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족생활교육과 가족상담의 관계
2. 가족연구자, 가족 생활교육사, 지역사회의 관계
참고문헌
2. 가족연구자, 가족 생활교육사, 지역사회의 관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움, 가족을 가족의 생산자로서의 역할을 제외시키고 가족복지 증진을 위한 학문적 지식과 전문적 지식의 소비자로서의 역할만으로 격하시킴
② 지식전달의 협력모델 : 시민으로서 가족과 연구자와 교육자가 함께하는 파트너십이 강조되며 공동체 안에서 가족복지 증진과 이해를 위해 활동적인 가족들을 위한 모델임
- 단순히 가족을 위한 것이 아니라 가족과 함께 부모나 교육자, 연구자가 가족에 대한 지식을 아는데 기여하고 가족 분야 내에서 생산적인 시민의식의 가치를 양성하는 것을 요구함
- 연구자와 교육자 간의 교류가 없을 경우 각자 그들의 경험에 의해 제한되는 부분이 있어 전체를 볼 수 없으며 지식의 일반화에 기여한 교육자와 가족들을 과소평가할 수 있음
※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 연구자에 의해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지고 가족생활교육자에 의한 가족으로의 전통적인 전달체계에 기반을 둔 가족생활교육이 실행되고 있지만 그 효과 면에서는 많은 논란이 있음, 역사 문화적 산물로서 가족과 주체적인 실행자로서의 가족의 역할 및 가족문화가 사회적으로 확산되는 점들을 고려해 볼 때 앞으로의 가족생활교육은 교육자의 촉진자 역할을 강조한 가족과 지역사회가 연계되는 협력모델에 의한 가족생활교육의 활성화가 요구됨
< 전통적 지식전달 모델과 지식전달의 협력적 모델>
출처 : 정현숙(2007). 가족생활교육. 신정.
참고문헌
김희성, 김충식 외 저, 가족생활교육, 공동체 2013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편집부 저, 가족생활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4
박주희 저, 가족생활교육의 실제, 구상 2012
전세경 저, 가족생활교육, 양서원 2013
② 지식전달의 협력모델 : 시민으로서 가족과 연구자와 교육자가 함께하는 파트너십이 강조되며 공동체 안에서 가족복지 증진과 이해를 위해 활동적인 가족들을 위한 모델임
- 단순히 가족을 위한 것이 아니라 가족과 함께 부모나 교육자, 연구자가 가족에 대한 지식을 아는데 기여하고 가족 분야 내에서 생산적인 시민의식의 가치를 양성하는 것을 요구함
- 연구자와 교육자 간의 교류가 없을 경우 각자 그들의 경험에 의해 제한되는 부분이 있어 전체를 볼 수 없으며 지식의 일반화에 기여한 교육자와 가족들을 과소평가할 수 있음
※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 연구자에 의해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지고 가족생활교육자에 의한 가족으로의 전통적인 전달체계에 기반을 둔 가족생활교육이 실행되고 있지만 그 효과 면에서는 많은 논란이 있음, 역사 문화적 산물로서 가족과 주체적인 실행자로서의 가족의 역할 및 가족문화가 사회적으로 확산되는 점들을 고려해 볼 때 앞으로의 가족생활교육은 교육자의 촉진자 역할을 강조한 가족과 지역사회가 연계되는 협력모델에 의한 가족생활교육의 활성화가 요구됨
< 전통적 지식전달 모델과 지식전달의 협력적 모델>
출처 : 정현숙(2007). 가족생활교육. 신정.
참고문헌
김희성, 김충식 외 저, 가족생활교육, 공동체 2013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편집부 저, 가족생활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4
박주희 저, 가족생활교육의 실제, 구상 2012
전세경 저, 가족생활교육, 양서원 201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