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엉덩이 아래에 베개를 두개 정도 대줌
→ 등의 중간부분을 타진하고 진동시킴 (양측하엽상구의 배액을 도움)
⑤ 하지부분을 30도 상승시키고 좌측위(우측위)로 누음
→ 무릎사이에 배개끼우고 위쪽팔을 머리위로 들어 올림
→ 하부늑골이 있는 겨드랑이 부위를 타진하고 진동
→ 우측하엽전폐전구의 배액(좌측하엽전폐저구의 배액-우측위)을 도움
4) 기침 : 분비물을 폐로부터 제거하기 위함
① 대상자를 좌위로 취한 후 상체를 약간 앞으로 숙이고 무릎을 구부림
② 복부에 작은 배개를 대거나 손으로 지지하면 호기압을 높일 수 있음
(절대부위 긴장을 감소시켜 효과적인 기침을 하게함)
③ 느리고 깊게 숨을 두 번 쉼-이때는 코로 들이쉬고 입으로 내쉼
④ 세번째로 깊게 숨을 들이 마신 후 숨을 참고 셋까지 센 다음 두 번에서 세 번 정도 깊게 기침을 하며 기침을 하는 중간에 숨을 들이쉬지 않도록 함. 이때 강하게 공기를 폐 밖으로 몰아내도록 함
⑤ 분비물이 많은 경우 더 자주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격려
6. Chest drainage(흉관배액) : 흉막강 내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공기 또는 체액을 제거하고 폐가 재팽창될 수 있도록 흉강내 압력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시술이다.
1) one bottle system : 공기만 배액하는 경우에만 사용한다. 환자의 흉막강과 연결된 긴 관(A)을 통해 밀봉병으로 들어온 공기는 물에 닿으면서 기포를 형성한다. 기포가 된 공기는 다시 수면 밖으로 나와 대기 또는 흡인기로 연결된 관을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한 번 환자에게서 빠져나온 공기는 다시 물을 거슬러 환자에게 되돌아갈 수 없으므로 밀봉병은 일방향 밸브역할을 하게 된다.
2) two bottle system : 공기 외에 혈액 또는 삼출액과 같은 체액을 함께 배액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체액은 환자의 흉막강과 연결된 긴 관을 통해 수집병에 모아지고 공기는 수집병을 거쳐 밀봉병으로 이동한다. 밀봉병으로 들어온 공기는 물에 닿으면서 기포를 형성하고 기포가 된 공기는 다시 수면 밖으로 나와 대개 또는 흡인기로 연결된 관을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3) three bottle system : 흡인되는 압력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흡인조절관을 이용하여 일정한 음압을 적용하기 위해 사용한다. 흡인조절관에는 일반적으로 20cm 높이의 물을 채우고 밀봉병에는 5cm 높이의 물을 채워 두 물높이의 차인 15cmH2O의 음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15cmH2O이상의 흡인력이 발생하면 대기중에 노출된 관을 통해 대기중의 공기가 물속에서 기포를 형성하여 환자의 흉막강 내 공기와 체액의 흡인을 중단시키기 때문에 일정한 음압을 유지할 수 있다.
7. 흡인간호 : 생명유지에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기도유지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분비물이나 구토물 등으로 인해 기도유지가 되지 않을 경우,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하더라도 그 효과를 보기가 어려워 즉시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를 유지한다.
1) oral & nasal(구강,비강)
- 손을 씻은 후 물품을 준비하고 환자 확인
-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 후 적절한 체위 유지(무의식 환자의 경우에는 측위에서 간호사의 얼굴을 마주 보도록 한다. 이 체위는 환자의 혀를 앞으로 내밀 수 있으며 인두로부터 분비물읠 배출을 돕고 분비물이 폐로 흡인되는 것을 방지한다/의식이 있는 환자의 경우 구강인두 흡인시 반좌위에서 목을 옆으로 돌린다.)
- 분비물의 양이 많을 경우 베개 위나 환자의 턱 밑에 타월을 준비해두고 흡인 전 청진 및 흉부 두드리기 시행함
- 흡인기를 작동시켜 기능이 정상인지 확인
- 멸균 흡인세트의 bowel에 n/s를 부어둠
- 장갑을 끼고 흡인 카테터를 오염되지 않게 꺼내어 흡인기에 연결하여 흡인기의 압력 조절
(성인:110~150mmHg / 아동:95~110mmHg / 영아:50~95mmHg)
- 삽입할 길이를 정하여 장갑 낀 손으로 위치를 표시(환자의 코에서 귓불까지 약 13cm)
- 마찰을 감소시키고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흡인카테터의 끝을 n/s에 적심
- 흡인카테터의 조절구멍을 열고 부드럽게 구강 또는 비강에 삽입함
- 흡인 조절구멍을 손가락으로 막고 부드럽게 흡인카테터를 돌려 빼면서 분비물을 제거
(흡인카테터가 기관벽에 닿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조직손상을 예방하고 1회 흡인시간은 15 초를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함)
- 흡인카테터에 진한 분비물이 묻어 있으면 거즈로 닦아내고 생리식염수로 통과시킴
- 기도의 분비물이 제거될 때까지 반복해서 시행하며, 흡인시간이 5분을 넘지 않도록 함
- 흡인세트 bowel속의 남은 생리식염수를 흡인 카테터로 전부 흡인시킴
- 흡인조절기를 끔
- 필요시 구강이나 비강 간호를 실시하고 환자의 상태를 확인
- 사용한 물품을 정리하고 손을 씻음
※ 추후간호
a. 호흡사정에서 나빠진 경우
- 흡인의 시간을 제한
- 흡인의 빈도를 늘리고 한 번 흡인시 기간을 더 짧게 함
- 흡인과 흡인 사이에 산소를 공급하고 추가 산소를 공급
b. 혈액성 분비물이 있을 경우
- 흡인 압력을 줄임
- 간헐적으로 흡인하고 카테터를 돌리면서 흡인하여 압력을 적게 받도록 함
- 흡인 빈도를 평가
- 혈액응고 약물 사용에 대한 평가를 하고 혈액 응고 검사를 함
c. 흡인카테터가 비공을 통과하지 못했을 경우
- 다른 비공에 시도
- 비인공기도를 삽관함
- 점액에 의해 폐쇄되었다면 흡인을 시도
- 윤활제를 충분히 바름
d. 발작적인 기침이 지속될 때
- 산소 공급
- 응급상황이 아니라면 기침이 멈추고 난 다음에 흡인
- 처방에 따라 기관지 확장제나 국소마취제를 투여함
2) nasotracheal(비기관) : 흡인 시 대상자의 불안을 완화하고 협력을 얻기 위해 절차를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상자가 무의식일지라도 흡인을 의식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금기가 아니면 침대를 45도 각도로 올리고 흡인하기 전 다량의 산소를 투여하여 흡인하는 동안에 저산소증 발생 위험을 줄인다.
구강흡인과 기관흡인의 원리는 본질적으로 같으나 구강흡인은 청결을 유지하면서 실시하는 반면 비기관, 기관지절개술, 기관내관 흡인은 무균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 다르다.
→ 등의 중간부분을 타진하고 진동시킴 (양측하엽상구의 배액을 도움)
⑤ 하지부분을 30도 상승시키고 좌측위(우측위)로 누음
→ 무릎사이에 배개끼우고 위쪽팔을 머리위로 들어 올림
→ 하부늑골이 있는 겨드랑이 부위를 타진하고 진동
→ 우측하엽전폐전구의 배액(좌측하엽전폐저구의 배액-우측위)을 도움
4) 기침 : 분비물을 폐로부터 제거하기 위함
① 대상자를 좌위로 취한 후 상체를 약간 앞으로 숙이고 무릎을 구부림
② 복부에 작은 배개를 대거나 손으로 지지하면 호기압을 높일 수 있음
(절대부위 긴장을 감소시켜 효과적인 기침을 하게함)
③ 느리고 깊게 숨을 두 번 쉼-이때는 코로 들이쉬고 입으로 내쉼
④ 세번째로 깊게 숨을 들이 마신 후 숨을 참고 셋까지 센 다음 두 번에서 세 번 정도 깊게 기침을 하며 기침을 하는 중간에 숨을 들이쉬지 않도록 함. 이때 강하게 공기를 폐 밖으로 몰아내도록 함
⑤ 분비물이 많은 경우 더 자주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격려
6. Chest drainage(흉관배액) : 흉막강 내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공기 또는 체액을 제거하고 폐가 재팽창될 수 있도록 흉강내 압력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시술이다.
1) one bottle system : 공기만 배액하는 경우에만 사용한다. 환자의 흉막강과 연결된 긴 관(A)을 통해 밀봉병으로 들어온 공기는 물에 닿으면서 기포를 형성한다. 기포가 된 공기는 다시 수면 밖으로 나와 대기 또는 흡인기로 연결된 관을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한 번 환자에게서 빠져나온 공기는 다시 물을 거슬러 환자에게 되돌아갈 수 없으므로 밀봉병은 일방향 밸브역할을 하게 된다.
2) two bottle system : 공기 외에 혈액 또는 삼출액과 같은 체액을 함께 배액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체액은 환자의 흉막강과 연결된 긴 관을 통해 수집병에 모아지고 공기는 수집병을 거쳐 밀봉병으로 이동한다. 밀봉병으로 들어온 공기는 물에 닿으면서 기포를 형성하고 기포가 된 공기는 다시 수면 밖으로 나와 대개 또는 흡인기로 연결된 관을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3) three bottle system : 흡인되는 압력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흡인조절관을 이용하여 일정한 음압을 적용하기 위해 사용한다. 흡인조절관에는 일반적으로 20cm 높이의 물을 채우고 밀봉병에는 5cm 높이의 물을 채워 두 물높이의 차인 15cmH2O의 음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15cmH2O이상의 흡인력이 발생하면 대기중에 노출된 관을 통해 대기중의 공기가 물속에서 기포를 형성하여 환자의 흉막강 내 공기와 체액의 흡인을 중단시키기 때문에 일정한 음압을 유지할 수 있다.
7. 흡인간호 : 생명유지에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기도유지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분비물이나 구토물 등으로 인해 기도유지가 되지 않을 경우,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하더라도 그 효과를 보기가 어려워 즉시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를 유지한다.
1) oral & nasal(구강,비강)
- 손을 씻은 후 물품을 준비하고 환자 확인
-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 후 적절한 체위 유지(무의식 환자의 경우에는 측위에서 간호사의 얼굴을 마주 보도록 한다. 이 체위는 환자의 혀를 앞으로 내밀 수 있으며 인두로부터 분비물읠 배출을 돕고 분비물이 폐로 흡인되는 것을 방지한다/의식이 있는 환자의 경우 구강인두 흡인시 반좌위에서 목을 옆으로 돌린다.)
- 분비물의 양이 많을 경우 베개 위나 환자의 턱 밑에 타월을 준비해두고 흡인 전 청진 및 흉부 두드리기 시행함
- 흡인기를 작동시켜 기능이 정상인지 확인
- 멸균 흡인세트의 bowel에 n/s를 부어둠
- 장갑을 끼고 흡인 카테터를 오염되지 않게 꺼내어 흡인기에 연결하여 흡인기의 압력 조절
(성인:110~150mmHg / 아동:95~110mmHg / 영아:50~95mmHg)
- 삽입할 길이를 정하여 장갑 낀 손으로 위치를 표시(환자의 코에서 귓불까지 약 13cm)
- 마찰을 감소시키고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흡인카테터의 끝을 n/s에 적심
- 흡인카테터의 조절구멍을 열고 부드럽게 구강 또는 비강에 삽입함
- 흡인 조절구멍을 손가락으로 막고 부드럽게 흡인카테터를 돌려 빼면서 분비물을 제거
(흡인카테터가 기관벽에 닿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조직손상을 예방하고 1회 흡인시간은 15 초를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함)
- 흡인카테터에 진한 분비물이 묻어 있으면 거즈로 닦아내고 생리식염수로 통과시킴
- 기도의 분비물이 제거될 때까지 반복해서 시행하며, 흡인시간이 5분을 넘지 않도록 함
- 흡인세트 bowel속의 남은 생리식염수를 흡인 카테터로 전부 흡인시킴
- 흡인조절기를 끔
- 필요시 구강이나 비강 간호를 실시하고 환자의 상태를 확인
- 사용한 물품을 정리하고 손을 씻음
※ 추후간호
a. 호흡사정에서 나빠진 경우
- 흡인의 시간을 제한
- 흡인의 빈도를 늘리고 한 번 흡인시 기간을 더 짧게 함
- 흡인과 흡인 사이에 산소를 공급하고 추가 산소를 공급
b. 혈액성 분비물이 있을 경우
- 흡인 압력을 줄임
- 간헐적으로 흡인하고 카테터를 돌리면서 흡인하여 압력을 적게 받도록 함
- 흡인 빈도를 평가
- 혈액응고 약물 사용에 대한 평가를 하고 혈액 응고 검사를 함
c. 흡인카테터가 비공을 통과하지 못했을 경우
- 다른 비공에 시도
- 비인공기도를 삽관함
- 점액에 의해 폐쇄되었다면 흡인을 시도
- 윤활제를 충분히 바름
d. 발작적인 기침이 지속될 때
- 산소 공급
- 응급상황이 아니라면 기침이 멈추고 난 다음에 흡인
- 처방에 따라 기관지 확장제나 국소마취제를 투여함
2) nasotracheal(비기관) : 흡인 시 대상자의 불안을 완화하고 협력을 얻기 위해 절차를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상자가 무의식일지라도 흡인을 의식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금기가 아니면 침대를 45도 각도로 올리고 흡인하기 전 다량의 산소를 투여하여 흡인하는 동안에 저산소증 발생 위험을 줄인다.
구강흡인과 기관흡인의 원리는 본질적으로 같으나 구강흡인은 청결을 유지하면서 실시하는 반면 비기관, 기관지절개술, 기관내관 흡인은 무균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 다르다.
추천자료
유방암문헌고찰
뇌경색 문헌고찰 [의학연구]
조울증 문헌고찰
CRF 문헌고찰
치매에관한 문헌고찰
간경변문헌고찰 - 원인과 병태생리, 증상과 징후, 진단검사, 치료, 간호중재, 합병증
결핵성 흉수(pleural effusion) 문헌고찰,정의,원인,증상,치료,간호,참고문헌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소아>요로감염 케이스A+++(연구의 필요성 부터~문헌고찰,병태생리,간호사정,간호진단 및 느...
+ 문헌고찰 + 척추협착증 케이스스터디 , 수술실 케이스스터디
당뇨 문헌고찰 [의약학]
Repeat+C-sec+문헌고찰+및+사례보고서
간암 문헌고찰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