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광대 인문학베이스캠프 강의노트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광대 인문학베이스캠프 강의노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원광대 인문학베이스캠프 족보

본문내용

0%) 세포외용약(혈장,세포간질용약:체중20)
주요요소 : 산소 체온 삼투압 혈압 혈당 산소 이산화탄소 전해질
조절기구 : 신경계 (자율신경) 내분비계
반응기관 : 순환 호흡 소화 내분비 신경 근골격 배설 생식 면역
조절방식 : 음성피드백(감수기 조절충주 효과기 전달로)
ex: 운동을 하면 심박수 증가 , 음식을 섭취하면 인슐린 분비증가
정신-생리상호작용
만성 스트레스 반응
-면역계 억제 > 질병 감수성 증가
단백질,지방분해, 포도당 합성 촉진 > 당뇨증상
성장호르몬분비 억제 , 갑상선 호르몬 분비 억제
단기스트레스 반응
혈압상승,혈당상승, 근 에너지 증가
마음항상성
-생리적 환경에서 마음의 상태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조절되는 현상
생리적환경 - 생리항상성이 유지되는 상태
-마음상태 - 인지능력 > 안정, 기쁨, 슬픔, 고통 , 분노
주관적 > 객관적
-조절기관 - 변역계
감각수용기 : 시각 , 청각 , 미각, 후각, 촉각
신경계, 내분비계
-적용반응 : 중용 기기
마음항상성의 증진
1. 좋은생각
2. 건강한 신체
3. 자기성찰
스트레스 관련 질환들
- heart disease high blood pressure
-chronic fatigue
-anxiety mood swings
-psychological distress
-depression
-sleep disorder
-earion disorders and obesity
-[ppr immune funcrions auroimmune disease
-neuronal withdaraw
dr,selte\'s stress
`general adaptive syndrome (gas)
-경고반응기
-저항기
-탈진기
ptsd 환자의 해마 용적 감소
결론
인간이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는 삶은 생리항상성과 마음항상성을 유지하는 필수조건이다.
11주차
문학과 문학치료
1.문학치료에 대한 관심
> 문학자료에 대한 관심의 시작
>한국에서 문학치료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댜략 10여년 전부터 본격화 (2002한국 독서치료학회 창립 2003년 한국문학치료학회 창립)
>현재 문학치료는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미국이 오랜 전통과 활발한 활동
- 병원 도서관 봉사에서 독서요법 연구의 기초가 마련됨
- 1900년대 초부터 미국에서 문학치료에 관한 체계적 연구 시작
- 문학치료의 뿌리는 결국 도서관학과 심리학
>> 문학치료 인문치료 예술치료
>문학치료는 이제 독서치료나 철학치료 음악치료 미술치료 등과 함께 그리 거부감 없이 받아 들여져 널리 통용되는 용어로 자리잡음
- 인문치료나 예술치료라는 보디 광범위한 용어까지 쓰이고 있는 형편
> 문학치료, 인문치료, 예술치료 등에 대한 회의적 시선도 여전
-가장 큰 이유는 치료라는 의미를 의학적인 측면에서만 파악하기 때문
2. 문학과 의학
>문학과 의학의 접목
-2003년 국내 의과대학에서는 처음으로 연세대 의대에서 문학 강의가 시작
-문학과 마찬가지로 의학도 인간을 다룬다는 점에서 인문학적 요소가 적기 않다는 생각에서 출발
-미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의학전공에서 문학과 의학의 접목을 시도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의사들의 정신적 문제점을 해소하는 차원에서도 유용
>의사 작가 시인들
-프랑스 프랑수아 라블레, 러시아의 안톤체홉, 영국의 존 키츠, 서멋싯 모옴, 코넌 도일, 독일의 한스 카로사, 고트프리트벤. 중국의 노신. 한국의 마종기 등 다수.
>문학과 의학의 접점
-문학과 의학 모두 인류의 역사와 함께 오래전에 비롯
-모두 인간을 다룸 : 문학이나 의학이나 결국은 인간의 생로병사 관심 인간의 생로병사는 문학과 의학의 영원한 테마
-모두 대화(언어)로 시작 : 문학에서의 표현 의학에서의 진찰
-모두 고통에서 출발하고 둘다 치류를 지향 : 사람의 삶을 통한 고통 질병 등에 대한 깊은 관심과 연구 육체의 병은 영혼의 병으로 영혼의 병은 육체의 병으로 전이가능
- 모두 인간 삶의 개별성에서 출발하여 보편성 지향 : 문학 이나 의학이나 개별적 삶에 대한 기록과 관찰에서 시작해 그것을 보편화시키려 노력
3. 문학치료의 용어와 개념 정의
>문학치료 라는 용어
>문학치료 : 다음의 외국 용어들을 한데 묶어 한국에서 사용하는 용어
- 포이트리테라피 : 시치료
- 버블리오테라피 : 독서시료
- 저널 테라피 : 일기 .글쓰기 치료
>미국에서는 biblio poetry therapy라는 용어를 사용
>문학치료의 몇가지 정의
-문학치료란 포이트리테라피 비블리오테라피 저널테라피를 모두 포괄하는 말로 참여자와 치료사 사이의 치료적 상호작용을 위해 문학을 사용하는것
-문학치료에 서사 개념을 도입하여 문학치료란 결국 문학작품의 작품서사를 통하여 환자의 자기서사를 온전하고 건강하게 변화시키는 일 이며 학문으로서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을 확립에 노력
-문학치료란 억압된 심층을 문학을 통해 드러내고 치유하는 일 이며 문학 치료의 핵심은 잃어버린 언어의 발견 또는 재발견
>이번 강의에서의 문학치료정의
- 문학치료란 문학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하는 쓰기 읽기 과정을 통해 치료 대상자의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거나 호전시키는 행위를 말한다.
4. 문학치료 연구의 방향
>문학치료 연구의 방향
>한국에서 문학치료 연구의 방향은 대략 두가지
- 문학치료혁의 이론과 방법을 정립하고자 하는 연구
- 문학치료의 실제 적용 사례에 관한 연구
> 이런 연구들과 함께 실제 문학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작품 텍스트 축적과 치료 모형 설정도 필요
>문학치료에서 문학의 범주 : 광의의 문학으로 이해해야
- 즉 여러 장르의 상상의 문학 이야기 신문기사 영화 연극 영상문학 만화 멀티미디어문학 등의 자료와 참여자 자신의 글쓰기 작품. 일기등을 포괄
>문학치료의 3가지 요소
-문학 치료사 참여자 (내담자.대상자) 문학 (쓰기.읽기)
5.문학치료의 가능성
>문학치료에서 치료의 의미
>문학치료에 대해 이해하고 문학치료의 효용과 가능성을 인정하려면 우선 문학 치료에서 말하는 치료가 의미하느 바를 살펴볼 필요
-문학 치료 분야에 대해 여전히 상존하고 있는 의문이나 부정적 시각은 결국 바로 이치료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
>치료는 물론 질병과 같은 문제적 상황을 전제로 하지만 이
  • 가격5,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4.09.03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61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