 한국사] 한국사 A+ 완벽정리 서브노트 - 초기국가의 성장, 문화의융성, 발해의 ...
- [1910년대][정부수립운동][문학][동아시아][노동단체]1910년대의 정부수립운동, 1910년대의 ...
- [유아교육사와 보육] 근대사회의 유아교육 - 중세의 교육, 르네상스, 종교개혁기, 실학주의, ...
- [책 요약] 새로 쓰는 여성과 한국사회 (여성한국사회연구소 저)
- [교육과 사회사상 敎育 社會思想] 지식과 이데올로기 - 계몽주의 사상에서의 지식의 이데올로...
- 루쉰, 입인주의,루쉰의 광인일기 아Q정전,중국의 계몽담론,동아시아와 루쉰
- 한국교육과 루소의 ‘에밀’(루소의 ‘에밀’이 오늘날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 권영민,한국현대문학사1권 제1장 요약-한국 근대문학의 성립
- 한서 남궁억 선생의 여성 교육론 -여성교육으로 통한 민족 계몽 운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