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화재현장 발굴 및 복원
1. 발굴의 의의
2. 발굴 전 관찰사항
3. 발굴 방법
4. 복원 요령
5. 발굴, 복원 시 유의사항
6. 참고문헌
1. 발굴의 의의
2. 발굴 전 관찰사항
3. 발굴 방법
4. 복원 요령
5. 발굴, 복원 시 유의사항
6. 참고문헌
본문내용
5. 발굴, 복원 시 유의사항
1) 중요한 부분, 의문이 가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실시를 한다.
2) 발화장소를 중심으로 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실시를 한다.
3) 복원의 필요성이 있는 물건은 번호 또는 표시를 하고 존재의 위치를 명확하게 파악을 한다.
4) 대용재료를 사용을 하는 경우에 타고 남은 잔존물과 유사한 것을 사용하지 말고 구별이 되는 것을 사용을 한다.
5) 발굴의 과정에서 불명확한 물건의 위치 등은 관계자로부터 확인을 하고, 발굴의 종료 후에 복원상황도 확인을 시킨다.
6. 참고문헌
1) 화재감식실무 완전정복(2014), 아토즈에듀, 저자 : 김하연
2) 화재감식(2011), 두양사, 저자 : JOHN D. DEHAAN
3) 화재감식평가 세트(2013), 동화기술, 저자 : 한국화재감식학회
1) 중요한 부분, 의문이 가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실시를 한다.
2) 발화장소를 중심으로 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실시를 한다.
3) 복원의 필요성이 있는 물건은 번호 또는 표시를 하고 존재의 위치를 명확하게 파악을 한다.
4) 대용재료를 사용을 하는 경우에 타고 남은 잔존물과 유사한 것을 사용하지 말고 구별이 되는 것을 사용을 한다.
5) 발굴의 과정에서 불명확한 물건의 위치 등은 관계자로부터 확인을 하고, 발굴의 종료 후에 복원상황도 확인을 시킨다.
6. 참고문헌
1) 화재감식실무 완전정복(2014), 아토즈에듀, 저자 : 김하연
2) 화재감식(2011), 두양사, 저자 : JOHN D. DEHAAN
3) 화재감식평가 세트(2013), 동화기술, 저자 : 한국화재감식학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