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삼국의 국제관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후삼국의 국제관계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후백제의 국제관계
Ⅲ. 후고구려의 국제관계
Ⅳ. 고려의 국제관계
Ⅴ. 맺음말

본문내용

』972..外臣部. 朝貢 5
7
태조 9년 2월
高麗
契丹
『遼』2. 本紀 2.太祖下
8
태조 9년
高麗
後唐
張彬
『高』1. 世家
9
태조 10년 927
高麗
契丹
『遼』115. 二國外紀 45
10
태조 12년
高麗
後唐
張(廣評侍郞)
『五』30. 高麗傳
11
태조 15년
高麗
後唐
王仲儒(大相)
후당에 파견
『高』2. 世家
12
태조 16년 3월
後唐
高麗
王瓊(太僕卿)
楊昭業(大府少卿)
태조를 왕으로 冊封
후당의 연호 사용
『高』2. 世家
13
태조 17년
高麗
後唐
金吉
중국 청주에서 교역
『冊』972. 外臣部 朝貢 5
14
태조 18년 12월
高麗
後唐
邢順(禮賓卿)
崔遠
중국 관직 받음
『高』2. 世家
『五』30. 高麗傳
15
태조 19년
高麗
後唐
王規(太相)
崔禹(廣評侍郞)
중국 관직 받음
『五』30. 高麗傳
『冊』972. 外臣部 朝貢 5
16
태조 20년 5월
高麗
後晋
王規
邢順
중국 관직 받음
『高』2. 世家
17
태조 20년 9월
契丹
高麗
『遼』3. 本紀 3.太宗上
18
태조 22년 1월
契丹
高麗
遼王이 後晋의 책봉을 받았음을 알림
『遼』4. 本紀 4.太宗下
『遼』115. 二國外紀 45
19
태조 22년
後晋
高麗
謝攀(國子博士)
태조의 관직 제수
『高』2. 世家
20
태조 22년 9월
高麗
後晋
邢順(廣評侍郞)
『五』30.高麗傳.
『冊』972. 外臣部 朝貢 5
21
태조 24년
高麗
後晋
王申一(大相)
『高』2. 世家
22
태조 25년 10월
契丹
高麗
낙타 50필 보냄
『高』2. 世家
Ⅴ. 맺음말
지금까지 후삼국의 국제교류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후삼국 각국의 정세는 국내문제만이 아니라 외국과의 교섭에 의한 영향도 크고,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후삼국 시대에 관한 연구는 주로 국내의 정치상황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고, 해외교섭에 관해서는 비교적 소홀하게 다루어졌다 권덕영. 200「후백제의 해외교섭활동」『후백제와 견훤』
고 한다. 물론 이러한 현상은 후삼국의 해외교섭에 관한 자료가 많지 않다는 것이 이유가 될 수도 있겠으나, 후삼국과 한반도 외부와의 국제관계가 후삼국의 정세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면 이는 결코 가볍게 취급될 문제가 아니라 생각한다. 앞으로 후삼국과 한반도 외부의 초점을 맞춰서 국내의 정세와 해외교류간의 역학관계가 후삼국 통일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볼 문제이다.
<참고문헌>
황선영, 2001「후삼국의 외교관계」『한국중세사회의 제문제』29
조인성, 2003「궁예정권의 대외관계」『강좌한국고대사』4
신호철, 1993「견훤정권의 대외정책」『후백제 견훤정권연구』
권덕영, 2000「후백제의 해외교섭활동」『후백제와 견훤』
김인규, 1993「고려 태조대의 대외정책」『고려 태조의 국가경영』
서성호, 1999「고려 태조대 대거란 정책의 추이와 성격」『역사와 현실』34
김재만, 1983「오대와 후삼국, 고려초기 관계사」『대동문화연구』17
이기동, 1997「羅末麗初 南中國 여러 나라와의 交涉」『歷史學報』155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8.24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46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